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2 Download: 0

초·중·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내용의 연계성 고찰

Title
초·중·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내용의 연계성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ICULATION ANALYSIS OF EARTHSCIENCE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uthors
文智媛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Keywords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지구과학학습내용연계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규한
Abstract
과학교육에 있어 어떤 내용을 선정하여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중 지구과학 영역의 학습내용이 나선형식의 연계성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계성 분석의 준거를 설정하여, 현행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 및 고등학교 '지구과학 Ⅰ·Ⅱ'교과서의 내용을 52개의 주요 학습내용 주제 항목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비교 하였다. 그 결과로 부터 초·중·고둥학교 지구과학 학습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총 52개의 지구과학 학습내용 주제 중, 국민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모두 제시된 것은 37개(71.2 %)항목이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만 제시된 것은 13개 (25.0 %)항목이고, 고둥학교에서만 제시된 것은 2개(3.8 %) 항목으로 나타났다. 2. 학교 단계별 연계성을 보면, 국민학교내에서는 26.9 %, 국민학교와 중학교간에서는 44.2 %, 중학교내에서는 1.9 %, 중학교와 고등학교(지구과학 Ⅰ)간에서는 61.5%. 고등학교내 (지구과학Ⅰ → 지구과학Ⅱ)에서는 28.8 %로 각급 학교의 학교간 교육과정이 각급 학교내의 교육과정보다 연계가 잘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3.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간에서는 연계성이 높은 반면, 내용의 표현 방법과 수준에서 <중복>, <격차>된 항목도 많이 나왔다. 4.단원별 분석 결과에서 보면, 연계성이 가장 양호한 것은 'Ⅲ지각의 변화' 단원이고, 내용의 표현 방법과 수준에서 <중복>된 것이 많은 것은 'Ⅱ. 대기와 해양의 변화'단원이며, <격차>된 것이 많은 것은 'Ⅰ. 행성으로서의 지구'단원으로 나타났다. 5. 지구과학 영역의 실험 빈도수는 상급학교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학교별 함구과정 요소 평균값을 통한 연계성 분석 결과 국민학교와 중학교간에는 높은 상승폭 (29.5 %)을 보인 바 연계성이 낮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각각의 평균값은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비교적 연계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6. 교과서 구성을 보면 국민학교는 적은 양의 학습내용이 실험관찰 중심으로 되어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비교적 많은양의 학습내용이 지식 암기 위주식으로 되어있으므로 각급 학교간에 학습 방법의 연계를 강화시켜야 한다. 7. 초·중·고등학교 전반에 걸쳐, 해양학 분야의 학습내용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고등학교에서는 자연환경과 자원보존에 관한 학습내용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된다.;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objects and to teach them through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he current "The Natural Science" textbook in primary school, "The Science" textbook in middle school and "The Earthscience Ⅰ.Ⅱ" textbook in high school were classified into 52 items based on main subject, and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in Earthscience have the good articulations of relationship or not, among the current science textbook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curricular articulation of relationship and the fixation of it's criteria. From the above results, the final conclusions follows: 1. Among the total 52 items, 37 items (71.2%) are shown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respectively , 13 items (25.0%)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and 2 items (3.85) in only high school textbook. 2. The results of the articulation based on school-level, areas follows; 26.95 in intra-primary school, 44.2%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1.9% in intra-middle school, 61.5% between middle and hish school (Earthscience Ⅰ), 25.8% in intra-high school(Earthscience Ⅰ→Ⅱ). Therefore, the inter-school curricula has a higher degree of articulation than that of intra-school. 3. While the articulation has a high degre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here are many items in and . 4. From the articulation-analysis based on chapters, 'Chapter Ⅲ' has the most excellent value, whereas others have comparatively low values, 'Chapter Ⅱ' has a severe tendency to and 'Chapter Ⅰ' to . 5. The experiment-frequency in Earthscience has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school level is higher. From the analysis of articulation through the average value of inquiry process element based on school level, the fact that the average value of inquiry process element in middle school is 29.5% greater than that of primary school proves the inter-school-articulation be between primary and middle school to be thin, whereas this average value of middle school makes a slight difference with that of high school. Therefore, the inter-school-articula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is thought to be dense. 6. In the constitution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the small portion in primary school textbooks is based on both experiments and observation, and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re mainly composed of cramming system, which must necessitate the strengthening of inter-school-articulation in the way of teaching. 7. The area of Oceanography should be made up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f all school- primary, middle and highschool,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for nature to the curricula in highschool could be rapidly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