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國民學校 敎授方法 改善을 위한 臨床奬學的 接近

Title
國民學校 敎授方法 改善을 위한 臨床奬學的 接近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ment Applic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Model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李福田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교수방법개선임상장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정화
Abstract
本 硏究의 目的은 國民學校 敎師들의 敎授方法改善에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臨床奬學 模型을 설정하고 그 適用可能性을 探索하여, 適用過程에서 요구되는 여건조성에 관한 사항을 알아보는데 있다. 硏究目的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1 . 敎師들의 敎授方法改善에 도움을 주는 바람직한 臨床奬學模型은 어떤 것인가? 2 . 模型을 現場에 適用하였을 때 그 適用 可能性은 어떠한가? 3 . 臨床奬學이 效率的으로 수행 될 수 있는 제반 여건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본 硏究를 실시하기 위한 硏究方法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아 수행되었다. 臨床奬學模型을 설정하기 위하여 文獻 및 先行硏究物을 考祭하고 臨床奬學模型의 단계에 따른 方法 및 指針을 探索하였다. 臨床奬學模型은 洗行硏究物의 제 形態를 현장 여건과 교사 특성에 맞는 6단계로 설정하였다. 臨床奬學模型의 現場適用은 1985年 4月 8日부터 5月 16日까지 서울 典東國民學校를 대상으로 하여 5명의 실험교사가 參與하여 실시되었다. 現場適用에서 사용된 자료는 녹음에 의한 授業實況대사사본, 言語흐름표, Flanders의 相互作用表, 자기 장학용 체크리스트, 교사의견서 등이었다.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 臨床奬學的 接近에 의한 敎授의 장점은 槪念的이고 理論的인 敎授方法으로부터 현실적인 수업 전개에 도움이 되었으며, 종래의 奬學形態와 대조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교사자신의 수업행적을 재조명하고, 불필요한 습관과 오류를 시정할 수 있어, 臨床奬學的 接近에 의한 교수방법개선에 도움이 되었다. 2 . 臨床奬學的 接近에 의한 교수의 단점은 臨床奬學을 수행함에 있어 수업을 노출시키는 데 따른 敎師의 심리적 부담이 있다. 3 . 臨床奬學模型의 현장적용에 있어서 협의를 통한 의견수렴은 效果的인 수업전개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생의 흥미유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수업전반에 흐르고 있어, 학생과 교사가 일체감 속에 活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4. 臨床奬學的 接近의 一般化를 위한 조건으로서는 교사의 수업개선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고방식이 필요하고, 교사자신의 지식 및 기술향상을 위하여 전문가로서의 연구자세가 견지되어야 하며, 학교는 다양한 수업관찰機器와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임상장학에 필요한 시간적, 공간적, 제도적, 여건조성을 도모해 주어야 한다는 점등을 들 수 있다. 5 . 臨床奬學은 장학의 촛점이 교사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기확인, 점검, 개선점을 주는 새로운 장학형태이다. 본 硏究에 參與한 교사와 장학담당자는, 장학담당자와 교사간의 대화, 토의, 정보교환, 수업의 경험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보상은 敎師의 수업자체에서 얻는 기쁨과 만족감에 있으며, 이를 위하여는 교사와 장학담당자간의 친밀감 조성, 임상장학방법에 대한 연수가 선행조건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結論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 교사의 敎授方法改善을 위해서는 임상장학적 接近에 의한 장학방법이 권장되어야 한다. 2. 임상장학의 특성은 교수방법을 위한 민주적이고 개별화된 장학형태에 그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臨床奬學模型은 學校行政家와 敎師의 努力만 있으면 初等敎育現場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3 . 임상장학모형의 현장적용 결과는 임상장학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었을 때 교사의 敎授方法改善에 미치는 影響은 크나 心理的, 時間的 부담이 있는 것이 지적되었다. 임상장학모형의 적용을 위한 여건조성으로는 교사와 장학담당자간의 인간관계, 임상장학방법에 대한 연수가 선행되어야 하고, 교사의 업무부담이 경감되어야 한다. 4 . 본 연구에서 적용된 臨床奬學模型은 장학의 效果를 極大化할 수 있는 方法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여건에 비추어 본 臨床奬學的 接近은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임상장학의 제 단계의 생략, 동료장학, 자기장학 등의 수정·보완된 방법이 권장될 수 있다.;1. Purpose and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linical supervision model that can give concrete ideas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skills for teachers and be applied effectively in elementary schools. The specific problems are identified as follows: 1) To develop clinical supervision model. 2) To test posibility of application and effects through applicating clinical supervision model. 3) To identify the necessary conditions under which clinical supervision model can be applied effectively in elementary schools. 2. Methods In order to 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methods are adopted: 1) The related literatures including previous studies, books and articl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define the concept clinical supervision and its processes. 2) The process of clinical supervision model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3) The model were applied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with the aid of some teachers in Cheondong Elementary school. 4) The tools used in the process of application and observation were verbatim script,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system, self supervision checklist, and teachers opinion, 3. Results 1) Clinical supervision helps developing teaching skills for teachers through the illumination their teaching behaviors and correcting their bad custom and errors. 2) On the other hand, clinical supervision brings forh psychological loads on the part of teachers because of exposing their teaching skills. 3) Planning discussion with teachers leads to efficient,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ing. 4) General application of clinical supervision model in our situation requires new recognition on clinical supervision, professional attitudes of teachers, as well as various physical conditions. 4. Recommendations 1) Clinical supervision should be generally applied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skills. 2) Teachers should be trained in order to undertake clinical supervision. 3) The necessary tools, materials, and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in schools. An atmosphere for teachers to devote themselves in improving their teaching skills should be created. 4)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supervisors should be enhanced through establishing a training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