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임미숙-
dc.creator임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0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04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gain reference materials which can be useful in promoting and practically making use of the living skills learned through the Practical Course education by looking into and analyzing how the education of the living skills area is managed in the primary schools. For the study, with the aid of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author 489 teachers in public primary schools in Seoul are selected and asked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management situations, of the living skills area in the Practical Course for the study and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①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the living skills area is discovered to be higher than for the areas such as living plan and management, consumption and saving, and the understanding of job or work. ② The hours allocated for the living skills area are revealed that the skills for cultivation and breeding are allocated relatively many hours but the skills for the computer-related have insufficient hours. And, when the allocated hours are insufficient, teachers reported that they manage to make it by making up for it with their students homework. ③ For the teaching-learning of the living skills, the method of practical-exercise-at-home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area of Housekeeping, that of lecture and question-and-answer in the area of cultivation and breeding, and that of experiment and exercise in the area of machinery and construction and computer. The method of teaching-loaming which is thought to be most efficient in the whole four areas of living skills in the Practical Course education by most teachers, however, is reaveled to be the experiment and exercis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the method of teaching-learning is not executed accordingly and practically in the real education is reported the shortage of facilities, equipments, and teaching tools. Specifically speaking of the problems, the computer education does not have sufficient teachers with qualified loaming and the cultivation and breeding education is not well harmonized with the regional conditions. ④ The situations of the facilities, equipments, or teaching tools for the living skills education are discovered to be very insufficient and, especially, the materials for the cultivation and breeding education are most hard to prepare. ⑤ For the evaluation of the living skills, it is reported that practice test and paper-and-pen test a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but with more emphasis laid on the former. The practice test undergoes, step by step, the evaluations of plan, process, and result, wherea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s mostly utilized to obtain the records of their students. As the findings described above indicate,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the living skills in the Practical Course more efficiently the allocation of hours for the course must be tanken into consideration on the occasion of the 6th ammendment of the educational courses and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and capabilities. Additionally, finacial support should be offered for the expansion of the facilities, equipments, and teaching tools concerned and the regional ideas for the Practical Cours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lity.;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실과 生活技能領域의 敎育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調査·分析함으로써 실과 생활기능영역의 교육이 效率的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參考 資料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서울 지역 공립국민학교 교사 489명을 대상으로 실과 생활기능영역에 대한 중요성 認識度와 실과 생활기능영역의 교육 운영 실태를 調査·分析하였다. 연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갈다. ① 實科 生活技能 領域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는 생활계획과 관리영역, 소비와 절약영역, 일과 직업의 이해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②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시간 배당은 栽培·飼育 分野는 많이 배당되어 있는 반면, 컴퓨터 분야는 시간배당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 배당이 부족한 경우에 현장의 교사들은 가정 학습으로 대체하여 부족 시간을 충당하고 있었다. ③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敎授-學習은 가정 분야에서는 가정실천학습법이, 재배·사육분야에서는 강의·문답법이, 그리고 기계·공작분야와 컴퓨터 분야에서는 실험·실습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실과 생활기능 영역 4개분야 모두에서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실험·실습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교수-학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施設·設備·敎具의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들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컴퓨터 분야에서는 교사의 指導 能力 不足을 들고 있으며, 재배·사육분야에서는 지역적인 여건이 맞지 않음을 문제점으로 제기하고 있다. ④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교수-학습을 위한 시설·설비·교구의 현황은 매우 未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재배·사육분야의 자료는 준비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⑤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평가는 紙筆과 實技 評價를 병행하고 있는데 실기 평가에 비중을 더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기평가의 단계는 계획·과정·결과의 단계에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의 결과는 주로 학생들의 성적을 算出하는데 活用하고 있는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실과 생활기능 영역의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해서는 다음 6차 교육과정 개정시 시간배당에 관한 배려가 있어야겠으며,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기르기 위한 연수기회가 주어져야겠다. 그리고 시설·설비 교구의 확충을 위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지역성을 고려한 실과 교육과정의 지역안이 개발·보급되어야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B. 硏究의 問題 = 3 C. 硏究의 制限點 = 3 Ⅱ. 理論的 背景 = 4 A. 生活技能 敎育 = 4 B. 國民學校 實科 敎育 = 6 C. 實科 敎育課程 = 8 D. 先行 硏究 = 16 Ⅲ. 硏究方法 = 21 A. 硏究 對象 = 21 B. 硏究 道具 = 22 C. 資料 處理 = 23 Ⅳ. 結果 및 解析 = 24 A. 實科 生活技能 領域의 重要性 認識度 = 24 B. 實科 生活技能 領域의 敎育 運營實態 = 25 Ⅴ. 要約·結論 및 提言 = 40 A. 要約 = 40 B. 結論 = 42 C. 提言 = 44 參考文獻 = 45 附錄 (질문지) = 48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77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실과-
dc.subject생활기능영역-
dc.subject교육 운영 실태-
dc.subject초등교육-
dc.title국민학교 실과 생활기능영역의 교육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anagement Situations of the Practical Course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Living Skills in the Primary School-
dc.format.page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