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감정적 영역의 평가를 위한 중학교 음악과 평가모형 및 문항개발 연구

Title
감정적 영역의 평가를 위한 중학교 음악과 평가모형 및 문항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l and Test Items for the Evaluation of affective Domain in Junior High School Music Program
Authors
徐恩智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 음악평가모형문항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숙
Abstract
The education for human being is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and it aims at harmonious development of one's intelligence, virtue and health. But nowadays our education has been blamed for preponderance knowledge. That is because school education has no given heed for desirable development of affective domain and its evaluation, only emphasizing on knowledge or training. Thus This study has been tried to develop the items of affective domain in which has not been interested in the school education. That effort is for coincidence between learning evaluation and the goal or contents of Music. This study has been looked into several elements carefully as follows, prior to achieving this goal. First,' there was examined the meaning of affective domain evaluation, in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affective domain evalu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ed researches. Then some items for evaluation referred to Krathwohl and Bloom's criteria for overcomming this problems had been made in this study. The stages of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were divided into 5 stages : receiving, responding, valuing, organization. and characterization. The items for evaluation have been made of the tools in their lower level subdivided into and developed for myself. The education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a lower level as follows :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receiving stage : "preference", "affirmative response", and "satisfaction" in responding stage : "voluntary inquiring experience", "ardor", and "leadership", in valuing stage: "conceptualization of value" and "importance cognition" in organization stage : "aptitude", "contribution" and "frequency of musical activity" in the characterization. The level of evaluation was divided into general level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specific level related to a specific course of study. At the same time the inter-relations among affective, cogni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ere considered. In the tools for evaluation, the 'Likert-scale'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evaluating tools in values and attitude test was used. In this study there has been tried to develop some concrete and subdivided items for the evaluation of affective domain in which has not been interested so far. These items will be expected to help for the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affective domain more clearly and definitely.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evaluation of affective domain should be performed in practical music class. It also suggests what kinds of interest, view of values, and attitudes are the motivation of intellectual learning achievements.;음악은 인간의 생각이나 감정 등을 조직화된 소리를 통하여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러한 예술적 활동을 통해 인간은 자아의 실현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 누리게 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중학교 음악 교육과정은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능과, 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 능력을 기르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음악 교육은 조화로운 전인적인 인간 발달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육은 지식 교육의 편중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학교가 바람직한 감정적 영역의 발달과 이에 대한 평가를 등한히 하고 오로지 지식 교육에만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과 학습 평가가 교육의 목표와 내용, 과정에 부합되고 어느 특정한 영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외면되다시피 해온 감정적 영역(affective domain)을 중심으로 하여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는데 앞서서 먼저 인지, 정신운동, 감정적 영역 평가에 대한 정의 및 개념과 의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적 영역 평가의 실태 및 문제점을 선행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감정적 영역의 평가문항을 작성하였는데, 그 기준으로는 크래쓰월(Krathwohl)과 블룸(Bloom)등에 의해서 분류된 감정적 영역의 발달 단계를 참고로 하였다. 즉, 감정적 영역의 발달 단계를 수용, 반응, 가치화, 구성, 가치의 특징화의 5가지 단계로 나누고, 그 하위 수준은 본 연구자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측정 영역의 세분화를 통하여 평가 문항을 작성하였다. 즉, 수용의 단계에서는 '관심 및 참여'로, 반응의 단계에서는 '흥미', '긍정적 반응'과 '만족'의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가치화의 단계에서는 '자발적 탐구경험', '열정', '리더쉽'으로, 구성의 단계에서는 '가치의 개념화'와 '중요성 인식'의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의 특징화의 단계에서는 '적성'과 '기여', 내면화 된 '음악활동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평가 문항은 학생 스스로 평가하도록 하는 문항과, 교사가 평가하도록 하는 문항으로 이원화(二元化)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문항은 감정적, 인지적, 정신운동적 영역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작성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태도측정 도구인 라이커트(Likert)척과 체크리스트(check list)를 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소외되어 온 감정적 영역의 평가를 위해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평가 문항을 개발하므로써 감정적 영역의 특성을 모호하고 막연한 언어로 이해하고 있는 수준에서 보다 명확히 하고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였으며, 실제 음악과 수업에서 감정적 영역의 평가를 시도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어떤 흥미나 가치관, 태도가 지적인 학업 성취의 원인이 되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