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어린이 놀이문화 형성을 위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판적 제언

Title
어린이 놀이문화 형성을 위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판적 제언
Other Titles
(A) Critical proposal on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for the formation of children's play culture
Authors
김복순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Keywords
어린이놀이문화교회교육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고용수
Abstract
현대사회의 대다수의 어린이는 건전한 문화환경 속에서 건전한 삶을 영위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그 이유는 어린이들이 급변하는 사회와 대중매체의 홍수 속에서 점차 가치관을 잃어가고 있으며, 어린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어린이들이 가정, 학교, 교회, 그리고 사회에서 소외되어 어린이의 인격형성에 저해요인이 되고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현대의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그들의 삶의 변화와는 무관한 지식위주의 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그들의 삶에 대한 문제를 소홀히 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는 마땅한 놀이 공간과 놀이 방법마저 충분히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어 그들의 놀이 문화를 점차 상실해 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에 대한 새로운 이해, 특히 발달 특성에 따른 전인적 이해와 교회교육을 통한 신앙과 인격의 소유자로 성장하게 이끄는 기본 과제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과정은 발달심리적 특성과 성서의 아동관을 기초로 한 어린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그들의 놀이 문화를 정의하면서 그 특성을 고찰해 보았고, 오늘의 어린이 놀이 문화 실태와 그 속에 침투한 저해요인들을 살펴보면서, 오늘의 어린이 놀이 문화의 현실 진단을 통해 본 교회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어린이의 놀이 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교회학교가 개선해야 될 교육환경과 방법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교회학교에서 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시도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에 대한 이해와 어린이 놀이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2. 오늘의 어린이 문제를 진단하되, 특히 교회가 개선해 나가야 할 문제를 그 교육적 과제로 삼으며, 3. 이를 토대로 교회학교에서 꽃피울 수 있는 놀이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학교는 어린이들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도록 그 실천적 교육의 장(場)이 되어야 하며, 어린이 놀이 문화를 위하여 놀이를 통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하는데 노력을 경주해야 할것이다.;In the modern society, it seems that the most children are not able to secure healthy living in the sound play culture. Some of the reasons are that children, in the midst of the flood of mass media, are losing their sound value system, and that their personality formation is hindered due to the back of understanding by and a1ienation from family, school, church and society. moreover, todays education is only geared to knowledge-centered education unselatel to their changing life, and is indifferent to the problems of their living. Consequently, children are not provided with enough space and facilities for play, and their play culture is deterisrating graduelly. This study focuses on new insighte in understanding children, especially the wholistie understanding of children on the basi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he development of faith and personality through christion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sight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he biblical view of children. From these sources, children were understood, and the defimition of play culture was attempted. If also explores the cunent situation of play culture and attempte to uncover the facters that interfered with play culture. If also diagnose the present play culture, and the suggestion to reform educational conditions and methods. If also attempts to mitiate the program for play cultur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n children and their play culture. 2. To diagnose todays problem of children, there by suggest improvee the conditions by education. 3. To develop new educational programs that include play in church school. Church school must become the field of praxi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s play culture, and make unstand effort to do further research in this fi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