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원기-
dc.contributor.author홍지영-
dc.creator홍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97-
dc.description.abstract논자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사건과 그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기독교 교회와 국가간의 관계는 고대 로마시대부터 어떻게 전개되어 오는가 중세에는 어떠한가 종교개혁기에는 어떠한 사상의 발전이 있는가 현대의 신학자는 양자관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한국교회는 그것을 예로 삼아 교회와 국가관계를 바람직한 형태로 발전시 켜야한다. 각장의 내용을 보면 Ⅰ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논문의 구조를 언급한다 Ⅱ장에서는 고대로마, 중세, 중세말기의 교회와 국가관계를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종교개혁기의 루터, 칼빈의 견해를 기술한다. Ⅳ장에서는 교회와 국가관계에 대한 현대 신학자들의 견해를 언급한다. Ⅴ장애서는 한국에서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개신교가 들어와서 부터 세시기로 나누어서 그 관계를 고찰하여 본다. Ⅵ장은 교회의 교육적 책임에 대해 언급한다. Ⅶ장 종합적 고찰 및 결론으로 맺는다. 한국의 교회에서는 양자간의 네가지 형태가 모두 나타나지는 않는다. 한국 기독교 역사가운데 교회가 우위이었던 상황은 없었고 국가가 교회의 우위에 존재하던 상황은 일제시대에 어느정도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서구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한국에서는 어떠한 가를 조선말기, 일제시대, 해방이후의 세시기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논자가 얻을 수 있는 결론은 교회 와 국가는 대립의 관계, 우위권 쟁취의 관계가 아니어야 하고 서로의 영역에서 충실하게 임무를 다하면서 서로 영향을 끼치되 특히 교회는 국가에 대해서 존 베네트가 언급한 것처럼 사회의 정의를 위해 관심가지고 그의 간접적 영향끼침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회의 틀안에서 국가에 영향끼쳐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런 것을 위해 교회는 교회 구성원에 대한 교육적인 책임을 가져야 한다.;Concerned about the relatioi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historical events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inquired to. Contemplated and arranged were how the relation between the Christian church and the state has developed from the ancient Roman period, how about in the Middle .Ages, what kinds of ideological development were in the period of religious Reform, and how modern theologists think about the relation of the both. And it was thought that Korean Church has to have tier relationship with her state develope into a desirable form by making them some models of it. As for the content of each chapter, the first chapter contained the purpose arid structur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looked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he ancient Roman period and the Middle Ages; the third chapter described the view of Luther and Calvin in the period of Religious Reform; the fourth chapter dealt with the views of contemporary theologists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the fifth chapter inquired into the relatin between the both in Korea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from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the reformed church; the sixth chapter commented the education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and, lastly, in the seventh chapter, general survey and conclusion were conducted. In Korea church, all the four forms between the both do not appear. There was no such condition that the church was superior in power than the state in the history of Korea church; rather it may be seen that a condition the state was above the church appeared to some extent i n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Western world, the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appeared in variou forms. How about in Korea was looked into classifed by the three different periods of the last Chosen period, the perio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and the period after the Emancipation. The conclusion the author could acquire i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should riot be such one as that of autagonism or predominancy contest but, rather, the both have to play their duties faithfully with their own realms; especially, the church has to exercise her rights as John Benette mentioned, against the state within her fram of pure right with a strong interest in social righteousness, and, also, with a full recognition of her indirect influences upon it; and, also, that, for this, the church has to have an education attitude toward the members of 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논문의 구조 = 3 Ⅱ. 교회와 국가관계에 대한 고대·중세의 견해 = 4 A. 로마제국과 교회 = 4 B. 중세봉건국가와 교회 = 5 C. 중세말기의 교회관 = 10 Ⅲ. 교회와 국가관계에 대한 종교개혁기의 견해 = 14 A. 루터의 견해 = 14 B. 칼빈의 견해 = 16 Ⅳ. 현대 신학자들의 견해 = 22 A. 존 베네트 = 22 1. 간접적 영향 = 23 2. 직접적 행동 = 24 3. 기독교인의 태도 = 25 B. 헬무트 틸리커 = 26 1. 시간을 초월한 교회 = 28 2. 시간속의 교회 = 29 Ⅴ. 한국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 31 A. 조선 말기 = 31 B. 일제시대 = 33 C. 해방 이후 = 35 Ⅵ. 교회의 교육적 책임 = 53 Ⅶ. 종합적 고찰 및 결론 =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6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회-
dc.subject국가-
dc.subject한국-
dc.title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한국의 상황-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