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국악곡의 표현력 신장 연구

Title
국악곡의 표현력 신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expression ability of Korean Music : Focusing on folk song
Authors
金仙子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국악곡표현력음악교육민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Western music expresses its tone color as harmony variously , our Korean music expresses the contents of song words variously with quality of sound. However, our Korean music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is almost written in five staffs .most teachers instruct Korean music using pianos or organs. In this way students can't feel and taste our own music correctly. Therefore, the instruction to singing our folk songs appeared a lot in the current textbooks,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how to teach the students to sing traditional music ga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and express our traditional music correctly Besides, they can hopefully appreciate and love our Korean music. This study instructed students the breathing method called the abdomen different from general breathing for a correct vocalization, tried singing as 'Tong-Sung' to vocalize according to our 'Chang' method, selected how to express by marking Si-Gim-Sae and wrote words of songs in our traditional music, Jung-Gan-Bo, for how to express music according to local To-ri is very various. The Korean music instruments such as Kayakeum. Jangu, Bug, Jing, Sogo were accompanied in this way. As a result. First, after students breathed in enough as the abdomen and then stopped, they breathed out slowly while we count about fifty. At first every student breathed out while counting about 10∼30(times) but after actual practing, 86.67pencentage of the students could breath out till counting 20∼40 times. Everyone, therefore, could sing folk songs in enough breath. Second, when students made vocalization with musical scales according to To-ri and refrains, they took that part very gail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o-ri easily and made a natural Tong-Sung vocalization. Third, for the way teaching words of folk songs we have a fixed idea that is very difficult to follow both with listening and with singing. But after actual learning, students could easily imitate such a hard rhythm as Jung-Sun Arari. That showed us our traditional instruction, 'impart by lips and heart' is a very good way. Fourth, we tried posing questions which Mok had a frog in their throat about expressing 'Si-Gim-Sae', students answered as following orders. Heuruˇnuˇn Mok(Flowing sound), Minuˇn Mok(Pushing sound) GGoˇknuˇn Mok (Cutting sound), DDoˇnuˇn Mok (Vibrating sound). That told us that DDoˇunuˇn Mok expression is the most difficult. Fifth, this study instructed students by Jung-Gan-Bo which the words of song were written. As a result they could read and imitate Chang-Dan easily looking at the music scale and could express Si-Gim-Sae easily. But if they don't learn completly, to sing for themselves was so difficult because Yul-Myong was not written. Sixth, after learning folk songs it became clear that students got a gradual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our music. As for their opinion, before learning they thought Korean music was so difficult that they hardly tried to sing or listen to it. But after learning, they felt like singing or listening to it after they had learned the traditional rhythm. Provided with frequent chances to face our own music, students are expected to enjoy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eagerness and pride in the future.;서양음악은 화음으로 소리의 色을 다양하게 내는 것이 특징이고 우리 성악에서는 그 소리의 질을 가지고 가사가 갖는 내용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현재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우리 악보는 거의 오선보로 표기 되어 있어 교사들은 대부분 피아노나 오르간에 맞추어 지도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음악을 서양음악과 같은 방법으로 지도하여 우리의 멋과 맛을 느낄 수 없다. 따라서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음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민요를 중심으로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적 체험과 전통음악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표현력을 기르며 더 나아가 민족 고유의 음악을 사랑하며 아끼고 우리 음악답게 멋을 살려 흥겹게 부르게 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올바른 발성을 하기 위하여 일반호흡법과는 달리 단전에서 기를 모아주는 단전호흡의 방법을 지도하였고 우리 창법에 맞게 발성하기 위하여 통성발성으로 노래하였으며 지방적 토리에 따라 곡의 표현 방법이 다양하므로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우리 고유의 악보인 정간보에 가사를 기보하고 시김새를 표시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며 반주악기로는 가야금, 장구, 북, 징, 소고를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지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전호흡의 방법으로 숨을 많이 들이 쉰 다음 멈춘 후 50을 셀 동안 서서히 내뿜는 방법을 시도하였더니 모든 학생들이 10∼30 정도로 내쉬었는데 연습후에는 86.67%가 20∼40 정도로 호흡량이 길어져 민요를 부르는데 호흡이 부족하여 못부르는 학생은 없었다. 둘째, 토리에 따른 음계와 받는 부분으로 발성하였더니 학생들이 한층 흥겹게 참여 하였고, 토리에 따른 특징을 쉽게 구별 하였으며 우리음악의 통성발성이 자연스럽게 나왔다. 셋째, 가창지도에 있어 듣고 부르기로 하면 보고 부르기 보다 어딘지 모르게 부정확한 것 같고 미흡해 보였지만 실제로 듣고 부르기로 지도해 보았더니 오히려 어려운 정선아라리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우리의 전통적 전수방법인 口傳心授가 음악에서 아주 좋은 방법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넷째, 시김새 표현에 있어서 설문내용 중 어떤 목이 쉬웠는가에 대한 질문에 흘러 내리는 목, 미는 목, 꺾는 목, 떠는 목 순으로 나온 것으로 보아 떠는 목 표현이 가장 어려웠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정간보에 가사를 기보한 악보로 지도한 결과 학생들은 악보를 보고 장단대로 빨리 읽고 쉽게 따라 하였으며 시김새도 쉽게 표현하였으나 율명이 기재 되지 않아 완전히 익히지 않을 경우 혼자 부르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여섯째, 민요를 배운후 우리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 및 흥미도가 현저하게 달라졌다. 학생들의 표현에 따르면 배우기 전에는 어려워서 듣기도 싫고 부르기는 커녕 텔리비젼에서 나오는 것도 보기 싫었는데 배운 후에는 나올 때마다 부르고 싶고 듣기 좋고 재미있다는 표현을 하였다. 모든 사람들이 자신감이 있으면 표현력도 활발해 지듯이 학생들에게 이런 기회를 자주 마련해 주어 자신감을 심어 주고 어디서나 흥겹게 부를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