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우-
dc.contributor.author金枝良-
dc.creator金枝良-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2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4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 교실의 공간배치를 개방적 공간배치와 구조적 공간배치로 하였을 때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과 상호작용의 내용, 그리고 유아의 이동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는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에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1-1. 유아-유아 상호작용 1-2. 유아-교구 상호작용 1-3. 유아-교사 상호작용 2.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는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내용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3.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는 유아-교구 상호작용의 내용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4.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는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내용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5.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는 유아의 이동성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 연구방법은 유아반 2학급을 선정해서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로 설정한 다음 실험집단Ⅰ은 개방적 공간배치로, 실힘집단Ⅱ는 구조적 공간배치로 바꾸고 2주간의 적응기간이 지난 뒤 각각 1주일씩 관찰하였다. 관찰방법은 시간표집법(Time-sampling)을 이용했고 관찰항목은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 및 내용, 유아의 이동성에 관한 것이었다. 자료처리는 두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실의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 유형가운데에서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개방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구 상호작용은 구조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 상호작용은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치원 교실의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내용가운데에서 협조, 소극적참여, 비협조 등은 공간배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격적행동은 개방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교실의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교구 상호작용의 내용가운데에서 참여, 사용후 정돈은 구조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비참여, 공격적사용은 개방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4.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내용가운데에서 유아시작은 구조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교사시작은 공간배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시는 개방적 공간배치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개방적·구조적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의 이동성은 개방적 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 and mode of interaction and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sroom space arrangement. The study contains five questions: 1. According to the space arrangement, Do Children behavior differently from the viewpoint of (ⅰ) Child-child, (ⅱ) child-material, and (ⅲ) child-teacher interaction? 2. How are the mode of child-child interaction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3. How are the mode of child-material interaction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4. How are the mode of child-teacher interaction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5. Do children show any difference in the flow of their movements according to the space arrangement? To answer the question, observation method was used for two groups; one as control group and the other as compare group. The observation checklist was checked by the time sampling method. t-test applied to analyz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ildren interacted more frequently in the open space arrangement and children interacted more frequently with materials in the structured space arrangement. However child-teacher interaction i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2. In child-child interaction mode, cooperation, passive participation, and non-cooperate behavior a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However the aggressive behavio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pace arrangement. In other words children behaved more aggressively in the open than in the structured space arrangement. 3. In child-material interaction mode, positive participation and arranging material after use has more frequency in the structured than in the open space arrangement. However non-participation and aggressive use has more frequency in the open than in the structured space arrangement. 4. In child-teacher interaction mode, child-initiate behavior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structured than in the open space arrangement. Teacher directed instructio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open than in the structured space arrangement. 5. The flow of children's movement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open than in the structured space arran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물리적 환경의 의미 = 6 B. 유치원 교실의 공간배치와 유아의 상호작용 = 10 Ⅱ. 연구의 방법 = 25 A. 실험대상 = 25 B. 실험도구 = 26 C. 실험절차 = 31 D. 자료분석 = 33 Ⅳ. 결과 및 해석 = 34 A. 상호작용의 유형 = 34 B.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내용 = 35 C. 유아-교구 상호작용의 내용 = 35 D. 유아-교사 상호작용의 내용 = 36 E. 유아의 이동성 = 36 Ⅴ. 요약 및 결론 = 35 A. 요약 = 39 B. 결론 = 40 참고문헌 = 44 부록 = 49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91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교실-
dc.subject공간배치-
dc.subject유아-
dc.subject상호작용-
dc.subject.ddc300-
dc.title유치원 교실의 공간배치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Space Arrangement on Children's Interaction Modes in Kindergarten Classroom-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