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중학교 문법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문법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iddle School Grammatical Education
Authors
김재숙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문법교육교육과정한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병호
Abstract
본 연구는 2차 교육과정 후 문법 지도 요소의 변천을 고찰하고 각기의 지도자료를 분석하여 비교해봄으로써 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첫 단계로 2차 교육과정(1963)부터 3차 교육과정 전반기(1977)까지 사용되었던 문법 교과서(검인정) 4종을 2차 교육과정에 비추어 보았다. 4종의 지도서는 이 희승의 「새 중등 문법」 「허웅」의 「표준문법」남 광우, 유 창돈, 이 응백(노장파)의 「중학문법」과 이 명권, 이병호(소장파)의 「중학교 새 국어문법」을 참고로 하였다. 4종의 지도서 가운데「중학교 새 국어문법」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은 교육과정의 지도요소를 고르게 싣고 있지 못하였다. 반면 이 명권, 이 병호의 문법은 문법학습을 글의 단계로까지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당시의 문법교육은 여러가지 교과서가 통일되지 못한 채로 나와 사용된 데서 혼란을 빚었다. 더우기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내용이 단편적이고 추상적이었다. 3차 후반기(1978~1981)에서 언어교육은 일대 공백기를 가져오게 되었다. 일교과에 일교과서 원칙에 따라 문법, 작문 교과서가 폐기되고「교사용 지도서」에 문법내용을 담았다. 학년별로 지도하도록 계획하였고 교육과정 요소에 따라 내용도 충실하게 엮었으나 교과서가 없는 문법지도는 자연 소홀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는 보다 발전적인 문법교육을 가져오는 잠동기로 문법교육 사상 4차 교육과정을 낳기 위한 준비기였다고 함이 옳다. 4차 교육과정기(1982)에 이르러 문법 교육은 일대 혁신을 가져왔다. 국어 교과서(국정)에 문법, 작문이 나란히 통합되어 나옴으로써 문법교육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한 것이다. 2차때부터 언어 운용면에 중심을 두었던 교육과정은 언어기능요소와 언어의 체계적 지식 습득을 함께 요구하게 되었다. 진술에 있어서도 포괄성 있고 구체적이어 교과서에 담은 내용도 충실하였다. 다만 문법 교육이 망각하기 쉬운 학습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drill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것이 결점이라 하겠다. 내용보다 질적인 충실을 기하는 학습이 중학교 문법에서 훈련되어져야 실용문법의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고찰에서 우리나라의 중학교 문법교육은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새로운 발전을 가져왔다고 하겠다.;This is the Study of how grammatical instruction contents was changed in the course of changes of middle school educational one. We considered the changes by every terms, and compared each period. We also compared middle school's grammatical instructions contents and high school's. Following is the results. 1. Our country's middle school grammatic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in the course of changes from second educational process to fourth educational process as following, language knowledge main language application language knowledge main 2. Under the second terms seven ports of grammatical text books, learning instrument, containing each other different contents, were used. Under the later terms of the third, text books were almost disappeared. It was a transitional phenomenon. At that time, suggested contents on the teachers' guide book was used. Under the fourth, Korean Language book contained grammar instruction contents, and it were used. There were reading, grammar, composition, and each was useful for inter-locking instruction. 3. High school had another grammar book. But there was no trace more developed than the middle school's grammar instruction contents. 4. The range of middle school's grammar instruction contents is wide and deep. In the middle school, instead of developing primary school's a little and hand over a part to high school stage, open the door to drill chapter much more will be valuable. Because, if middle school's grammar should be conducted mainly based on the aspect of language application, one must let the students adjust smoothly by repeating practice with easy contents. * Some ideas to obtain efficence of present middle school's grammar instruction. 1. Text editing for middle school text book should premise language application, and be based on the language knowledge. It should be systematical grammar instruction book and provided much more drill study chapter. 2. Teachers' re-education according as the new spelling standardized form is required immine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