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배우자지지와 삶의 만족(Quality of Life)과의 관계 연구

Title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배우자지지와 삶의 만족(Quality of Life)과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ouse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Authors
함인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혈액투석환자배우자지지삶의 만족Quality of Lif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the type of disease tends to change chronic disease into acute disease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ine lengthen the human life. The increase of chronic patients has made nursing to lay emphasis on helping the patients to keep the better life instead of extention of life or curing the disease. As chronic renal failure maintain their lives by hemodialysis, they have physical, mental, social problems all their lives And these problems certainly will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daily life. Many resources are demand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o help the patients overcome these problems and keep the better lif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covery and the improvement of life depends on the support of family, the first support circumstance. Especially the support of spouse will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recovery of patient. So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basic informations to nursing intervention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use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These data have collected from 149 married patients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four dialysis clinics for 10 days from Sept. 18, to Sept. 29, 1989. To measure the degree of spouse support. the tool designed by researcher was used, ant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 scale by Rho Yu-Cha was us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using percent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ent. The reliability of spouse support tool was.9198 and that of quality of life tool was .94.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inimum score for spouse support for the subject was 21, the maximun score was 85, the mean score was 66.78 and the item mean score was 3.93. 2. The minimun score for quality of life for the subject was 95, the maximun score was 188, the mean score was 143.96, and the item mean score was 3.06. For each factor in the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 was as follows: fo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3.319, for family relationship, 3.214 for self esteem, 3.199, for physical state and function, 3.015. for economic life,2.982, for emotional state, 2.875. 3.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titive correlation (r=o.3003, p=0.000). Therefore, the higher level of of the perceived spouse support,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quality of life. The relation between spouse support and each factor of the quality of life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 of economic life (r=0.2969, p=0.000 ), self esteem (r=0.3012, p=0.000) family relationship (r=0.3450, p=0.000), relationship with neighbors (r=0.4233, p=0.000), but between the factor of emotional stat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r=-0.3521, p=0.000)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pouse support scor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s follows. marital status (F=15.113, p=0.000), child (t=4.0970, p <.05) monthly income (F=4.313, p < .001). possession of house (F=2.899, p <.0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pouse support score. 5.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scor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re as follows: educational background (F=2.998, p <.35) occupation at present (F=2.180, p< .05), monthly income (F=3.957, p < .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scores. In conclusion, their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researcher induced the result involving spouse support to promote quality of life into nursing intervention and to help return to their common daily life.;오늘날 의학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질병의 형태도 급성질환보다는 만성질환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만성질환자들의 증가로 간호도 생명의 연장이나 질병의 치유뿐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은 투석치료라는 대증요법으로 의존적인 삶을 살게 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점들을 일평생 가지고 있게 되므로 그러한 문제점들이 삶을 살아가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점들을 극복해 나가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형태의 자원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환자의 가장 일차적인 환경인 가족 특히 오늘날과 같이 부부중심의 핵가족으로 변해가고 있는 가족구조에서는 배우자의 지지가 환자들의 재활과 삶의 만족도 증진에 중요한 중재변수가 될 것이라고 생각되어 배우자지지와 삶의 만족 두 개념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자료는 1989년 9월 18일부터 9월 20일까지 10일동안 3개의 대학부속병원, 4개의 투석전문의원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기혼환자중 연구에 참여한 149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배우자지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가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삶의 만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노유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에 의해 전산통계 처리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을 구하고 t-test, ANOVA,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Cronbach's α계수에 의해 검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지각한 배우자지지 정도는 최소값이 21점이고 최대값이 85점, 평균이 66.78점, 평균평점이 3.93이었다. 2 .대상자의 삶의 만족 정도는 최소값이 95점, 최대값이 188점, 평균이 143.96점, 평균 평점이 3.06이었다. 각 요인별로는 이웃관계요인이 평균평점 3.319로 가장 높았고 가족관계요인의 평균평점 3.214, 자아존중감요인의 평균평점 3.199, 신체상태와 기능요인의 평균평점 3.015, 경제생활요인의 평균평점 2.982,이며 정서상태요인의 평균평점이 2.87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가 지각하는 배우자지지와 삶의 만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r=0.3003, p=0.000)이는 대상자가 지각한 배우자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 정도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우자의 지지와 삶의 만족 각 요인과의 관계분석에서는 경제생활요인(r=0.2969, p=0.000), 자아존중감요인(r=0.3012. p=0.000) 가족관계요인(r=0.3460, p=0.000), 이웃관계요인(r=0.4233, p=0.000)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서상태요인(r=-0.3521, p=0.000)에서만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배우자지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자녀유무(t=-4.097, p<.05), 가족의 월수입(F=4.313, p<.001), 주택의 소유여부(F=2.899, p<.05)가 배우자지지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가 없는 경우, 가족의 월수입이 많은 경우, 자가소유인 경우에 배우자지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 정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교육정도(F=2.998, p<.05), 발병후직업(F=2.180, p<.05), 가족의 월수입(F=3.957, p<.001)이 삶의 만족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학력의 경우, 서비스직이나 가족의 월수입이 많은 경우에 삶의 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배우자지지 정도와 삶의 만족과는 관련이 있는 변수임을 알 수 있으므로 그들을 간호하는데 있어서 환자들로 하여금 혈액투석치료를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정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고 좀 더 만족스런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배우자지지를 간호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유도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