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사범대학생의 직전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사범대학생의 직전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s College Pre-service Education
Authors
김문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사범대학생직전교육Pre-service Educ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은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원의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이 직전교육과정에서 얼마만큼 갖추어졌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직전교육의 문제점,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중등교원 양성체제와 교육과정을 이론적 고찰에서 다루었으며 직전교육에서 교사의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이 얼마만큼 갖추어졌다고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질문지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사범대학 학생들은 자신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이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보면 첫째영역인 전공교과의 이해와 응용력에서는, 학생들은 전공교과에 대한 지식을 완전하게 학습하였다고 여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고 있는 지식을 분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둘째영역인 수업기술의 습득에서는, 학생들은 수업내용에 적절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육평가 문항을 적절하게 제작하는 데 대체로 자신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생의 지적수준에 맞추어 적절하게 설명하고 학습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아는데 있어서, 그리고 학생의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을 할 수 있는 능력에 있어서 보통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단원의 목표인식, 학습내용의 조직, 수업지도안의 작성, 언어표현 능력면에서는 대체로 잘 할 수 있다고 여기고 있었다. 세째영역인 학생이해 및 지도방법의 습득에서는 학생을 상담할 수 있는 방법을 별로 배우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육목적에 대해서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 생활지도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과 학생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충분히 습득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생의 발달에 따른 심리와 욕구도 충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교육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영역인 교육실습의 효과에서는 교육실습시 대학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기회를 별로 갖지 못하였고 학교경영 및 학교실무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실습 후 긴급한 교육상황에서도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자신감이 별로 생기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실습 기간 또한 4주간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교육실습을 통해 수업에 자신감은 어느정도 생긴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변인별로는 국립 사범대학 학생과 사립 사범대학 학생, 교육학 분야의 학생과 교과교육 분야의 학생, 남학생과 여학생간을 비교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는 우리나라 사범대학 학생들이 4년간의 직전교육을 통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을 만족할 정도로 갖추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직전교육에서는 교사의 전문적 지식 및 기능을 육성하는 것을 근간으로 해서 엄격한 기준을 설정할 것이 요망되며 그를 위한 통제기능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범대학은 중등교원 양성이라는 그 목적달성에 알맞는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기능을 충분히 연마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구안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 what extent senior students at teachers colleges think they have acqua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 the course of their pre-servi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problems of pre-service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 training system of a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curriculum are dealt with in the theoretical review.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senior students at teachers college think that they have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process of their pre-servi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tudy are as follows. In general,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of teachers colleges think that they lack of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a teacher which is required of them. First, as to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ability of curriculum, students don't believe that they absorb the content of curriculum well enough and that they do have their abilities to analyze and apply the learned knowledge. Second, regarding the acquiring of teaching skills, students show that they need more confidence in colleting proper materials related to class and designing adequate questions for educational evaluation. And they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to find a method of appropriate explanation and inducement of learning motive according to student's ability. They marked the average about the their ability to raise a question which can induce student's thinking. In addition, they generally gave positive responses to goal recognition of learning units, organization of the content, designing of a lesson plan, and expression ability. Third, concerning student comprehension and the acquiring of teaching method, students in the surve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learn much about the way of student counselling and that they do not have a clear recognition of a educational goal. They also show that they need more knowledge and skills for a guidance to student's school life and observation of student. Meanwhile, they mostly apprehend well abou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education. Fourth, as for the effect of student teacher practice, during student teacher practice, they have a little opportunities to apply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from college and they rarely grasp school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work.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despite student teacher practice they think they have not accumulated sufficient confidence which can help them to deel with an urgent educational situation. They think that four weeks student teacher practice is not enough and that more time should be given. However, student teacher prac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nfidence-building for future teaching. In addition, thinking such factors - students from public school vs. students from private school, education major vs. other related education majors, and male student vs. female student - as variables, it is found that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screpancies in sex variable then the other two variables. From the above finding, it is said that students from teacher's college in Korea think that they fail to acquire a satisfy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a teacher throughout four years colleg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needed that in the process of pre-service education, solid measures must be sought to constitute a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of a teacher. In order for this, the control fun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quality of a teacher must be also reinforced. The curriculum of teacher's college must be carefully design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goal achievement so that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can be sufficiently assimilated into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