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확실-
dc.contributor.author임진자-
dc.creator임진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85-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도덕성 발달 연구는 도덕성의 한 일부인 도덕적 판단 능력이나 도덕적 판단수준 그리고 도덕적 사고 등에 관한 측정만을 시도해 왔다. 도덕성이라고 하는 것은 여러가지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과 평가에 있어서 주로 인지적인 측면만을 측정한 추 그것을 그 사람의 도덕성이라고 간주했던 것이다. 도덕성에는 인지적인 면도 중요한 구성 부분이긴 하지만, 이것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정서, 감정, 동기, 신념 등 정의적인 측면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도덕성을 측정할 때는 이러한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도덕성을 서로 분리된 특성들의 단순한 집합으로 간주하여 Bloom과 같이 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가 구별되어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된 테스트로 양 측면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조난심, 정재걸이 개발한 통합적 접근에 의한 평가모형을 현장에 적용하는데 의의를 두고 아동들의 도덕성 유형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1. 통합적 평가 모형에 의한 4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어떠한가? 그리고 도덕성 유형에 있어서 남·여의 차이는 있는가? 2. 통합적 평가 모형에 의한 5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어떠한가? 그리고 도덕성 유형에 있어서 남·여의 차이는 있는가? 3. 통합적 평가 모형에 의한 6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어떠한가? 그리고 도덕성 유형에 있어서 남·여의 차이는 있는가? 4. 통합적 평가 모형에 의한 4, 5, 6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학년이 높을수록 그 수준도 상위 수준에 있는가? 그리고 학년의 높이에 따른 남.여의 도덕성 유형의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문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 도구는 조난심·정재걸의 통합적 평가 모형이다. 이 모형을 결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 사용함에 있어서 조난심·정재걸이 4가지 기본 유형 외에 기타로 분류한 유형을 본 연구에서는 5가지로 더 상세히 분류하여 제시했다. 아동들의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무도덕형(40.54%)이 주된 도덕성 유형으로 나타났고, 이상형은 여자아동 한 명 뿐이었다. 각 유형과 성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5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무도덕형(48.89%)이 주된 도덕성 유형으로 나타났고, 이상형은 한 명도 없었다. 각 유형과 성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셋째, 6학년 아동의 도덕성 유형은 무도덕형(39.96%)이 주된 도덕성 유형으로 나타났고, 이상형은 여자아동 한 명 뿐이었다. 각 유형과 성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넷째, 학년의 높이에 따른 도덕성 유형은 학년이 높다고 해서 도덕성 유형도 상위 수준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각 유형과 학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리고 남·여의 비교에 있어서 남·여 모두 학년 수준과 도덕성 유형의 수준은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도덕성유형의 수준이 상위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과 학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아동들의 주된 도덕성 유형은 무도덕형으로 나타났고, 이상형의 아동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의 도덕 교육은 도덕적 자극과 도덕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의 수업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즉, 도덕적 문제에 대한 지적인 이해나 안목을 길러주고, 동시에 도덕적 문제에 대한 공감이나 행동 경향성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도덕과 교육활동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The existing study about morality development has tried only the measurement about the moral judgement ability or moral judgement level and moral thought etc., which are one part of morality. Though the morality has various attributes, after measuring only the cognitive domain in moral, education and evaluation mainly, it was regarded as the morality of the person. Though the cognitive domain is important composition part in morality, the affective domain such as emotion, sentiment, motive and faith etc., to be able to support this acts as the important elements. So, in measuring the morality, the integrated evaluation to consider this affective domain must be made. Thus, both sides must be executed with the same test simultaneously, without being executed by the distinction of evaluation method about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like Bloom, through regarding the morality as the simple set of mutually divided fea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established this study issues as follows, so as to evaluate the morality type of children integrally, by laying significance in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that Cho, Nan-shim and Jung, Jae-geol developed to spot, so that these points at issues may be overcome. 1. How is the morality type of the 4th grade children which is based on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And, in the morality type,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2. How is the morality type of the 5th grade children which is based on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And, in the morality type,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3. How is the morality type of the 6th grade children which is based on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And, in the morality type, is there and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4. In the morality type of the children at the 4th, 5th and 6th grades which is based on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according as the grade gets high, is the level in the upper class? In addition,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morality type of males and females attendant upon grades? The result to have analyzed the questionnaire of the children about this study issue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orality type of the 4th grade children, it emerged that the nonmoral type (40.54%) is main morality type. And, in the ideal type, there is only one female chil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 .05) between each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statistically. Second, as for the morality type of the 5th grade children, it emerged that the nonmoral type (48.89%) is main morality type. And, in the ideal type, there was not any one chil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each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statistically. Third, as for the morality type of the 6th grade children, it emerged that the nonmoral type (39.96%) main morality type. And, in the ideal type, there was only one female chil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each type and the distinction of sex statistically. Fourth, as for the morality type attendant upon the height of grade, though the grade is high, morality type was not in the upper level.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ype and grade statistically(p).05). In addition, in the comparison of males and females, the grade level and the level of morality type were not consistent about all of males and females. But, it emerged that the level of morality type of female children is in the upper level than that of male childre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ype and grade statistically(p>.05).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above study result is as follows: The main morality type of children showed as nonmoral type, and the children of ideal type were only extremely small number. So, as for the moral education in school, it is deemed that the teaching and evaluation with the diverse methods to be able to induce the moral stimulus and moral thought must be made by getting out of the existing study centering indoctrination or the teaching of memorizing type of moral concept. That is, it is deemed that it must be improved with the integrated method to foster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or appreciative eye about moral issue and to be able to promote the sympathy or action tendency about moral issue, at the same tim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moral education activity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consider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의 배경 = 1 B. 연구의 필요성 = 3 C. 연구 문제 = 7 D.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10 A. 도덕교육의 접근 및 분석 = 10 B. 도덕과 평가의 접근 및 분석 = 22 C. 도덕성의 측정 및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분석 = 41 Ⅲ. 연구의 방법 = 54 A. 연구 절차 = 54 B. 연구 대상 = 54 C. 자료 수집 기간 = 55 D. 도구 = 56 E. 분석 절차 = 57 F. 자료의 분석 준거 = 57 Ⅳ. 결과의 분석 및 해석 = 62 A. 전형적인 반응 경향 = 62 B. 분석 결과 및 해석 = 66 Ⅴ. 결론 및 제언 = 79 A. 결론 = 79 B. 제언 = 81 참고문헌 = 83 부록 = 91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00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통합적 평가 모형-
dc.subject아동-
dc.subject도덕성 유형-
dc.subject평가 모형-
dc.title통합적 평가 모형의 접근에 의한 아동의 도덕성 유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ildren's Morality Type based on the Intergrated Evaluation Model-
dc.format.page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