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중학교 소설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소설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Teaching of the novel in the middle schools : a study of current practices
Authors
孫素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소설교육소설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상태
Abstract
소설은 장르의 특성상 학생과 교사 모두가 가장 선호하는 문학의 한 분야로 그러한 소설이 청소년들에게 학습의 교재로 사용되었을 때 그 문학적 가치를 바로 전달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에도 현실적으로는 소홀했던 감이 없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중학교 소설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발견된 문제를 중심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각 장별로 논의된 내용과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제4, 5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소설 관련 항목 고찰과 교과서 수록 소설 분석을 통하여 중학교 소설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소설교육의 지침은 감상과 문학성 자체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모되고 있으나 감상 단계에 대한 구체적, 실질적 언급이 없어 실행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둘째, 교과서 수록 소설은 시대적으로 고르게 안배하고, 학생들과 가까운 세계의, 소설적 특성이 명확한 완결된 작품을 선정의 기준으로 하여야겠으며 학생과 교사의 높은 선호도를 고려해서 더 많은 소설을 교과서에 수록할 것이 요청된다. 제Ⅲ장에서는 소설교육 실태 파악을 위해 서울시 중학교 학생과 국어교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는데 이 때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 모두 소설 단원에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으며 평상시에도 소설을 즐겨 읽는 편이다. 그러므로 교사, 교육 연구가는 소설이 국어과의 6개 영역 가운데 문학의 한 부분이라는 기계론적 균형감각에서 벗어나 소설 교육을 통해 문학 교육의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기에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작가와 작품은 교과서 수록 소설과 상당한 거리가 있으며 많은 교사가 제재 선정상의 불만을 표시했는데 그 이유로 내용이 비현실적이며 교훈위주여서 학생의 흥미와 멀고 구성면에서 소설적 양식을 탁월하게 드러내는 작품이 부족하다는 것을 들고 있으므로 제재 선정의 신축성과 부교재의 개발이 교과서 편찬자와 교사에게 아울러 요청된다. 세째, 교사는 학년별 목표에 대한 단계적 의도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못한 편이며 학생 역시 그들의 현실적 이익에 목표를 두는 경우가 많아 교사의 명확한 목표 인식과, 목표 설정시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 진다. 네째, 교사들의 소설 단원에 대한 문학적 가치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그 특성을 살리고 있지 못하고 있으므로 감상 중심의 수업 모형 개발, 교육 현장에 바로 적용될 수 있는 현실적인 참고 도서의 개발, 소설 교육의 효과가 교재외 소설에 전이되도록 하기 위한 추수 지도가 절실히 요청된다. 다섯째, 소설 수업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허용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분석은 교사 중심, 감상은 학생 중심으로 행해져야 한다. 아울러 소설 학습의 평가도 2원적으로 이루어져, 지식에 관한 평가는 객관식으로 이해·감상에 대한 평가는 주관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The novel is undoubtedly more familiar and thus more important to students and teachers a like than any other genre of literature. Thus the utmos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ways and means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its teaching. Unfortunately,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much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ystem. In an attempt to indentify some major problems confronting the teaching of the novel in the middle schools and suggest solutions there to, this study delves into the present situation and reality of the novel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s. For this study, we look into relevant literature and als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Chapter Ⅱ covers the present situation concerning the teaching of the novel by analysing relevant literature as well as novels dealt with in the textbook of the fourth and the fifth curriculum. The conclusion i s as follows: A. Even though the guidance of teaching the novel is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appreciating step and the literary quality itself, there is still no concrete or substantial train ing method to direct the teachers on how to best accomplish this goal. B. It is needed to allocate novels impartially from a periodical viewpoint, to write down novels completely, and to se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backgrounds which are clear and familiar to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more novel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preference of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Chapter Ⅲ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so designed as to indentify major problem areas in the teaching of the novel in the middle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addressed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school teachers of Korean in the Seoul area. On the basis of this questionnaire survey, we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 Both students and teachers show a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the novel and enjoy reading it. In view of this widespread preference, great value should be put on the teaching of the novel. B. The novels currently being read in the textbooks are all merely didactic and of low literary quality so that they utterly fail to arous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teachers alike, In light of this find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allow more room for flexibility in the choice of materials in textbook construction. Side readers can also help alleviate this problem. C. Teachers in general do not conduct a deliberate and step-by-step program for teaching the novel. Students also tend to set their sights on their immediate interests. As a result,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eachers set clear goals and thereby motivate students to take an active part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 Despite the consensus among teachers about the great literary value of the novel, they cannot take full advantage of this value in actual classroom teaching for various reasons. It is thus highly desirable that sufficient efforts be made to develop an effective classroom procedure for the appreciation of the novel as well as a set of realistic reference books that can readily lend themselves to application in the classroom situation. It is also desirable that additional guidance be provided in order to maximize a positive transfer of the classroom teaching of the novel to the reading of the novel outside the classroom. E. Allowance should be made for varying interpretations of the novel in the educational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this, evaluation should take the form of a subjective essay- type test. Teachers should also put an end to one-way lect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