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윤-
dc.contributor.author김정임-
dc.creator김정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9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9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여러 이론적 접근을 고찰하고 비교·분석하여, 적합성의 준거를 찾으려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학자와 시대에 따라 여러 관점이 있으나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어 왔다고 생각되는 교육과정의 세 가지 이론, 즉 전통주의, 개념-경험주의, 재개념주의 이론에 의거하여 그에 관련된 문헌들을 기초로 연구하였다. 전통주의적 접근과 개념-경험주의적 접근은 교육과정을 보는 관점에 있어 공통점이 있다. 양자는 교육과정에 대한 미시적 분석적 그리고 사회구조 전반적인 측면에서 볼 때 탈맥락적 관점에 기초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재개념주의적 접근은 이들과 본질적으로 차원을 달리하면서 거시적, 통합적 관점에 입각하여 교육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상호작용 요인들을 고려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관한 문제를 교육과정 이론에 따라 비교·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 다. 1. 이론적 성격 면에서 볼 때, 전통주의와 개념-경험주의는 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실제적인 문제에 촛점을 두면서 교육과정을 기술적인(technical)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다. 반면에 재개념주의는 기존 교육과정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가능한 모든 관점에서 교육적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2. 개인적 적합성의 차원에서 볼 때, 전통주의와 개념-경험주의는 학습자의 현존 행동특성과 발달수준에 대한 조사·분석을 기초로 하여 그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요구 및 관심'과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적합성의 준거를 두고 있다. '학습자의 요구 및 관심에의 적합성'은 학습자의 요구와 관심으로, '학습자의 발달수준에의 적합성'은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정서적·사회적 발달로 나누어 준거를 두고 있다. 반면에 재개념주의적 접근은 인간의 본질을 사회적·역사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각 개인의 상황에 의미있고 가치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습자의 유의성(有意性)'에 적합성의 준거를 두고 있다. 이것을 다시 나누어 보면 학습자의 의미추구, 학습자의 역사적 지혜, 학습자의 권리증진에 촛점을 두고 있다. 3. 사회적 적합성의 차원에서 볼 때, 전통주의와 개념-경험주의는 기존 사회의 안정을 당위로 보며 교육을 통한 사회통합과 순조로운 사회화를 추구한다. 따라서 '기능적 유용성'과 '문화적 일치성'에 적합성의 준거를 두고 있다. '기능적 유용성'은 적응적 유용성과 개혁적 유용성으로,'문화적 일치성'은 규범적 일치성과 전통문화적 일치성으로 나누어 준거를 두고 있다. 반면에 재개념주의적 접근에서는 기존 사회를 불평등한 사회로 보며 소외된 집단들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하위문화적 적합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을 다시 문화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계층적, 지역적, 직업적, 세대적 적합성으로 나누고 있다. 4. 학문적 적합성의 차원에서 볼 때, 전통주의와 개념-경험주의는 지식을 객관적이고 정당화된 신념들의 종합체로 파악하면서, 각 교과별 지식체계가 지니고 있는 특성이나 학문에 함유되어 있는 지식의 구조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과의 일반적 특성'과 '학문(지식)의 구조'에 적합성의 준거를 두고 있다. '교과의 일반적 특성에의 적합성'은 교과내용의 타당성, 교과지식의 탐구방법, 교과의 새로운 발전과 추세로, '학문(지식)의 구조에의 적합성'은 지식의 단순성, 역동성, 응집력으로 나누어 준거를 두고 있다. 반면에 재개념주의적 접근에서는 지식을 사회적 맥락에 따라 구성되는 산물로 파악하면서, 대다수의 경험과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교과의 통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교과의 통합'에 적합성의 준거를 두고 있다. 이것을 다시 통합방식에 따라 학문간(間)의 통합과 학습자 경험간(間)의 통합으로 나누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relevance of curriculum and to inquire the criteria of relevance. There have been various viewpoints on curriculum among scholars. This study, however, has dealt with three curriculum theories of mainstream; traditionalism, conceptual-empiricism, and reconceptualism throug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s. Traditionalism and conceptual-empiricism share the viewpoints on curriculum. Both approaches are based on the micro cosmic, analytic viewpoints on curriculum, particularly on noncontextual viewpoint from an aspect of social structure on a whole. However, reconceptualist's approach is, on a different dimension in essence from above, a theory to consider various interactive factors to act on curriculum with a macrocosmic and integral viewpoint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ssue on the relevance of curriculum are summa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theory as follows ; 1. Considering form the theoretical nature, traditionalism and conceptual-empiricism understand curriculum on technical viewpoint, focusing on a practical problem for curriculum design. On the other hand, the reconceptualism examines the existing curriculum theory critically,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meaning of educative experience in all possible viewpoints. 2. Considering from the dimension of personal relevance, traditionalism and conceptual-empiricism are based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of present behavior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attempt to change their behavior. Therefore, the criteria of relevance are focused on 'learner's need and interest' and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 the relevance of the former categorized into the learner's need and interest, and the latter into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development. On the contrary, reconceptualist's approach understands the human nature in social and historical relation, and attempts to provide a meaningful and valuable experience to learner's s personal situation. Therefore, the criterion of relevance is focused on 'learner's willingness', which is categorized into learner's pursuit of meaning, historical wisdom, and promotion of right. 3. Considering from the dimension of social relevance, traditionalism and conceptual-empiricism accept the stability of existing social as a 'must' and pursue social integration and smooth socialization through education, where the criteria of relevance are focused on 'functional utility' and 'cultural compatibility'.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adoptive utility and reformative utility, and the latter into normative compatibility and traditional-cultural compatibility. On the contrary, in a reconceptualist's approach, existing society is accepted as and inequal one and attempts to maximize the benefit of disadvantage group, therefore, 'sub-cultural relevance' is emphasized. This is categorized into relevances by class, region, occupation and age, according to criterion categorizing culture. 4. Considering from the dimension of disciplinary relevance, traditionalism and conceptual-empiricism rasp knowledge as a composite of the objective and justified convictions, and attempt to consitute curriculum relevant to characteristics which the body of knowledge possesses by each subject matter or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s involved in discipline. Therefore, the criteria of relevance are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structure of discipline'.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validity of subject matter content, inquiry method of subject matter knowledge, new development and trends of subject matter; the latter into simplicity, dynamism, coherence of th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in a reconceptualist's approach, a knowledge is accepted as a product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social context, and attempts to integrate the subject matters in order to obtain majority'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therefore, the criterion of its relevance is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s.' This again categorized into integr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integration between learner's experiences according to integrating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5 Ⅱ. 교육과정 적합성의 의미 = 7 A. 교육과정의 개념 = 7 B. 적합성의 의미 = 9 Ⅲ.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 17 A. 전통주의적 접근 = 19 B. 개념-경험주의적 접근 = 30 C. 재개념주의적 접근 = 40 Ⅳ.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비교 = 53 A. 세 접근의 이론적 성격 비교 = 53 B. 세 접근의 적합성 준거 비교 = 55 C. 교육과정 적합성의 준거 및 파라다임 = 60 Ⅴ. 요약 및 결론 = 64 A. 요약 = 64 B. 결론 및 논의 = 67 참고문헌 = 71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20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적합성-
dc.subject이론적 접근-
dc.subject교육학-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oretical approach to relevance of curriculum-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