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초기음악교육의 실태와 그 개선방안의 탐색

Title
초기음악교육의 실태와 그 개선방안의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e of early Music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 for Its Improvement : focused on music instruction for kindergarten and the 1st,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손소영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초기음악교육개선방안유치원국민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홍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을 음악적 감수성이 가장 급속하게 발달하는 시기인 유치원과 국민학교 1, 2 학년 어린이들의 음악 지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의 초기 음악교육이 어린이들의 일반적인 성장 특징이나 음악적 성장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음악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초기 음악교육의 지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실태 조사가 요구된다. 따라서 초기 음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와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음악 지도의 실태 조사로서 문교부 발행 교사용 지도서와 지침서 등을 검토하고 유치원과 국민학교 1, 2학년의 음악 수업을 참관,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다음에, 이를 도출된 바람직한 방향에 비추어 봄으로써 초기 음악 지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참관한 음악 수업들은 가창 기능 향상에 지나치게 주력하고 있으며, 한 시간 동안 하나의 제재곡을 다루는 데 음악 시간의 대부분을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포괄적인 음악적 경험을 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2. 본 연구를 통해 참관한 음악 수업들은 교사중심의, 음악행위 위주의, 반복 활동이 전부이며, 음악 수업에서의 창의적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감상 학습에서도 음악미를 스스로 탐색하거나, 음악의 개념이나 악곡의 형성 원리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되지 않고 단순히 악곡을 듣는 행위에 그치고 있다. 3. 어린이들이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음악 수업 구성시 가창, 연주, 창작, 감상 등의 분야를 어느 한 분야에 치우침이 없이 다양하게 계획해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창의적인 음악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어린이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악곡을 제공하고, 그 악곡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이끌며, 이해된 것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또한, 어린이들의 음악적 심성의 계발을 위해서는 교사가 음악을 지도하면서 장점을 칭찬해 줌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길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초기 음악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음악의 심미적 체험, 창의적 음악 능력의 향상, 그리고 음악적 심성의 계발을 음악 지도의 목적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창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기 위해 유치원과 국민학교에 충분한 음악 기자재들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교육부가 교육과정에 보다 더 구체적인 음악 학습 지도 개념과 과정을 명시하고, 더 나아가서 유치원과 국민학교 음악 학습이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In the period of kindergarten and 1st,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usical sense grows most rapidly, and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it in music. But it is pointed out that todays the early music education leaves out of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and musical growth.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early music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arly music education to improve it.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desirabl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through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se the objects and contents of the guidances for teacher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nd finally actual music class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comparing with the desirable direc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consider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 couldn't have comprehensive music experiences, because teachers spent the most time to sing a song during the unit class time period. 2. There is little creative activity in the music class. At the listening class, children also don't search the beauty of music themselves and don't be led to feel the formation and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3. In the design of music class, the teachers should balance the fields of singing, playing, creating, listening, etc. for children to have the musical aesthetic experience. And they should offer children appropriate music, lead them to understand it sufficiently, and encourage them to express it creatively for them to improve their initiative musical ability. And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musical mind and to have the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music, it is desirable that teachers praise children at work as many as possible.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s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arly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targe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itiative musical 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musical mind. It is suggested that enough musical facilities must be set up 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o escape the status in which children only sing a song in music classes.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tes clearly the musical concepts and the procedures in the curriculum more definitely, furthermore, and organizes the kindergarten and early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having re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