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중·고등학생의 정치태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고등학생의 정치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ITICAL ATTITUDE : with Special Reference to Political Trust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 Cheong Nam Do
Authors
노인영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중·고등학생정치태도충청남도정치신뢰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어수영
Abstract
오늘날 한국이 안고 있는 커다란 과제의 하나는 정치발전 즉 민주화를 이룩하는 것이다. 한 국가 또는 한 정부의 민주화 문제는 제도상의 발달에 못지 않게 그 나라를 구성하는 국민들의 민주화 문제가 중요하며 이것은 국민 각자가 그들 국가의 민주정치이념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즉, 국민의 정치적 정향이 민주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적 정향이 일정한 연령에서 고정화되어 정치사회화과정이 중지되는 것이 아니고 일생을 통하여 계속되는 과정이기는 하나 중·고등학교 시기에 개인의 정치적 정향이 어느 정도 확고한 것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고 할 때, 우리나라와 같이 민주주의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교육을 통해 민주적 훈련을 쌓는 정치사회화 방법이 사회를 민주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생각된다.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국민의 신임과 지지없이 존립이 불가능하다고 할 때 민주주의를 정치적 이상으로 삼는 우리나라는 정치체제의 안정성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하여 국민의 신뢰가 절대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사회화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확고하게 정치적 정향을 정착시키고있는 중·고등학생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체제유지에 필요한 정치적 신뢰감을 갖고 있나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남·녀 중·고등학생들의 정치적 신뢰감의 형성과 발전을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는 첫째, 학급환경 및 가정환경과 정치신뢰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둘째, 정치지식과 정치에 관한 정보획득 매체에 따른 정치신뢰감의 차이를, 셋째 일반인에 대한 신뢰, 정치효능감이 정치신뢰감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넷째, 지역·성·학년의 차이와 정치신뢰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과 정치신뢰감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러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본 논문의 표집대상은 충청남도내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471명으로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으로 작성·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환경 및 가정환경과 정치신뢰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급 분위기와 정치신뢰감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직적인 분위기와 자유로운 분위기 모두에게 높은 비율의 불신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수업이 이루어지는 학급 이외의 다른 환경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가정환경과의 관계를 보면, 민주적인 가정분위기에서 자란 학생들이 권위적인 분위기에서 자란 학생보다 더 높은 신뢰감을 나타냈으나 또 한편으로는 더낮은 정치신뢰감이 나타났다. 이것은 가정 이외의 환경으로부터 정치적인 불신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정치지식과 정치에 관한 정보획득매체에 따른 정치 신뢰감은 다음과 같다. 정치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정치신뢰감을, 정치지식이 낮을수록 낮은 정치 신뢰감을 나타냈다. 정보획득매체의 경우 가정, 학교, 친구, 그리고 매스컴을 매개체로 정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수록 낮은 정치신뢰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정치의 어두운 면이 정보매체를 통해 학생들에게 알려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한국정치의 어두운 면에 영향을 받아 정치에 대한 불신감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일반인에 대한 신뢰감과 정치효능감이 정치신뢰감과 갖는 관계는, 일반인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높은 정치신뢰감을 형성하고 일반인에 대한 신뢰가 낮을 때 낮은 정치신뢰감을 나타냈다. 정치에 대한 신뢰 정도가 동료시민에게 느끼는 신뢰감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정치효능감과의 관계는, 정치적 효능감이 높을 때 높은 정치 신뢰감을, 낮을 때 낮은 정치신뢰감을 보여준다. 정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정치적 능력감이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년·성·지역차에 따른 정치신뢰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 보다 정치신뢰감이 더 낮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정치의 어두운 면을 읽게 되는 탓이라 하겠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정치신뢰감이 더욱 낮다. 이것은 아직도 여성에게 복종을 강요하는 기성세대의 권위에 대한 반발심이 정치태도에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도시지역 학생이 낮은 정치신뢰감을, 시골지역 학생들이 높은 정치 신뢰감을 보여준다. 도시지역이 시골보다 정치현상, 매스컴에의 노출정도가 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과 정치신뢰감과의 관계에서는 부의 학력 정도가 높고, 부의 직업이 전문·관리직이거나 공무원과 같이 정치적으로 관련된 직업일수록, 그리고 가정의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은 낮은 정치신뢰감을 보여준다. 부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학생들의 정치적 정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때 부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부정적 태도를 갖는 것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One of the major problems facing Korea is political development, that is, democratization. Democratization of the country is strongly linked to the democratization o f its people than to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This is the problem of people's ability to complete democratic political ideal of their country. It means that the political orientation o f people must be democratic.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is on-going phenomenon throughout the life cycle. However, as an individual's political orientation is partly fixed in the period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he method of political socialization which piles up democratic training through education is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matter. When it is impossible for democratic political system to continue without people's trust and support, people's trust is absolutely needed to keep and develope the stability of political system in our country which considers democracy as political ide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odel of political trust, needed for system maintenance,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determinedly fix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thorugh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The Specific problems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tudent's political trust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household environment and political trust. Secondly,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olitical trust through political knowledge and media getting political information Thirdly, we examine political trust affected by trust in fellow citizen and political efficacy. Fourthl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rust and difference of area, sex, and grade. Finall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rust and socio-economic level. To analyze these problems, a total of 471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air Method in both sexs in rural and urban area in Chung Cheong nam Do. The Results analyzed show the follow findings. First, there wasn't any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trust and class environment. Both tough and free environment showed high proportion of distrustful attitude. It means that students are affected by another school environments besides class. And, in the relation with household environment, students growing up in democratic family shoved not only the high level of political trust but the low level of political trust than students growing up in authoritative environment. It can be said that political distrustful elements are being operated by some environments besides household environment. Secondly,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political knowledge, the higher political trust is, and the lower the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he lower the political trust is. In the case of media of political information gaining by family, school, friends, and Mass Media, they mostly showed the low level of political trust. As the negative aspects of Korean Politics are known to students through information media, they are affected by them and increase political distrust. Thirdly, when their trust in fellow citizen is high, students made higher political trust and low, they made lower political trust. It can be said that the level of trust in politics is affected by trust in fellow citizen. In the relation with political efficacy, the high level of political trust was showed as political efficacy was high and the low level of political trust was showed as political efficacy was low. It can be seen that this situation appears because of the low political ability which give the self- assurance to affect to politics. Fourthly,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areas, sexs, and grades, the political trust of High school student was low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 It shows that upper grade widens the concern about politics and makes students read the negative aspects of politics. Political trust of Girl students are much lower than that of boy students. It means that the resistance to the older generation's authority which compels the female to obey is reflected in the political attitude of the Girl student. And students in urban area showed the high level of political trust, students in rural area showed the low level of political trust. Because the level of exposure of political events and Mass Media in urban area is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level and political trust, as father's schooling level is high, father's occupation is professional or public official related to politics, and the living standard is high, students showed the low level of political trust. As it is said that the influence of father's socio-economic level on student is grand, there must be many more studies on the situation that students whose father's socio-econmic level is high have negative attitud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