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국민학교 육학년 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

Title
국민학교 육학년 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康貴愛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국민학교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건강은 모든 사람이 바라는 소망이며 행복의 기준이 되는 인간의 기본권으로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먼저 개인이 자신의 일상생활속에서 자신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한 행동을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보건은 성장발달이 왕성하고 습관형성기인 국민학교 아동들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증진사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 연구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본으로 몇가지 요일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의 이론적 이해와 학생의 건간증진행위를 도모하고자 하는 보건교육프로그램 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국민학교 6하년 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성별·건강지식·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상계동에 위치한 "ㅅ" 국민학교 6학년 학생 230명이었다.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1년 9월 24일 부터 27일까지 4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기경숙(1985)이 개발한 건강행위 실행측정도구, 지각된 건강 상태 측정도구, 건강에 대한 중요성인석 측정도구는 Wallston Maides Wallston(Pender, 1982)이 개발한 건강가치척도 (Health Value Scale), 송현저(1990)가 개발한 건강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행정도 측정은 평균 135.8점을 나타내 최대점수 176점에 대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77.2%의 실행수준을 나타냈다. 건강지식은 79.7점의 평균을 나타냈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다 28.1%, 건강하다 43.0%, 보통 25.9%, 나쁘다 3.1%, 매우 나쁘다 0%로 나타났다.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정도는 대상자의 81.4%가 건강이 삶에 있어서 높은 (High) 가치순위를 차지한다고 응답하였다. 2. 가설검정 결과 a. 가설 "성별에 따라 지각된 건강상태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 -2.88, p = 0.004) b. 가설 "성별에 따라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지지되지 않았다. (t = -0.88, p = 0.383) c. 가설 "건강지식 정도에 따라 지각된 건강상태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r = 0.1628, p p= 0.007) d. 가설 "건강지식 정도에 따라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 = 0.1586, p = 0.008) e. 가설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실행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 = 0.1421, p = 0.016) f. 가설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실행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 = 0.1401, p = 0.017) 3. 건강증진행위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지식이 24.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가장 예측력이 컸으며 성별·지각된 건강 상태·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의 변수를 합하면 건강증진행위 실행에 27.6%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일부 조정요인과 인지-지각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으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의 부분이 지지되는 결과였다. 따라서 건강증진행위를 예측하는데 있어 Pender의 모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음으로 계속적인 연구를 제언한다.;People need practice health protecting and promoting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o enhance their well-be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hildren's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is study was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understanding of theory related to health promotion in nurs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and eventually toward the improvement of cli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 though health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five variables;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ne demographic factor---sex, health knowledge, perceived status health and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The subjects were 230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24-27, 1991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Health Behavior Scale developed by Ki (1985). Pender's Health Status Scale, the Health Value ale develope by Wallston, Maides, Wallston (1980) and the Health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Song (1990).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practice mean/ was 135.8 in a potential range of 44 to 176. The health knowledge mean was 79.7 (out of 100). Subjects' responses to their percived health status were very healthy 28.1%, healthy 43.0% and not healthy 3.1%. Subjects put a high priority on the importance of health (81.4%) 2. Results of the hypotheses testing the relationship suggested in Pender's Model. a. "The correlation of sex and percevied health status". was supported. (t =-2.88, p = 0.004). Boys perceived themselves as more healthy. b.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x and percevied importance of health. c. Health knowledg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correlated (r=0.11628, p=0.007). d. Health knowledge and percevied importance of health were correlated (P=0.1586, p=0.008). 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 (r=0.1421, p= 0.016). f. "The higher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health, the highe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 (r=0.1401, p=0.017).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bles predicting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ex, health knowledg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evied importance of health, accounted for 27.6% of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at order. The study contributes support in part for Pender's model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sex and health knowledge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also fou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the model to discover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 age and culturally appropriate instru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