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國民學校 音樂科 敎育 過程에 나타난 傳統 音樂 內容 分析

Title
國民學校 音樂科 敎育 過程에 나타난 傳統 音樂 內容 分析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raditional Music in Primary School Music Curriculums
Authors
劉貞瑗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음악과교육 과정전통 음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1952년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 민족 음악회의 이후 전통 음악을 존중해야 한다는 세계적 동향이 마련되었고, 그것은 우리 나라에도 영향을 끼쳤다. 최근 들어 사람들이 전통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회를 창립하고 이론적 연구들을 시행하게 된 것이다. '우리'를 '우리'로 인식케 하는 음악 즉, 전통 음악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 음악이 소외된 우리의 교육 현실은 아동들에게 민즉 예술의 감흥을 제대로 키워주지 못했고, 우리 것에 대한 감각을 낯설게 만들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속에서 국민학교 음악과 교육 과정을 분석, 검토하여 봄으로써 전통 음악의 위상을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국민학교 음악과 교육 과정은 1955년 제 1 차 교육 과정을 시작으로 하여 현행 제 5 차에 이르기까지 거듭 개정·보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제 1 차 교육 과정에서부터 제 5 차 교육 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 과정상에 나타나는 전통 음악적 소재와 내용은 어떠하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 과정을 가장 구체적으로 구현한 교과서에는 어떤 학습의 방향과 내용이 실려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연구 대상은 제 1 차 - 제 5 차 교육 과정이며, 특히 제 5 차 교육 과정의 경우 각 영역별로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토와 분석을 통한 결과는 한국의 전통 음악이 그 동안 교육적 비중을 높게 두고 다루어져 오지 못했음을 보여 준다. 교육 과정 지침에는 전통 음악적인 내용을 강조하여 각 영역별로 언급이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지도되는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전통 음악:서양 음악의 비율이 33.1:66.3으로 서양 음악이 훨씬 높은 비중으로 다뤄짐을 보여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토의 될 수 있다. 첫째, 교육 과정 구성상의 문제이다. 전통 음악의 중요성이 구현될 수 있도록 기초 교육 내용을 연구하여 교과서에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통 음악의 양적, 질적인 면을 좀 더 풍부히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서의 제재곡은 서양의 조성 음악이 중심이 되고 있으나, 적어도 전통 음악곡의 제시는 전통 음악적인 요소에 의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Since the international music conference was held in 1952 London, the world wide tendencies to respect traditional music was prepared and it affected our country. Recentiy, People came to establish conferences and to carry out theoretical studies because of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The music which makes us recognize 'us' and 'ourselves', that is, the education for traditional music is very important. But our educational situations which estrange our traditional music have not cultivated the sense of national art for children and it is making the sense of ours strange. Under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phase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primary school. The primary school music curriculum in our country has been revised and complemented over and over again from the first curriculum in 1955 to the current fifth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subject matters and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in curriculums and their composition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fifth curriculum. And also what direction of this study and what contents of it are contained in the text emboding curriculum best was examined.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urriculums from the first to the fifth,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ifth curriculum, music texts were analyzed as regards their spheres.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ses show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not dealt in point of educational importancr. In curriculum guides,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were refered divided into each sphere, bu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exts used actually showed that as the ratio of traditional music vs western music was 33.7:66.3, western music was dealt more importantly.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matters and be discussed. First, it is matter of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The primary educational contents have to be studied and reflected so a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And als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traditional music have to be made abundant. Second, western composition music is centering on the theme music of texts but traditional music has to be presented by its elements at lea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