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논리적 사고력이 논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논리적 사고력이 논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논술능력논리사고력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생각한 바를 글을 통해 표현하는 능력은 인간만이 갖고 있는 소중한 능력이며, 교육 목표의 하나이다. 자기 표현력이 중요한 교육 목표의 하나라고 할 때, 이 능력의 신장은 학교 교육 전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사고와 작문과의 관계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작문이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학습도구임을 시사하는데, 이는 작문이 명료한 사고의 표현이기 때문이며, 작문의 과정은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과정과 같으므로 좋은 글을 쓰려면 사고부터 조리 있고 짜임새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좋은 글을 가르치는 일은 올바르게 사고하도록 가르치는 일과 관계가 깊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육 현실은 단편적인 지식을 주입식 교육으로 가르쳐 왔기 때문에, 학생의 지식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자신의 지식으로 새로운 사태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력을 키워 주지 못했다. 그러나, 다행히 1986학년도부터 대학입시 과정에서 논술고사를 도입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의 논리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대한 관심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논리적 사고력과 논술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이 논술능력의 향상에 기여하는가? 위에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첫째, 논리적 사고력은 논술능력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논리적 사고력을 학습한 피험자는 학습하지 않은 피험자보다 논술능력검사에서 보다 높은 점수를 얻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두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는데, 그것은 두 학급을 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 대하여는 4주 동안 연역적 논증에 관한 내용처치를 가하고, 통제집단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작문의 이론을 가르쳐 그 차이를 보려는 것이다.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 처치 전·후에 각각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연역적 사고력 검사와 논술능력 검사로 연역적 사고력 검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작한 연역적 사고력 검사와 유사한 내용으로 연구자가 사전·사후 각 30문항으로 제작하여 검사하였는데 반분신뢰도 계수가 .58과, .62로서 측정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논술능력 검사는 연역적 논증의 방법에 따라 전제를 제시한 후 피검자가 전제로부터 결론을 바르게 이끌었는지의 여부와 논술과정의 일관성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Ⅰ. 연역적 사고력과 논술능력과는 관계가 있을 것임을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의 평균값의 차이를 T-test와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연역적 사고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집단이 논술능력 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을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수준이 0.05로 입증되었다. 또한, 가설 Ⅱ. 논리적 사고에 대해 학습한 집단은 논술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분석하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이용하였는데, 통제집단에 있어서는 사전·사후 측정치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는 사전·사후 측정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경우, 논리적 사고의 교육에 의해서 논술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자가 논리적 사고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 중에 연역적 논증만을 학습시킨 제한 속에서도 논술능력이 향상하였음은 논리적 사고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은 논술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ability of thinking about something and of showing the ability by writing is one of the aims of education and one of unique human behaviors. The self-description ability is one of important aims of education, and this ability should be heightened through all school curricula. Especially the recent studies on thinking and writing show that composition is an important vehicle to extend thinking ability. That is, composition is a tool for students to describe then thinking clearly. As the process of writing is that of problem solution, systematic logical thinking is indispensible for good writing. Therefore teaching how to write good writing is teaching for good thinking. Today students' knowledge level has been lifted by cramming education method which gives only rote memory, but the students don't possess the problem solution ability in case of new situations. So in order to lift logical description ability, logical writing test is put into operation since 1986 as a cours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is thesis is aimed at how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corelation between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logical writing ability? Second, does the improvement of logical thinking abilit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ogical writing ability?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of the above questions, this thesis focuses on test of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First, logical thinking ability will have positive corelation with logical writ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ho are trained by logical thinking instruction will have more marks than the non-trained ones in the logical writing ability test.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an experiment was design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wo classes of second grade in liberal girls' high school in Seoul. These two class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a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 group is trained with the contents of deductive reasoning for four weeks, but the controlled group isn't trained. A pre and post test are given to the both groups to find out whether ther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ools used in this thesis are the deductive thinking ability test and the logical writing ability test. The deductive thinking ability test and the logical writing ability test. The deductive thinking ability test which is similar to the one published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is composed of 30 questions.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is 62, and this shows the measurement credit of this test. Logical writing ability test as a method of deductive measurement is aimed at two points: one is whether the tests reach right conclusion from the premise and the other is that there is consistecy in the conclusion. In order to test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positive corelation between deductive thinking ability and logical writing ability, the difference of average marks between the two groups is analyzed by Anova, and the co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is testified by Pearson Product Moment Corelation. As a result, the hypothesis that the group who has good marks in the deductive thinking ability test will have also good marks in the logical writing ability test proves significant leval 0.05. Also for the purpose of testing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teaching of logical thinking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ogical writing ability, the difference of average marks between the pre-tested experiment group and the post-tested one is analyzed by T-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measurement marks of control group, while it can be noticed that in the experiment group logical writing ability is heightened by teaching logical thinking. In conclusion, as there is much improvement of logical writing ability in the course of teaching deductive reasoning which is one of many factors, the more trainings for the logical thinking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ogical writing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