View : 613 Download: 0

중학교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조사

Title
중학교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조사
Other Titles
(An) Observation Study on Teacher's Consciousness for the Teaching Supervision
Authors
김영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중학교수업장학교사의식조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은경
Abstract
The effect of education depends on the teach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t school, and the effect of teaching is connected with teaching ability of teacher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learning and the quality of teaching. Therefore, the supervision have to be mainly realized teaching supervision which place the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ctivity and teaching sk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improvements on the teaching supervision by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eacher's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the total items of questionnaire were 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450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in Ulsan, and 314 questionnaires of them, which was 69.78%, were retriev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of each questionnaire which were made structural element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inspected their reliability and propriety. That is to say the necessity, the plan and financial support, the procedure, the methods, the teacher's attitude, the supervisor's role and quality about teaching supervision. It was calculated the average score of each variable and group (personal variable, career variable, school variable) from the collected data, and then analyzed teacher's consciousness levels at every structural elements. Then, it was observed the statistic probability at .01 and .05 level of P value by using T-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 From the analysis of the above observation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n area of the necessity about teaching supervision, all teachers seldom felt the insufficiency of teaching preparation, and the change of teaching methods. There weren't the statistic probability at personal and school variable, but 10-20 years and over 20 years career groups seldom felt more than under 10 years career group. 2. In an area of the plan and financial support about teaching supervision, all teachers felt that the supervisor didn't guide teachers by careful plan and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weren't supported by supervisor for teaching study. Especially the female group felt more deeply than male group, under 10 years and 10-20 years career groups felt more deeply than over 20 years career group. 3. In an area of the procedure of teaching supervision, all teachers felt that the supervision have been guided only by the documents and an outward look about teaching observation without teaching improvement, colleague teachers helped more than supervisor for teaching study and material study, and they didn't have a time for excessive teaching times, affaires, and students per class. Especially the female group felt more deeply than male group, and under 10 years and 10-20 years career groups felt more deeply than over 20 years career group. 4. In an area of the method of teaching supervision, all teachers felt that the study of subject and teaching weren't operated real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e female group felt more deeply than male group, under 10 years and 10-20 years career groups felt more deeply than over 20 years career group. Also the public school group felt more deeply than private school group. 5. In an area of the teacher's attitude about teaching supervision, all teachers felt heavily teaching observation by supervisor, and they didn't demand the guide and advice from the supervisor to solve the questions. There weren't the statistic probability at personal and school variable, but under 10 years and 10-20 years career groups felt more deeply than over 20 years career group. 6. In an area of the supervisor's role and quality, all teachers felt that the smoth con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upervisor wasn't realized, and the supervisor wasn't positive for the teacher's affair. Especially the female group felt more deeply than male group, under 10 years and 10-20 years career groups felt more deeply than over 20 years career group.;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문제는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활동인 수업에 달려 있으며, 또한 수업의 효과는 학습의 효과를 좌우하고 수업의 질을 좌우하는 교사의 수업능력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장학은 교사의 수업행동 및 수업기술의 개선에 초점을 두는 수업장학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업장학의 필요성에 부응해서 현장에서의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수업장학에 대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장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설문지 문항을 20개로 작성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시내에 소재하는 공. 사립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14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69.78%였다.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서 각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하여 수업장학 구성 요인을 결정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즉, 수업장학의 필요성, 수업 장학의 사전계획과 재정지원, 수업장학의 과정, 수업장학의 방법,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수업장학담당자의 역할 및 자질 등 6개 요인으로 결정하였다. 그런다음에 각 요인별로 5점 척도에 따른 반응의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각 요인 마다 교사들의 의식을 성별, 근무년한별, 학교 설립별로 비교분석하였고, T-검증,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통해 P값의 .01과 .05 수준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장학의 필요성 요인에 대해 교사들 전체가 수업을 하면서 준비가 부족하고, 수업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에 '그저 그렇다'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남·여교사와 공· 사립학교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0-20년 교사들과 20년 이상 교사들이 10년 미만 교사들보다 '그저 그렇다'에 더 가까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수업장학의 사전계획과 재정지원 요인에 대해 교사들 전체가 수업장학 담당자는 치밀한 사전계획과 방법으로 교사를 지도하고, 수업연구나 평상시의 수업을 위하여 수업장학 담당자로부터 필요한 자료 및 도구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 받는 데에 '별로 그렇지 않다'에 가까이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여교사가 남교사 보다, 10년 미만 교사들과 10-20년 경력의 교사들이 20년 이방 경력의 교사들보다 데 사전 계획과 재정지원이 없다고 느끼고 있었으나, 공·사립학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수업장학의 과정 요인에서 교사들 전체가 현재의 장학지도가 교차들의 수업지도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문서 검증 정도로 이루어지고, 수업장학의 과정은 수업관찰에 대한 피상적인 강평정도로 간략하게 진행되고, 수업연구나 교재 연구에 있어서 수업장학 담당자보다 동료교사들의 도움을 더 많이 받고, 과다한 수업시간과 업무로 인해 수업장학에 대한 시간을 투자할 수 없고, 학급당 학생수가 많아 수업을 개선하고 지도하기가 어렵다는 것에 '대체로 그렇다'에 가깝게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10년 미만 교사들과 10-20년 경력의 교사들이 20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보다 더 장학지도가 교사들의 수업지도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으나, 공·사립학교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넷째, 수업장학의 방법 요인에 대해 교사들 전체가 학교에서는 교사들의 수업방법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교과협의회나 연구·시범수업을 내실있게 운영하는 데에 '별로 그렇지 않다'와 '그저 그렇다' 사이에서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여교사가 납교사보다, 10년 미만 교사들과 10-20년 경력의 교사들이 20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 보다, 공립학교 교사들이 사립학교 교사들보다 더 교과협의회나 연구 시범수업이 수업방법 개선에 도움을 주도록 운영되지 뭇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요인에서 교사들 전체가 수업 진행시에 수업장학 담당자가 수업을 관찰하는 것이 부담스럽고, 수업활동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장이나 교감에게 지도·조언을 요청하지 않는다에 '대체로 그렇다'에 가까이 느끼고 있었다. 여기서는 남·여교사와 공·사립학교간에 유의 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0년 미만 교사들과 10-20년 경력의 교사들이 20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보다 더 수업장학 담당자나 교장·교감에게 지도를 요청하지 않는다고 느끼고 있었다. 여섯째, 수업장학 담당자의 역할 및 자질 요인에 대해 교사들 전체가 수업장학 담당자와 교사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교사와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교사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별로 그렇지 않다'에 가까이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10년 미만 교사들과 10-20년 경력의 교사들이 20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보다 더 수업장학 담당자와 교사와의 협력관계가 유지되고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으나 공·사립학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