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사회과의 정치영역 교육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과의 정치영역 교육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s of Politics Education Contents : Especially in the Society Textbooks ranging from 1955 to 1990
Authors
하영란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사회과정치영역교육내용고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숙자
Abstract
The education of politics ai s at having the people join the political activities more positively with correct political knowledge, improving their democratic quality to solve political matters rationally, and, fundamentally,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nation and a welfare society. for Korea after liberated from the Japanese rule, the polities education appears to be of more importance than anything else, for the had to develop her democracy and nation together. As the politics education has its contents from the political situations, the components of politics texts have been repeatedly modified following the modification of curricula in accordance with every change of political system. The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politics education by not only analyzing the contents of politics education ranging from the first to the fifth curricula periods but also exploring their natures. To do so, positive studies for seniors' liternatures and analysis of school textbooks have been done toegther. 7 main-subjects and 20 sub-subjects are chosen inpolitics arena and set as standards to analyze the textbooks, Their results are as fellows: As for the analytical result of text-book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each period, first, political education is found to be fra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a political system. In the authoritarian system of 1,3,4 republics under which 1,2,3 curriculum periods were put into practice, the contents were emphsized to include reasonalization of political regime of ruling system of the time. The curriculum in 1 period indicated that the contents of which were given much weight on the concept of political ideology which strengthened on the area of political organization and anti-Communism, and that of 2 period was focused mainly on the contents of specific area of foreign relationships that could back up the unification policy of 3 republic. 3 period curriculum was constructed maintaining consistancy with the contents of democracy of Korea,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security, in order to bring forth the necessity of renovation which the centralization system was put into practice throughout the whole area. Outwardly opposing to a renovation but adopting a democratic welfare state and was handed down by the character of authoritarian system of 4 republic as it is, the 4th curriculum in 5 republic managed densely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the area of political consciouness and these of reasonalization of 5 republic regime in area of political development of Korea. The 5th curriculum of the 6 republic, which was greatly affected by the people's eager desire of democratization in process of the republic's formation, was emphasized to include the contents of fundamental principle of democratic politics and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s through whole areas. Secondly, as for the analytical result of text-book contents of each area, the contents regarding legitimacy of governmental powe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people were minimized to include. Throughout the whole period, the higher areas, such as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treated intensely, while the ones, such as the political power, legitimacy, politics, public opinions, and political group, etc., were treated insignificantly. Consequently, I could conclude that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Korea have changed, carrying the same character as that of the political system to which they belonged. Thus, I could say that the politic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transforming into democratic welfare country, is free itself of the trend unswerving in the contents of reasonalization of governmental power in past and it is developing toward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quality of democratic citizens.;정치교육은 국민들로 하여금 정확한 정치지식을 바탕으로 정치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당면하는 정치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함양시키는 교과로서, 궁극적으로는 민주국가 발전과 복지사회 건설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후부터 민주화와 국가발전이 시급했던 우리나라의 현대사에 있어서 이러한 정치교육의 중요성은 그만큼 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 시기의 정치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변화되어온 정치교육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바람직한 정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선행 문헌 연구와 교과서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사회과 교육의 정치영역에서 주제 7개와 그에따른 소 주제 20개를 선정하고 이를 내용분석의 기준으로 삼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내용분석 결과를 보면, 정치교육은 정치체계의 성격에 따라 그 내용이 틀지워짐을 알 수 있다. 권위주의 체제인 1, 3, 4 공화국의 1, 2, 3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지배체제의 정권을 합리화 하기위한 내용이 강조되어 수록되었다. 제 1차 교육과정은 정치기구 주제와 반공을 강조한 정치적 이데올로기 주제가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제 2차 교육과정은 3공화국 통일정책을 뒷받침하는 내용의 국제관계의 특질 주제를 가장 비중있게 다루었다. 제3차 교육과정은 교과서 전체에 걸쳐 중앙집권체제인 유신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각 주제별로 한국민주주의, 경제성장, 안보를 강조한 내용으로 일관되게 구성되어있다. 표면적으로는 유신을 반대하고 민주복지국가를 표방하였으나 실제로는 4공화국 권위주의 체제 성격을 그대로 물려받은 제5공화국의 제 4차 교육과정은 민주시민성에 관한 내용을 다룬 정치의식 주제를 밀도있게 다루었으며, 그와 함께 5공화국 정권을 합리화하는 내용의 한국정치발전 주제를 비중있게 다루었다. 성립의 과정에서 국민의 민주화 열망에 많은 영향을 받은 제 6공화국의 제5차 교육과정은 정치영역 전 주제에 걸쳐 민주정치의 근본원리와 민주시민의 자질에 관한 내용을 강조하여 수록하였다. 둘째, 주제별 교과서 내용분석 결과를 보면, 권력의 정당성과 국민의 정치 참여에 관한 내용이 최소화하여 수록되어졌다. 전시기에 걸쳐 가장 높을수록 비중을 보인 주제는 정치기구와 사회통제였으며, 미미하게 다루어진 주제는 권력, 정당성, 정책, 여론, 정치집단 등이다. 결국, 우리나라의 정치교육의 내용은 정치체제와 그 성격을 같이하며 변천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주복지국가로 변모해가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정치교육은 과거 정권을 합리화하는 내용으로 일관되어 오던 경향에서 벗어나 민주시민 자질 함양에 더욱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