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자연과 실기평가 기준표 분석 및 시행실태 조사

Title
자연과 실기평가 기준표 분석 및 시행실태 조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Evaluation criteria of Science skills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안정미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자연과실기평가기준표실기평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The present treatise is attempt to survey the researching process that science skill in eledmentary school aims at, to analyse exercise evaluation criteria which can measure attainment of aim of attitude and interest category,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of evaluation practice,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science skill of 1st semester of 6-year of 24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as collected and analysed in a simple random sampling techniques. And also, 300 members of teachers who are charged with science skill, and school affai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of present research are following; 1. The content of criteria concluded category, unit, subject matter, aim, viewpoint, method, distributive score, scale and period in evaluation. 2. In the content of criberia of each school, Only 7 schools evaluated all the 4 units in text-book. When the teachers of science skill made the criteria, they made it super ficially with reference to previous materials. 3. The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research showed that some behavior elements were essentially dealt with but others were never. The former was the capacity of dealing with experimental mechanism and material, the capacity of things and phenomena, the capacity of comparation and classification, communication and presentative capacity. The later was the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model, the verification, capacity of analysis, cultivation experiment of plant and raising animal. 4. Every school had various difference from 40 point to 10 point in each unit score. Some schools didn't evaluate all the score that the Minister of education directed. But, most of schools showed that they were fulfilled the index through the evaluation of three stages. 5. 18 schools evaluated the attitude and interest, but most of schools evaluated only category of attitude evaluation moreover, the evaluation method of attitude varies with schools, like these : work-book testing or subject examination, announcement, learning attitude and science scrap-book. And also, two schools showed that they were evaluating cultivation experiment of plant and observational capacity. 6. Science skill was closely related to the fulfillment of researching process. But 66.8% represented the want of exercise evaluation. The causes are analysed as following ; first, Owing to dense members in a class,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sufficiently and efficiently second, the method of the lesson was not researchful at last, the experimental instrument and facility were not enough. 7.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of the practical evaluation can be represented as a percentage so, 37.3% of object of investigation pointed out in sufficient support of evaluation implement which was utilized in the category of research process and evaluation of altitude and interest, 14.7% pointed out want of opportunity of teacher's training for performance of practical evaluation, also,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49.2% of the teachers had never been instructed training about this. On the basis of above-mentioned discussion, I want to suggest follows; 1. The position of the criteria is as important as 80% of the whole.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evenly overall behavior element of science course, We must analyse theme in the classified units and select the evaluation element, extract the behavior element in each category for evaluative purpose and the survey and draw up dual object classified criteria. The evaluative plan, like thi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a conference of the whole year. 2. Science skill has hierarchic system of spiral type. Therefore we must take the element of formative evaluation, because we can reflect the result (through evaluating, it, as soon as learning each units) in the progress of instruction-learning and survey whether the aim of each is success or failure for the purpose of the practice of this we must contain the evaluation period in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process. 3. In the behavior element of each category, newly developed evaluation method and implement are supplied and utilized in the whole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teachers must tie given train for the evaluation method and appliance separately. 4. In order to decrease the differences which were reveal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ent of criteria, above all, we have to consider the basic research for this field and then, extract resonable or objective element of evaluative behavior, distributive score and stages. On the basis of it, the teachers must consult with this matter each other and consistently establish the practical evaluate criteria. 5. The behavior elements of the altitude and interest are not revealed in a moment but accomulatedly evaluated.;본 연구는 국민학교 자연과 교육목표가 지향하는 탐구과정영역과 태도·흥미영역의 목표도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실기평가 기준표를 분석하고 평가 시행 실태를 조사하여 그 개선의 방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서울시내 공립국민학교 6학년 1학기 자연과 실기평가 기준표를 24부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표집대상 학교의 교무·연구·과학주임·6학년 주임교사와 6학년담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기평가 기준표에 포함되는 내용으로는 영역, 단원, 평가제제 평가목표 또는 문제. 평가방법 또는 요소, 평가방법, 배점, 척도, 평가시기 등이다. 2. 학교별 실기평가 기준표 내용에 있어서 교과서에 나오는 4가지 단원을 모두 평가하는 학교는 7개교이며 평가방법으로는 실험보고서, 관찰기록부, 학습장검사, 관찰 등의 방법을 쓰고 있다. 또한 기준표작성은 6학년 자연과 담당교사가 과거의 실기평가 기준표를 참고로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3. 탐구과정영역 평가의 경우, 각 단원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행동요소는 실험 및 재료를 다루는 능력, 사물과 현상의 관찰능력, 비교·분류하는 능력, 의사소통 및 제시 능력 등이고, 이론적 모형의 설정·검증 및 분석 능력, 식물 재배 및 동물 사육 능력 등에 대해서는 전혀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단원별 배점은 40점에서 10점까지 학교마다 차이가 있으며, 문교부가 제시한 평가 배정 80점을 모두 사용하여 않는 학교도 있다. 척도의 사용은 대부분의 학교가 3단계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5. 태도·흥미영역 평가의 경우, 18개교가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학교가 태도영역만을 평가하며, 학습장·과제물검사, 발표력, 학습태도, 과학스크랩북 등 평가방법이 학교마다 차이가 있으며, 2개교는 탐구과정영역에 속하는 식물 재배 및 관찰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자연과 실기평가는 탐구과정 이행과 밀접한 관계는 있으나, 탐구수행능력 체득에 있어서 66.8%는 실기평가가 미흡하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는 다인구 학급이라 적절한 평가실시가 어려우며, 수업이 탐구적인 방법으로 실시되지 않고, 평가가 필요한 실험도구·시설 등이 미비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7. 실기평가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시정할 문제로는 37.3%가 탐구 과정영역, 태도·흥미영역의 평가에 필요한 평가도구의 보급을, 14.7%는 실기평가 시행에 대한 교사 연수의 기회를 지적하였고, 평가에 대한 연수를 받은 적이 없는 교사는 49.2%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실기평가 기준표는 자연과 교육평가 전체의 80 %라는 높은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연과 교육목표가 추구하는 전반적인 행동요소를 고루 평가할 수 있도록 단원별로 학습과제를 분석하여 평가 제제를 선정하고, 평가목표와 목표측정을 위한 영역별 행동요소를 추출하여 이원 목적 분류표를 작성하며, 행동요소 평가에 알맞는 평가방법을 선택하는 등 사전의 평가계획이 학년 전체의 협의를 거쳐 수립되어야 하겠다. 2. 자연과 교과는 다른 교과와는 달리 나선형의 위계적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단원 학습 후 즉시 평가를 하여 교수학습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형성평가적인 요소를 지녀야 하며,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진도에 있어서 각 단원마다 평가차시를 포함시켜야 하겠다. 3. 각 영역에 포함되는 행동요소에 대하여 개발된 평가방법과 도구는 일선학교에 보급되어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교사들에게 학교별·교육구청별로 평가방법과 도구의 사용법 등에 대한 연수가 실시되어야 하겠다. 4. 학교마다의 기준표 내용 설정에 대한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는 이러한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가 이루어져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평가행동요소, 배점, 단계 등을 추출하고, 자연과 주관 주임인 교무·연구·과학주임 교사가 서로 협의하여 지구별·교육구청별로 어느 정도 일관되고 객관성 있는 실기평가 기준표의 제시가 있어야 하겠다. 5. 태도·흥미영역의 행동요소들은 순간적으로 단기간내에 표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영역의 평가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계획하여 누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