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高等學校 學生의 價値觀에 關한 調査硏究

Title
高等學校 學生의 價値觀에 關한 調査硏究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THE VIEW OF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ON HIGH SCHOOL STUDENTS OF LIBERAL ARTS & SCIENCE IN SEOUL
Authors
金才仁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 학생가치관인문고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200년대 국가․사회의 운명을 책임질 주인공들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가치관이 어떻게 형성되느냐 하는 문제는 그들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한편 청소년의 가치관 교육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교육에서 바람직한 가치관이 무엇이며,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 청소년들의 가치관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치관 실태와 그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일선 교육현장에서의 가치관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바람직한 가치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은 여러 학자들의 이론이나 기타의 관계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가치관의 실태는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연구 하였다. 조사연구의 표집대상은 서울시내 인문고등학교 6개교(남자고등학교 2개교, 여자고등학교 2개교, 남녀공학고등학교 2개교)에서 2학년 총 960명으로 하였고, 설문지 작성은 Spranger와 Everett의 가치체계를 기초로 하여, 고등학교 학생의 주변적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족관, 교우관, 학교관, 경제관, 종교관, 도덕관, 국가관 등의 7개 영역에 걸쳐 총 2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남녀별, 계열별(인문 계열과 자연계열), 학교형태별(일반 고등학교와 남녀공학고등학교)로 분류하여 반응 수에 의한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치관 실태와 그 문제점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관에서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이 많이 붕괴되어 공동체의식보다는 개인적 자기의사 중심의 경향을 보이고 있고, 교우관에서는 친구와의 상호의존도는 높지만 교우관계의 폭은 좁았으며, 학교관에서는 학생들이 학교에 기대하는 것은 충분한 대화를 통한 원만한 인격형성과 폭 넓은 인간관계의 형성이며 학교생활에서 자신들의 인격이 보다 존중되길 원하고 있고, 교사에 대한 존경심은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관에서는 전체적인 경제의 흐름이나 경제원리에 대한 이해가 높지 못하여 경제윤리관이 뚜렷이 형성되지 못한 상태였으며, 종교관에서는 신의 존재나 종교의 필요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도덕관에서는 대체로 바람직한 성향을 보였으나, 성도덕에 있어서는 상당히 개방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국가관에서는 국민적 자부심, 애국심 등이 많이 부족함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조국통일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었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에서 볼 때, 아직도 순풍미속이라고 생각되는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의 보존, 교육체제의 개선, 건전한 종교의식의 올바른 윤리교육에로의 승화, 경제윤리감의 조취 및 조국통일에 대한 확고하고도 바람직한 의지배양에 초점을 둔 가치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t would be not denied that high school students today will be responsible, as the leaders of next generation, for the national prosperity. Therefore, it's very important to know how their view of value could be formed in terms of each individual of them as well as their nation. In high school days, which is a period of reforming the view of value, students are more influenced by school than by home for making their own view of value. So, first of all , the correct understanding on feature of the view of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nowadays is needed to determine how to teach them and what the desirable view of value is in the school education which take charge of education for the view of value in lar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quired fundamental materials on education for the view of value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n it by means of recognizing the reality and the problems of view of valu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are supported by t h e various theories and bibliographies concerned with the view of value and are survey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e number of students as samples of this survey were 960 persons who were selected from 6 high schools of Liberal Art & Science in Seoul ( 2 boys' high school, 2 girls' high school, 2 coeducation high school), The questionaire was based on "Spranger-Everett Value System" and was consisted of 29 questions covering 7 fields on the views of family, friend , school, economy, religion , moral and nation which are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anal circumstance for students. All the data were calculated with the precentage ratio(%) and classified into three parts; sex (boy or girl) , major (literary & social science or natural science) and shape of school (normal high school or coeduational high school) On the basis of analysis of questionaire,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1. As for the view of value of family, there was showed the growing tendency of individual self-centered opinion more than one of the public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disappearing the Korean traditional view of value. 2. As for the view of value of friend , their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was strong, but the breadth of their company was limited. 3. As for the view of value of school, what students expected from their school was to build up their harmonious personality and their wide human relationship through conversations with teachers. Also, students wanted to be respected their personality in school life , on the other hand, teachers were not respected highly. 4 . As for the view of value of economy, students' economic morals were not built obviously due to the of understanding on the economic principle and the whole economic trend. 5. As for the view of value of religion ,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necessity of religion were showed affirmatively. 6. As for the view of value of moral, it showed the desirable trend on the whole, but the sex moral was showed the open-attitude considerably. 7. As for the view of value of nation , the patriotism and the pride of "being Korean" were awfully neglected. Especially students were very doubtful about the view fo unification of Korea. In conclusion, education for the view of value should be focused on like that; a. The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views of value which are thought to be beautiful and good customs. b.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ystem. c. Making use of the sound religion for the sound moral educational system. d. The inspiration of economic morals. e. Strengthening of decisive determin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