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어린이를 위한 바이올린 기초교본 조사연구

Title
어린이를 위한 바이올린 기초교본 조사연구
Other Titles
(A) Reseach for Improvement of the Violin Teaching Method for Children
Authors
박혜정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어린이바이올린교본기초교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순
Abstract
In other countries with advanced musical standards, we observe that the violin is taught by their own appropriate method, especially for the primary education. On the contrary we, in Korea, adopt foreign violin methods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our particular situation. We find out that the methods we employ miss the point as they take no notice of student's' characters hence ill matched for beginner's level. Through an analysis about what is more suitable violin method for children, this paper is designed to help our teachers who actually instruct violin and people who wish to edit new methods for violin teach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made of seventy-seven cases of responses given by the violin teachers covering the following series of questions (27 items) that can arise in the violin teaching method. These items concern respectively (1) the appropriate age to start violin lessons, (2) the basic techniques and their relevance to the music contents. (3)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textbook making, and (4) opinions about primary method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actual violin lesson. The percentaged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research is shown below. First, regarding the appropriate age to start violin lesson, we questioned two different things, actualage and ideal-age. It is found that age nine to ten takes the highest ratio for the first category, but most of violin teachers consider seven or eight as the suitable age for starting the lesson. It is interesting to the explanations given by the teachers, why actual starting age of violin is delayed. As great number of them think that it is due to the piano lesson which precedes that of violin. Second, for the basic techniques we deal with three problems seperately. They are the bowing. The fingering and the musical details. About the bowing lesson, the quantum of open string exercises, which can be found in most of the existing primary violin lesson books is enough for children. For the sequence of rhythm teaching as a part of open string lesson, the order which start from long notes to short notes in a progressive way (correspond to the Hohmann system) is wanted by most of teachers. The order of A-D-G-E, which can be found in Sinozaki book gets the most preferential response as the program of studying each strings. The arrangement of De´tache-Le´gato-Staccato-Portato-Pizzicato-Spiccato-Tremolo is found as the most useful bowing pattern for basic technique. The four notes slur is the most adequate for children's primary method. In fingering, 54.5% of the responses agree on C major as the first tonality which should be taught to children. Because it is simpler and easier than others for children to learn the notes. However, 22.1% of the teachers choose A major because of the facility of fingering. The techniques which are wanted to be treated in primary method, are trill, double stops and vibrato But three existing violin methods deal only with trill and double stops, leaving the vibrato out. As we see the musical details, only forte, piano, cresendo, and diminuendo are selected as the essential dynamic matters for beginner's method. In the case of alteration, only three sharps and flats for both major and minor were wanted to be treated. For the selection of melodies, the teachers want to put more emphasis on Korean music than the methods currently practiced. As the result they prefer the method which is composed of both of Korean and foreign pieces with the ratio of 3 to 7. On the problems of editing method book, teachers think the music records are helpful for teaching but photographs and pictures are not of great help. A 3 mm space between each line of staffs is wanted for music teachers. It is represented that twenty to fifty pieces of excercise are enough for children as the quantity of one volume. Finally, the research we undertook concerning the methods which are mostly practiced in present time indicate that 46.8% of the total number of violin teachers prefer the Sinozaki method, while the Hohmann is adopted by 40.2%, and Suzuki by 7.8%. Teachers agree that the method they choose is selected for its technical efficacy than for the interest or taste on the part of children. 42.8% of teachers manifest satisfaction for the method which they use currently. 