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국민학교 아동의 교과학습평가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Title
국민학교 아동의 교과학습평가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n) Anlaysis of Evaluation System on Subject matter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조복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국민학교아동교과학습평가교과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과학습평가 현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아동의 교과학습평가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러한 평가방법은 각 교과별, 학년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 평가결과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3 . 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이 느끼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 참여한 학교는, 서울 시내에 있는 각 교육구청별로 선정한 40개 국민학교이다. 각 학교에서 전년도(1988년도) 1, 4. 6학년을, 담당했던 교사 각1명씩, 총 12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설문지를 통해 평가 실태를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백분율에 의한 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의 학년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카이 자승범 ( x^(2) )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비교적 많은 교사들(58.5 % )이 평가를 계획할 때 이원분류료를 작성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도덕, 예체능, 실과에서는 총괄평가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국어, 사회, 자연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사용하고 있었다. 산수는 진단, 형성, 총괄의 세 가지 종류의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에 가장 높았으며, 특히 이러한 반응은 국어, 실과에서 각 학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실기 및 행동평가의 비율은 예체능, 도덕, 실과, 자연, 국어, 사회, 산수의 순위로, 산수에서는 실기평가를 거의 실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자연을 제외하고는 학년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정의적 영역의 학습평가방법은 도덕, 자연, 체육, 음악에서는 관찰법(누가기록, 체크 리스트, 평점법 )을, 국어, 사회, 미술, 실과에서는 과제물, 작품분석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수에서는 평가하지 않는다는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는 대부분 교사가 제작한 문제를 가지고 실시하며, 총괄평가는 동학 교사가 협의하여 문제를 출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제작시 참고하는 자료로는 교사용 지도서와 새교실, 교육자료지의 평가문제 등이었으며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제작한다는 반응도 높게 나타났다. 진단평가시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학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6. 총괄평가는 학기를 기준으로 하여 2회를 실시한다는 반응이 가장 높았다. 평가 실시후 채점은 교사가 직접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7. 평가척도표는 대부분 동학년 교사가 협의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척도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을 활용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평가척도표를 실제의 평가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8. 평가결과는 학생 개개인의 성적을 평정하는 자료로 활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수업목표의 도달도를 확인하거나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교정적 지도계획을 수립하는데도 많이 활용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교사들의 원활한 학습평가 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각종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과 평가해야 할 교과목과 행동덕목에 너무 많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10. 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문제점은 실기 및 행동평가로 나타났으며, 학생수의 과다와 수업진도로 인한 평가시간 확보의 어려움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evaluational activities of students of student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The specific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valuational strategies for detecting of student achievement level? What are differences among subject matter and grades in the evaluational strategies? 2. How does the teacher utilize the evaluation results? 3. What are the problem in evaluation practice? One hundred-twenty teachers from forty schools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teachers of the 1st, 4st and 6th grade and responded to questionaire items. The data was analyzed by percentage and chi-square (x^(2)).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58.5% of the teachers had never been drawing up dual classified criteria. 2. Most teachers practiced summative evaluation in mor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and industrial arts.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were popular in the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science.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were mainly adopted in mathematics. 3. The ratio of performance test and achievement test are different among the area of the subject matter. High ratio of performance test is in the following order: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This tendency didn't represent differences among grades except science. 4. In evaluation of affective domain, most teachers used observation method (cumulative recording, checklist, rating method) in moral education,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The teachers analysed students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rt and industrial arts. But they didn't practice the evaluation of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s. 5. Most teachers conducted diagnostic and formative evaluation by pencil-paper tests made by themselves. In case of summative evaluation, they used paper test which was made by team approach the same teachers. When the teachers made the test item, most teachers referenced teachers manuals. The tools of diagnostic evalu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grades. 6. Most teachers practiced summative evaluation twice a semester and they graded examination paper personally. This tenden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grades. 7. Evaluation criteria was made by team approach the same teachers. They utilized it frequently. But some teachers didn't utilize it because of difficulty of practical use. 8. Majority of teacher utilized the evaluation results for grading of the students. They used the results to confirm the attainment level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to diagnose the deficiency of learning. 9. Most teachers had some hardship in performing evaluational activities because lack of time due to over load of teaching and other school work. 10. For the teachers, performance and behavioral test were difficult ones in their evaluation practice. The class size and over load of teaching are other problems to be solved for adequate evaluational activities on the part of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