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북한의 민족주의관 연구

Title
북한의 민족주의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VIEW ON NORTH KOREA'S NATIONALISM
Authors
장명은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국민윤리교육분야
Keywords
북한민족주의관NORTH KOREANATIONALIS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순호
Abstract
민족은 사회의 역사적발전의 산물이며 매우 역동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이러한 민족에서 도출되는 민족주의 역시 고정적인 개념이 아니며 역사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그것은 민족주의가 19세기까지는 절대군주의 권력을 뒷받침하는 보수주의적 토지 귀족이나 신흥 부르죠아 계급의 정치적 신조로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에 반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으나,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무계급 사회의 건설을 표방하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유착한 사실을 보면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같은 민족주의가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 및 통일정책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검토해보고 그들이 표면에 내세우고 있는 민족주의의 이면에 숨어있는 진정한 의도가 무엇인가를 고찰해보며 그것을 그들의 제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입장과 비교, 검토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북한의 제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의 민족이론을 보면, 초기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민족문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이론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일관된 논리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그것이 레닌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민족국가인 소련의 특수한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는 한 방편으로 또, 중국에서는 모택동이 중국을 공산화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민족주의를 표방했으나, 이는 단지 민족주의를 사회주의사회 건설의 한 방법 또는 수단으로 이용한 것에 불과했다. 즉,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역사의 전개를 보는 관점에 있어서 개별 민족사적 전개에 의의를 두지않고 보편적인 역사법칙에 따른 전개에만 의의를 두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공산주의의 유물론적 변증법에 입각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의 민족이론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초기의 북한의 민족개념은 스탈린의 정의에서 한자의 빠트림도 없는 모방에 불과했다. 그러나 스탈린 사후 소련이 내부의 권력다툼으로 혼란스러워지고 후르시쵸프가 평화공존론을 내세우며 또한 소련과 중공간의 분쟁이 벌어지자 북한은 이에대한 대처방안으로 1966년 '외교에서의 자주 '를 표방하면서 자주노선 및 주체사상을 그들의 통치이데올로기로 체계화 하였다. 또한 김일성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의 구성요소로서 혈통을 첨가시킴으로 대남전략적 차원에서 민족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들의 통일정책을 제시할때 '전민족회의 ' 또는 '대민족회의 '니 하는 민족적 감정을 자극하는 표현을 남용하며, 또한 외세의 간섭이 없는 자주통일을 내세우면서 미군철수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민족이론이 표면상으로는 어떻게 변화하든지 그속에 일관하여 흐르고 있는 주조는 순수한 민족주의가 아니라 대남전략의 수단에 불과하며, 또한 주체사상은 김일성 개인의 자기옹호의 사상이자 세습체계를 합리화하기 위한 이론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북한의 기본입장인 민족에 대한 계급주의적 인식, 민족 내지 민족주의를 대남전략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북한의 전술을 꿰뚫어 보지 못한다면 자칫 인식상의 혼란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The modern nationalism which supported an absolute monarchy as a political creed of a land aristocracy of the conservatism and the new bourgeoisie had opposed to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the socialism until 19th century, it has become adhered to the socialism ideology which advocates the construction of no-class society in 20th century. But the early Marxists did not provide a systematic theory about the nationality problems and show a consistent logic of them. This is the result which they regard a nation-state as a means or a step of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state denying the value of its and also in the view of history development they put the meaning not on a individual racial history but on a world history based on a general history law. North Korea in itself-follows the nation theory of Marxism-Leninism who are based on the dialectical materialism as it is. But as the independent line or the thoughts of subject standed by Kim Il Sung advocating an autonomous diplomacy were systemalized as a control ideology of North Korea in 1966 and the nation theory of Stalin was modified after the death of Stalin in the Soviets, the nation-concept of North Korea also showed the change. Kim Il Sung pointed the importance of language which had not emphasized in the nation theory of Stalin and began to use nation in strategic dimention against South Korea adding a line-age to the components of nation. But however the nation theory of North Korea on the surface changes, the main current in the theory is not a pure nationalism but the self-protection thought of Kim Il Sung own self and the theory which rationalize his heritage system. Also the thoughts of subject mean only a desperate measure which North Korea made for the trouble between Red China and the Soviets. So if we have not an insight into the rent intention of North Korea which have used class consciousness and nation or nationalism as a way of the strategies against South Korea, we are apt to cause confution of recognition. Therefore fromm now, we must have a continuing study about the fiction in the nationalism of North Korea and make an effort so as to get a right view of national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