42.9% of them do not have any particular option towards the methods offered to them. 14.3% respond that their method is somewhat insufficient. As far as the second category of the response is concerned, the reason why the teachers acquiesce in their present method according to what they explain supplementarily, i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come to make shift of the present insuficient method through their own complementary exercises. As to merits or demerits of each current method, Sinozaki is found as the one that is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to children, since it is song oriented. Nevertheless, it demonstrats its weakness of causing boredom, since it is characterized by a repetition of styled songs. The Hohmann deals with technique exercises systematically and also has a merit which could enhance ensemble abilities of students due to many etudes in duo. But melodies are difficult and insipid. Therefore, it is pointed out that it might discourage children's curiosity. The Suzuki has many familiar songs like folk songs, which could motivate children's interests. Also the records added on the Suzuki could become useful in preparing and reviewing of lessons. It is pointed out however, that it also has shortcomings in content of music which moves abruptly from lower to higher level without paying any attention to the degree of technica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is research came to realize that children can start learning the instrument at younger age than before and now, by getting familiarized with the adequate lessons necessary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Also substances of method should be improved with the sensitivization of the problem encountered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Finally, we are inclined to make a recommendation to the effect that basic method books making use of Korean folk songs and familiar children songs be published. Also we hope that the new method could highten the efficiency of violin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subject-oriented education.;최근 외국에서의 바이올린 기초교육은 거의 自國의 교본을 사용하는 추세이나 우리나라에는 좋은 지도서가 없어서 외국교본에만 의존하여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시작연령에 맞는 즉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본을 찾아 보기 힘들다. 이러한 현실에서 어린이에게 적절한 교본은 어떤 것인지를 알아봄으로써, 교본을 새로이 제작하려는 교본 제작자와 현장에서 바이올린을 지도하는 교사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바이올린 기초교육에 있어 수반되는 제반 문제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여 첫째, 적령기에 관하여, 둘째, 교습되어야 하는 기본 Technique, 셋째, 교본의 제작시의 문제, 끝으로, 기존하고 있는 교본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하였다. 이것을 27개의 문항으로 작성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바이올린 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77명의 응답을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교사가 원하는 바람직한 어린이 기초교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분석과정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시노자끼, 호만, 스즈끼교본의 내용과 부합되는 점이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첫째, 교습대상의 바이올린 시작연령은 9-10세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교사들이 지적한 적령기는 7-8세로 나타났다. 실제 시작연령과 적령기가 일치되지 않는 것은 음악교육을 시작할 때 피아노부터 배움으로써 바이올린의 시작연령이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습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Technique중, 운궁법의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기초교본에 포함된 개방현 연습 분량은 적당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고, 개방현 연습을 위한 리듬지도의 순서로는 □ - □ - □ - □ - □ - □를 원했으며 이것은 호만의 지도순서와 거의 흡사하다. 또한, 각 현을 배우는 순서로는 A현-D현-G현-E현이 가장 높은 호응도를 나타냈으며 이것은 시노자끼의 순서와 일치된다. 그리고, 기초교본에서 지도되길 원하는 운궁의 모양(Bowing Pattern)의 지도 순서는 Decache-Legato-Staccato-Portato-Pizzicato-Spiccato-Tremolo로 나타났으며, 4음 Slur가 어린이를 위한 기초교본에 적절하다고 했다. 운지법에서는, 기초교본에 처음 도입하는 조성으로 어린이가 이해하기 쉬운 다장조를 54.5%가 선호했고, 운지법이 쉬우므로 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장조의 선택도 22.1%로 나타났다. 이것을 기존의 기초교본과 비교해 볼 때 전자는, 시노자끼와 호만에 해당되고, 후자는, 스즈끼에 해당된다. 기초교본에서 지도되길 희망하는 Technique의 종류로는 Trill과 Double Stops, Vibrato이었으며, 기존의 3가지 기초교본에서는 Trill과 Double Stops만 다루고 있었고 Vibrato는 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음악적 내용에서는, 셈 여림의 종류로 f. p. cresc. dim.만 다루며, 조성의 종류로는 다장조를 도입조성으로 해서 장, 단조 모두 #과 b을 3개까지만 다루기를 원했다. 또한, 어린이를 위한 곡의 종류로는 우리나라 곡과 외국곡을 3:7의 비율로 하기를 원했다. 셋째, 보조교재인 레코드와 사진, 그림의 유익정도의 조사에서, 레코드는 바이올린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한 반면, 사진과 그림은 별 도움이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어린이를 위한 악보의 5선 간격은 3㎜가 적당하다고 했고, 교본 한 권의 연습곡의 수로는 20-50곡 정도가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넷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본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어린이의 기초교본으로 46.8%가 시노자끼를 40.2%가 호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스즈끼도 7.8%가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교본의 선택 기준은 흥미보다는 Technique의 향상을 위주로 하고 있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본에 대해서는 42.8%가 만족을 표시했고, 42.9%가 보통이라고 했으며 14.3%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 중 보통이라고 응답한 이유로 별다른 교본이 없기 때문에 부족한 내용은 교사가 보충하면 된다는 견해를 나타낸 점이 흥미로 왔다. 각 교본에 대한 장·단점으로는 시노자끼의 경우 곡 위주로 되어 있어서 이해가 빠르고 어린이가 배우기 쉬운 반면, 같은 Style의 곡이 많아 지루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 호만의 경우에는 Technique의 훈련이 체계적으로 되어있고 Duet으로 된 연습곡은 Ensemble의 능력을 배양시켜 주지만, Melody가 어렵고 딱딱해서 어린이의 흥미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스즈끼의 경우에는 Folk Song등 친근한 곡이 많아서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레코드가 첨부되어서 예습과 연습에 도움을 주나 난이도가 고려되지 않아서 곡의 수준이 갑자기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느낄 수 있었던 점은, 교사들이 어린이의 음악적 능력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그 수준에 맞는 지도를 함으로써 바이올린 시작연령을 앞당길 수도 있다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바이올린 인구의 저변확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교습내용에 있어서도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교습현장의 문제점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외국 곡과 함께 어린이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우리나라의 민요나 동요를 이용한 기초교본이 제작되어 어린이 바이올린 교육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기를 요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