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서의 학교장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Title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서의 학교장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Principal Role in School-Based Management
Authors
정혜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공교육 체제의 혁신과 학교조직의 개혁을 통해 교육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교육개혁 프로그램이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이다. 이는 과거의 공교육의 효과성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학교교육의 전반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단위학교로 위임ㆍ이양하여 단위학교가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학교교육의 효율성을 높여 학교가 책무성을 다하도록 하는 경영체제이다. 따라서 단위학교 책임경영제가 학교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되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역할이 본질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새로운 체제가 요구하는 새로운 역할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역할수행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교직원이나 시설물 등에 대한 관리적인 기능에서 단위학교 최고 지도자로서 학교교육의 성과를 개선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역할을 발휘하여야 한다. 학교장은 단위학교 최고책임자로 학교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장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므로 학교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원인 교사들의 인식을 토대로,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서의 학교장 역할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현재 단위학교 학교장들과 미래 교장인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와 학교장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단위학교 책임경영제로의 변화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학교장의 역할을 상징적 대표자, 협의 촉진자, 교수 지도자, 지원ㆍ조정자, 교육활동 평가자로 규명하였으며, 조사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부천시 지역의 중ㆍ고등학교(인문계, 실업계) 교사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유효한 설문지 333부(83.3%)를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전반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 따른 변화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은 아직도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별 현황에서는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단위학교에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어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장은 교직원에 대한 인사 재량권을 확보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단위학교 재정의 자율성 확보에 대해서는 아직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의사결정과정에 학부모ㆍ지역인사의 참여정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무성과평가에 대비한 학교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주체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역할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학교장의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서의 학교장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학교장의 역할에 대하여 교사들은 비교적 긍정적(3.00)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의 촉진자의 역할에 대하여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는 지원ㆍ조정자, 상징적 대표자, 교수 지도자의 순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에서의 학교장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수준(4.04)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학교장의 다섯 가지 역할 중에서 협의 촉진자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지원ㆍ조정자, 상징적 대표자, 교수 지도자, 교육활동 평가자의 역할 순으로 모든 역할에 대하여 아주 높게 기대하고 있었으며, 학교장의 역할에 대한 지각수준과 기대수준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학교장의 다섯 가지 역할 모두에서 기대수준이 지각수준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지도자의 역할에서 기대와 지각수준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단위학교에서 교사들은 학교장이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으나, 실제 수행정도는 교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단위학교에서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학교장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직무와 요구되는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조사결과, 학교장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할 직무에 대해서는 참여를 통한 민주적 의사결정이라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학교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재정확보와 효율적 운영, 공정한 인사관리,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장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요구되는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교사들은 인격과 도덕성을 가장 중요한 자질이라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교육철학과 확고한 교육관, 지도력, 전문적 식견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첫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학교장은 교사들이 높게 기대하고 있는 상징적 대표자, 협의 촉진자, 교수 지도자, 지원ㆍ조정자, 교육활동 평가자로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교육적 리더십을 발휘하여야한다.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에도 리더십 함양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효과적인 학교경영을 통한 학교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학교장은 ‘학생교육’을 모든 학교활동의 중심에 두고 교사와 학생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과 상황을 조성하여 교육을 중시하는 학교조직의 문화를 만들어 가는 단위학교 경영의 최고 책임자로서의 책무성을 가져야 한다.;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 reform program executed with the object of enhanc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reform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school organization. This management system recognizes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public education, transfers general authorities to make decisions on school education to individual schools so that school education becomes more efficient and schools become more responsible. Thus,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requires fundamental changes in the role of principals. Principals must understand their roles required in the new system and have abilities to perform the roles. While their roles have been so far focused on managing school staffs and facilities, their new roles as the highest leader of individual school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the results of school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As chief executives, principals are playing roles decid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school education Thu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role of principal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rincipals' rol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sent and future principals of individual schools. For these purposes,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and principals' role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oles of principals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to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were defined as a symbolic representative, conference promoter, teaching instructor, supporter & mediator, and education activity evaluator. In the survey, a questionnaire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In the survey,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ademic and industrial schools) in Bucheon, Gyeonggi-do, and 333 recovered valid questionnaires (recovery rate - 83.3%)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eachers' general perception on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eachers appeared to have low opinions on changes resulting from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As for the current state by structural element, teachers thought that individual schools have not been given full autonomy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s.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 principal has high discretionary power over the personnel management of staffs. They also recognized that individual schools' autonomy in finance is not sufficient. Their opinion was positive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influential persons in the community in making decisions in school, but was not positive on whether the school is operated in preparation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With regard to main actors in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ey perceived strongly that the role of the principal must be changed and that the role of the principal is most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achers' recognition of the principal's roles in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the score of teachers' recognition of the principal's roles was 3.00, which suggests that they recognize the roles of the principal relatively positively. The role of principals recognized most highly by teachers was conference promoter and next in order of supporter & mediator, symbolic representative and teaching instructor. The score of teachers' expectation of the principal's roles in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was 4.04 on the average, which suggests that their expectation of the principal's roles is quite high. Among the five roles of the principal, expectation was highest for the principal's role as a conference promoter and next in order of supporter & mediator, symbolic representative, teaching instructor and educational activity evaluator. Teachers' expectation was high for all the rol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and expectation of the principal's roles, expectation was much higher than recognition in all the five roles. This shows that teachers in individual schools expect their principals to perform their roles to the full but principals' performance fall short of teachers' expect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principals' jobs and qualities requir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individual schools, democratic decision-making through participation was mentioned as the principal's job of high priority by the largest number of teachers, and next in order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s fit for the condition of the school, the security and efficient operation of funds, fair personnel management, general evalu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etc. As for the most important quality for principals to perform their roles, fine character and morality were mentioned by the largest number of teachers and next in order of education philosophy, firm view of education,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iscern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first,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school-based management system principals must exercise educational leadership, which is emphasized in performing their new roles as symbolic representative, conference promoter, teaching instructor, supporter & mediator and educational activity evaluator as highly expected by teachers. Principal training programs also need to include contents for developing leadership.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principals as the chief executive of school education must create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commit themselves to educational activities and develop school organization culture that values education, putting 'student education' at the center of all school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