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희천-
dc.contributor.author이현숙-
dc.creator이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3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해석학적 교육 모형인 그룸 (T.H. Groome)의 "몫을 나누는 실천 (Shared praxis)" 모형을 인용해 종교수업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이 이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는 연구자가 기독교 고등학교 종교교사로서, 효과적인 수업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그들의 삶에서 기독교적 가치와 만나 보다 전인적 인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입시 준비 교육으로 전락해 버린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의 교육 풍토속에서 종교교육을 통해 인간교육을 해야 하는 기독교학교의 역할이 강조된다. 1장에서는 이러한 인식하에서 효과적인 종교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을 개선해야 한다고 함으로써 논문의 목적과 동기, 내용을 밝혔다. 2장에서는 기독교학교 교육의 현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학문적 특성과 종교적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는 기독교학교는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양자의 조화를 이루면서 교육에 임해야 한다. 특히 전인적인 인간을 교육의 장으로서 기독교학교는 단순히 선교라는 측면을 강조하기 보다 종교가 인간의 생활에 주는 의미를 깨닫게 하고, 건전하고 확고한 인생관을 소유한 인격을 함양하도록 이끌어 주는 교육을 해야 한다. 그러나 기독교학교의 교육현실은 기독교학교의 교육사명을 담당하기에 역부족이다. 특히 종교수업에 있어 기존의 수업이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관심사에서 벗어나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기에, 기존의 종교수업은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종교수업의 새 모형으로 기독교교육에서 해석학적 접근을 통해 시도된 해석학적 교육방법을 살펴보았다. 기독교교육 현장에서는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성서와 삶의 경험사이의 상호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중에 현대철학의 중요한 분야중의 하나이며 타학문의 방법론으로 폭넓게 수용되고 있는 해석학을 방법론으로 수용하는 일군의 시도를 기독교교육의 해석학적 접근 연구라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기독교교육의 해석학적 교육방법중 그룸의 몫을 나누는 실천 교육모형은‘기독교 전통’이 ‘인간의 경험’을 의미있게 만드는 원천이 되며, 동시에 ‘인간의 경험’은 ‘기독교 전통’의 의미를 재형성시키는 원천이 된다는 전제를 지닌 변증법적 접근 방법이다. 5장에서는 그룸의 교육모형이 종교수업에 어떻게 응용되며,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그룸의 교육모형인 몫을 나누는 실천(Shared Parxis)을 수업에 적용하는데 있어, 그 공헌점과 한계점이 무엇인가를 밝혔다. 마지막 장은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한 뒤 끝맺는다.;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religious class model by citing Thomas H. Groome's Shared Praxis, a hermenutic education model. As a high school religion teacher, the writer hopes that students will develope a more well-rounded personality. This may be accomplished through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stresses Christian values. Today, high schools in Korea have become merely preparatory institution for entrance to Univers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ole of mission schools which is to provide broder education through religious studies can not be over emphasized. The first chapter will outline the goal, motivation and content of this thesis; teaching method should be improved for a more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The second chapter will discuss present condition of mission schools. Mission schools should balance both academic and religious facets. As an arena for raising perons of integrity mission schools, rather than emphasing only missionary work, should help students realize the meaning that region gives to life and help lead them to have a better perspective on life. However present reality at mission schools do not meet the proposed educational goal. The current tendency for religious class to be dominated by the teacher without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schould be changed. The 3rd chapter will examine the herumeneutical educational method as a new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Beginning in the 1970's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find interrelations between the Bible and life experiences. The hermenentic approach of religious education is one of these efforts. The hermenutics is one of major fields in modern philosophy and has been widely accepted as methodology of other studies. The forth chapter will briefly describe Groome's shared praxis, one of the hermenutical methods of religious education Groome's model dialectically approached, assumes that Christian tradition is a source that makes human experience meaningful and that the latter is a source that reestablishes the meaning of the former. The fifth chapter will examine how Groome's model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religious class and discus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such application. The last chapter will summerize the content of this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동기와 목적 = 1 B. 연구방법과 내용 = 3 Ⅱ. 기독교학교 교육의 실태 = 4 A. 기독교학교 교육의 목적 = 4 B. 기독교학교 교육의 현실 = 6 Ⅲ. 종교수업의 새 모형 : 해석학적 접근 = 15 A. 기독교교육과 해석학 = 15 B. 해석학적 교육 모형 = 25 Ⅳ. 그룸(T.H. Groome)의 해석학적 교육 모형 = 32 A. 이론적 기초 = 32 B. 몫을 나누는 실천 모형 = 34 Ⅴ. 그룸의 교육모형 적용 : 고등학교 종교수업 = 44 A. 고등학교 종교수업 = 45 B. 종교수업에의 실제적 적용 = 54 C. 적용에 대한 평가 = 61 Ⅵ. 결론 = 63 참고문헌 = 68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16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기독교 고등학교-
dc.subject종교수업-
dc.subjectThomas H. Groome-
dc.subject교육모형-
dc.title기독교 고등학교 종교수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homas H. Groome의 해석학적 교육모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RELIGIOUS CLASS AT MISSION SCHOOLS : ESPECILLY THOMAS H. GROOME'S HERMENUTIC EDUCATION MODEL-
dc.format.page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