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아동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인식

Title
아동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EDUCATIONAL EXPECTATION OF THE CHILDREN FROM A VARITY OF CLASS
Authors
金志映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아동사회경제적 배경교사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화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계층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인식 및 편견을 조사하고 교사가 아동의 계층에 따라 학습 및 사회·인성적 기대를 달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 교사들은 현재의 프로그램 내용 및 참고자료와 계층과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 교사들은 아동과의 정의적 관계에 있어서 아동의 계층적 배경에 따라 차이나는 인식 및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3 . 교사들은 아동지도에 있어서 아동의 계층적 배경에 따라 차이나는 인식 및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4 . 교사들은 아동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에 있어서 계층에 따른 차이를 인식하고 편견을 갖고 있는가? 이것은 교직만족도와 교사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관련이 있는가? 5 . 교사들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징에 있어서 계층에 따른 차이를 인식하고 편견을 갖고 있는가? 이것은 교직만족도와 교사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26개의 유치원과 새마을 유아원에서 지역별을 고려하여 표집한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는 각 문항의 반응을 백분율로 환산해서 비교하였으며, 아동의 계층에 따른 인지·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적 행동특징에 대한 문항은 교직만족도와 교사의 통제성 인식별로 χ^(2) 으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χ^(2) 은 P = 0.05를 기준으로 하여 P<0.05이면 의의가 있고, P>0.05이면 의의가 없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교사들은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내용이 하층아동에게 불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참고자료도 도시중류 계층을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적절한 것으로 지적한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능력별 차등집단의 구성이 학습에 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선호하고 있었으며, 아동이 과제수행에 한번 실패할 경우 바로 수준을 낮추는 것이 적절하다고 반응하여, 낮은 성취를 보이는 아동에게 더욱 낮은 기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 교사들이 주로 관심을 갖게 되는 아동의 특성으로는 "교사의 말과 규칙을 잘 따르는 것"과 "성격이 원만하고 귀여운 점"이 지적되었으며, 아동의 계층과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항목에서 교사들은 가장 지도하고 싶은 집단으로 "중(中)집단"과 "중상(中上)집단"을 지적했는데, 그 이유로는 그들이 동기유발이 쉽고 교사를 잘 따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를 가장 잘 따르는 집단도 전체 교사의 80.9 %(233명)가 "중집단"이라고 응답했는데, 그 이유로는 이들이 성격이 원만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및 태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사와의 관계가 가장 원만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아동과의 통제적 관계에 있어서는 전체의 63.9 %(195명)가 어느 정도 권위를 가져야 한다는 반응이나 강한 권위를 가져야 한다고 응답하여 권위적인 통제성 인식을 보여주었다. 3 . 교사들은 아동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저소득계층 아동들이 가장 문제가 많으며, 중류계층의 아동들이 가장 문제가 적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층집단의 아동을 지도하는데 있어서의 난점으로는 학부모의 무관심과 비협조, 그리고 학습의욕이 없고 소극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4 . 교사들은 아동의 계층에 따라 인지·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인식하고 하층아동의 발달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식은 대개 경험에 근거하며 학부모의 관심 부족이 하층 아동의 낮은 성취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아동에 대한 평가내용에 있어서도 주로 인지·언어발달에 집중해 지적인 차이를 인식할 계기를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에 따른 아동의 인지·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교직만족도별과 교사의 통제성 인식별로 분석했을 때, 교직에 불만족하는 교사들과 권위적인 통제성을 나타낸 교사일수록 아동의 계층에 따른 인지·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많이 지적하는 경향을 보였다. 5 . 교사들은 아동의 계층적 배경을 평소 유치원에서의 언행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저소득계층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징을 주의가 산만하고 공격적이라고 지적했다. 교직만족도별과 교사의 통제성 인식별로는 교직에 불만족하는 교사들과 권위적인 통제성을 나타낸 교사들이 저소득계층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징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educational bias against the children from a varity of class in an attempt to find expectation regarding the learning, personality and social attitude of the children from a variety of the social class. The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the teachers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the classes? 2. Do the teachers have different recognition and expectation in terms of the classes in their relations with the children? 3. Do the teacher's bias and expectation differ according to the classes in teaching the children? 4. Does the teacher's recognition vary depending on the class with regard to the child's cognition and communicative ability? Does this recognition differ according to professional job-satisfaction, idea of the authoritarianism? 5. Do the teachers recognize the child's social behavio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lass? Does this recognition differ according to professional job-satisfaction, idea of the authoritarianism?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309 kindergarten and Saemuel Nursery school teachers in Seoul. To investigate the teacher's recognition, questinare was used. The resultant findings were analyzed by using the percentage and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each variable.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eachers found that the program is adequate for the middle class children but not for the children from the lower income class. 2. Teachers wanted to teach the middle class children since they thought the group could get easily motivated and are better disciplined.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ost compliant group is the middle class child (80.9%),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 group are positive in their attitude. 3.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children of the lower income class have more problems than the children from the middle class. 4.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s cogni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differ according to the class, and the children of the lower income class were inferior. This recognition was based mostly upon experience : the socio-dramatic play and representational 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erms of the class. It was also found that this result was different with respect to teacher's professional job-satisfaction and their idea of the authoritarianism. 5. Teaching noted that the child's social behavior varies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The children from the lower income class were also found to have a negative attitude in their soci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teachers' opinions varied with respect to the degree to which they fulfilled themselves and put emphasis on the autho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