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최윤희-
dc.creator최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2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행 유치원 생활기록부에 대한 국민학교 교사와 병설유치원 교사,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과 충청남도내의 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사립유치원을 임의로 선정하여 국민학교 교사 32명, 병설 유치원 교사 23명, 사립유치원 교사 39명의 총 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김 정희(1982)에 의해 개발된 "유치원 생활기록부개선을 위한 예비적 연구"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한 질문지와 면접지로 14명의 국민학교 교사, 병설 유치원 교사, 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뒤 연구자가 국민학교와 유치원을 직접 방문하여 교사가 작성한 질문지를 회수하여 면접하였다. 자료처리는 국민학교 교사, 병설 유치원 교사, 사립 유치원 교사간의 집단별, 연령별, 경력별 의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백분율에 의한 빈도 처리와 x^(3)검증을 하였으며 평가내용, 기록상황에 대한 병설 유치원교사와 사립 유치원 교사간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ANOVA처리를 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생활기록부 양식에 대하여 병설유치원 교사와 국민학교 교사에 비해 사립유치원 교사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기록부 양식의 개선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 국민학교 교사, 병설유치원 교사순으로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2.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표준화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가 국민학교 교사보다 더욱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3. 유치원 생활기록부 작성을 위한 아동에 대한 평가는 사립유치원교사가 병설유치원 교사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였다. 아동 평가시 강조하는 평가내용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는 전 항목에 대해 고루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국민학교 교사는 '인지발달영역'을 중요시하였다. 4.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기록상황에 대해서는 종합발달상황 기록시 병설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 모두 관찰기록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평가방법에서도 관찰기록방법을 선호하였으며 평가·기록시 이용되는 자료에서는 유치원 교사가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인 '행동관찰 기록부등의 기록'보다 '담임교사의 관찰과 기억'의 주관적 평가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작성시기에 대해서는 국민학교 교사가 유치원교사보다 자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5.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연계적 측면에 대한 필요성은 국민학교 교사보다 유치원 교사가 더 많이 인식하였다. 6.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기록사항에 대한 활용은 사립유치원 교사가 가장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생활기록부가 국민학교에서 유용하게 쓰여 지는가 하는 교사의 인식에는 사립유치원 교사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eacher's Cumulative Record keeping understanding between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primary school and private kindergarten. The teachers (94 persons in total: 32 persons from the elementary schools, 23 persons from the public kindergartens, and 39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Dae Jeon and Choong Chongnam do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questionaries, originally developed by Kim Jeong Hee (1982), were revised and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was that 14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and the kindergartens were preliminarily examined with the research materials,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 teachers in person to make the answers of the questionaries and to interview them. The method of frequency by percentage and chi (x^(2)) verification was employed to process the data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teachers of the kindergartens by the group and the age.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of the public kindergartens and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content of evaluation and the items of the records, the method of ANOVA was used.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form was in order of the teachers of the public kindergarten, the elementary school, the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improvement in the form of the Cumulative Record was necessitated by the teachers of the private kindergarten in that order. 2. The teachers of the kindergartens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in the kindergarten more than th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3. The teachers of the private kindergarten evaluate the child to draw the Record move Frequently than the teachers of the public kindergarten. In evaluating the child, the teachers of kindergartens believe all of the items to be considered, but the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think much of the domain of the knowledge advancement. 4. To draw the synthetic development aspect out of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the teachers of kindergartens use the observational description most, and they are interested in the observational description as a desirable evaluating method. In collecting the data, used in evaluating and drawing, the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prefer the subjective method like observation and memory of the teachers to the objective method like the description of behavior observation document. With the interval of drawing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advisable to be described at short intervals. 5. The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rather than the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for the connection of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to the elementary school. 6. The teachers of the private kindergarten make the best use of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and for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vailability of the child's cumulative Record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swer that they wou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생활기록부의 발달 = 6 1. 발달과정 고찰 = 6 2. 한국에서의 생활기록부 발달과정 = 8 B. 유치원 교육에서의 평가와 생활기록부 = 13 1. 유아교육에서의 평가 = 13 2.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의미 = 19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연구도구 = 23 C. 연구절차 = 24 D. 자료처리 = 25 Ⅳ. 결과 및 해석 = 26 A.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양식 = 26 B.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표준화의 필요성 인식 = 28 C. 평가내용 = 29 D. 기록상황 = 34 E.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연계적 측면 = 39 F. 유치원 생활기록부의 활용 = 40 Ⅴ. 요약 및 결론 = 51 A. 요약 = 51 B. 결론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59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40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생활기록부-
dc.subject교사-
dc.subject태도-
dc.title유치원 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ILDREN'S CUMULATIVE RECORD KEEPING IN KINDERGARTEN-
dc.format.page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