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성향간의 연구

Title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인관계 성향간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by a daughter of a parent's child-rearing manner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uthors
진민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부모양육태도대인관계 성향여자대학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찬화
Abstract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생애의 전 과정을 보내게 되는 사회적 존재라는 점에서 인간의 적응 문제에 대인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러한 사회생활의 최소단위인 가정에서 인간은 최초의 인간관계를 가진다. 이 사회적 관계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 부모로서, 부모란 인간이 성장 발달하는데 최초로 갖게 되는 사회적 경험과 동일화의 대상이며, 또한 대인관계나 교섭양식의 모범(modeling)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개인의 대인관계 성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함께 연구하는 것은 의의 있는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를 통한 사회적 적응의 과정에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그들의 대인관계 성향을 알아보고 이 양자간의 관계를 파악 하는데 있다. 연구조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오성심·이종승(1982)이 제작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와 김재은(1980)의 대인관계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딸이 실제로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딸의 대인관계 성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적률상관계수를 내어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딸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각의 전체점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가 아버지의 양육태도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딸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각각의 차원은 차이가 있게 나라났다. 애정지향적 양육태도와 성취지향적 양육태도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았고, 자율지향적 양육태도와 합리지향적 양육태도에서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나므로, 어머니와 아버지간의 양육태도에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출생순위, 형제수, 부모학력, 부모직업, 부모의 종교유무에 따른 딸이 지각한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양육해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단지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애정 지향적, 자율 지향적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맏이가 중간보다 각각의 차원에서 양육태도 점수를 높게 지각했다. 父의 학력에 따라서는 자율 지향적, 성취 지향적, 합리 지향적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아버지가 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보다 대학교 중퇴 및 졸업한 경우에 각각의 차원에서 양육태도 점수를 높게 지각했다. 그리고, 종교의 有無에 따라서는 애정 지향적, 성취 지향적 양육태도에서 아버지가 종교가 있을 경우에 각각의 차원에서 양육태도 점수를 높게 지각하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출생순위, 형제수, 부모학력, 부모직업, 부모의 종교유무에 따른 딸의 대인관계 성향 각각의 차원은 출생순위, 형제수, 부의 학력, 부모의 중교有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출생순위에 따라서는 공격적-가학대적 행동에서 외동이가 중간에 비해 높은 성향을 보였고, 경쟁적-자기도취적 행동에 있어서는 외동이가 맏이, 중간, 막내에 비해서 높은 성향 출생순위, 형제수, 부모학력, 부모직업, 부모의 종교유무에다. 형제수에 따라서는 공격적-가학대적 행동, 경쟁적-자기도취적 행동에서 형제수가 단 1명, 즉 자신 혼자일 경우에 형제수가 2명 이상일 경우보다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父의 학력에 따라서는 아버지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보다 대학원을 졸업한 경우에 협동적-과도인습적 행동에서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부모의 종교의 有無에 따라서 부모 둘 다 종교가 있을 경우에 협동적-과도인습적 행동에서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4. 딸의 대인관계 성향중에서 딸의 지배적-독재적 행동은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각 차원중에서 아버지의 성취 지향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책임감-초정상적 행동은 아버지의 애정 지향적, 자율 지향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애정 지향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딸의 협동적-과도인습적 행동은 아버지의 자율 지향적, 성취 지향적, 합리 지향적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애정 지향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반항적-불신적 행동은 어머니의 자을 지향적 양육태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5. 여대생의 일반적 대인관계 성향은 협동적-과도인습적 행동, 책임감-초정상적 행동, 유순적-의존적 행동에서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공격적-가학적 행동, 경쟁적-자기도취적 행동, 반항적-불신적 행동에서는 낮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딸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보다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대인관계 성향에서의 유의한 상관을 보이므로 부모의 역할중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딸의 대인관계 성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아버지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볼 수 있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딸의 대인관계에 중요한 작용인임을 알수 있었다.;When we consider the fact that human beings are social beings, who spend their entire lives in relationship with other human being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in social adjustment. Human beings experience the very first human relationship in the family, which is the smallest unit of social life.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is social relationship are the parents; the child has the very first social experience with his parents, Parents are also the very first objects of identification of the child, and they become the very first model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is context, studying the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 as a variable which influence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is very important. This thesis tries to show the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social adjustment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pattern. Also, it will try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or research, I have used the the rearing attitude study produced by Sung-Shim Oh and Jong-Seung Lee(1982)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agnosis index made by Jae-Eun Kim(1980). For samples, I have surveyed 168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in a 4-year college in Seoul and Kyoung-Ki. For the analysis of the sources, t-test was mde to meas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actually peceived by the daught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o daughter's interpesonal relationship pttern and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verification was made b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As for the total score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the rearing attitude score of the mother came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father.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each level of the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In affection-inclined rearing attitude and achievement-inclined rearing attitude, the score of the mother was higher than the father; in autonomy-inclined rearing attitude and rationality-inclined rearing attitude, the rearing attitude score of the fath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ther and tile mother was statiscally significant. 2. The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according to the order of birth,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tile level of education of the parents, the job of parents and whether the parents had a religion or not thoes variable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ly in affection-inclined and autonomy-inclined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year of birth in the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The eldest of a family gave higher rearing attitude score than the in-betweens of a fami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utonomy-inclined, achievement-incilned and rationality-inclined r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father. Fathers who graduated or dropped out of college received higher(more optimistic) rearing attitude score in each level than the fathers who graduated or dropped out of highschool and graduate school. If the father has a religion, higher(more optimistic) score was perceived in affection-inclined and achievement-inclined rearing attitude. Thu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3. Eac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the daughter according to each variabl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rder of birth,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father and whether the parents had a religion or not. Depending on the order of birth, an only child showed higher pattern in aggressive-sadistic behavior than the in-between child; in competitive-narcissistic behavior, an only child showed higher pattern than the eldest, middle or the youngest child. Depending on the number of child, an only child showed higher pattern than the child who had more than one or more brothers or sisters in aggressive-sadistic behavior and competitive-narcissistic,. As for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father, the fathers who graduated graduate school showed higher pattern in cooperative-overconventional behavior than the fathers who graduated high school. Also, if both of the parents had religion, a higher pattern was shown in cooperative - overconventional behavior. 4. As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the daughter, managerial-autocratic behavior of the daughter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achievement-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mong each levl of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daughter; responsible-hypernormal behavior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ffection-inclined and autonomy-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the affection-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Cooperative-overconventional behavior of the daughter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utonomy-inclined, achievement-inclined and rationality-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the affection-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And rebellious-distrustful behavior ha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utonomy-inclined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5. Generall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pattern in cooperative-overconventional behavior and responsible-hypernorm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aggressive-sadistic behavior and competitive-narcissistic behavior showed low pattern.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perceived by the daughter. A meaningful correlation is shown in the interpersonal relatioship pattern according to the rearing attitude of the father rather than that of the mother. Thus, the role of the father can be said to have a crucial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ttern of the daughter.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the role of the father is important; it is evident that the parental child rearing attitude greatly influences t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daught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