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호-
dc.contributor.author魚秀貞-
dc.creator魚秀貞-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3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930년 2월에 발표된 조선 총독부 '언문 철자법'과 관련, 당시 동아일보 및 조선일보에 실린 제반 기사를 중심으로 하여 한글 철자법 제정 과정 및 그 움직임과 순수 민간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을 통해서 이들이 초기 한글 철자법 제정에 끼친 영향이 어떠하였는지를 연구함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1920년부터 1933년까지의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 실린 한글 맞춤법에 관련되는 기사를 수집하였다. 동아일보에서 수집한 110여 개의 컬럼과 조선일보에서 수집한 160여 개의 컬럼을 자료로 하여 '언문 철자법' 개정의 경위와 민간 학자들의 대립되는 학설을 자모, 성음, 문법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초기 한글 철자법 제정에서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1921년 '조선문 철자법'의 주요 내용은 ① '아래 아'의 폐지 ② 된시옷 기호에서 「ㅅ」만을 사용한다는 점 ③ 字音에 관해서는 역사적 철자법을 채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 1930년 '언문 철자법'의 주요 내용은 ① 중간 「ㅅ」 채용 ② 새 받침 11 개를 추가 사용한 점 ③ 한자음의 표음화 ④ 된소리의 병서 글자를 채택한 점을 들 수 있다. 3.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형태주의적 어원 표시의 규정을 더욱 철저히 한 철자법을 채택하였다. 철자법개정 과정에서 ① 병서 ② 어미 활용 ③ 겹받침 ④ 「ㅎ」받침 문제 등을 정하는데 학자들의 의견 대립은 심한 논란으로 나타났으며,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병서 문제에 대해서는 병서를 사용해야 한다는 신 명균(조선 어학회)의 설과 된시옷으로 환원하자는 박 승빈(조선어 연구회)의 설로 대립되었는데 '언문 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병서 사용을 채택하였다. 2. 어미 활용 문제에 대해서는 최 현배(조선어학회)의 끝바꿈설과 박 승빈(조선어 연구회)의 단활용설로 의견이 대립되었는데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끝바꿈설을 택하였다. 3. 겹받침에 대해서 겹받침을 사용해야 한다는 이 희승(조선어학회)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정 규창(조선어 연구회)의 대립으로 나타났는데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겹받침 사용을 채택하였다. 4. 「ㅎ」받침에 대해서는 이 희승(조선어학회)설과 정 규창(조선어 연구회)설로 대립되었는데 '언문 철자법'에서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는「ㅎ」받침을 사용(이 희승의 설)하였다. 당시 신문 지상을 통해 나타난 초기 철자법의 연구는 조선어학회와 조선어 연구회가 중심이 되었으며 그들의 주장 및 의견 대립은 각기 조선어 연구회측은 '조선문 철자법'(1921년)편에 섰고, 조선어학회측은 '언문 철자법'(1930년)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년)에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민간 학자들의 찬반 논의는 조선어학회측과 조선어 연구회측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의 의견 대립은 ① '아래 아'의 문제 ② 병서 사용 문제 ③ 어미 활용 문제 ④ 겹받침 문제 ⑤ 「ㅎ」받침 문제로 열띤 대립을 보였는데, 조선어학회측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이것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까지 대체적으로 이어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going over what procedures were gone through in working out Hangul Orthography and in looking over the transitional movement of Hangul focusing on the columns and articles published by both Dong A Ilbo and Chosun Ilbo of that period and in finding out what impact all those procedures and the studies presented by non-governmental scholars of that period had on the early stage of Hangul, in connection with the announcement of Unmun Orthography by Japan's governor general of the latter part of YiDynasty on February 1930.For this purpose a good deal of articles and columns of Dong A Ilbo and Chosun Ilbo, pertaining to Hangul Orthography have been collected. By classifying 110 pieces of articles of Dong A Ilbo and 160 pieces of articles of Chosun Ilbo into their subheadings and items, the procedures of how the Unmun Orthography came into existence have been dealt with and the conflicting theories in the categories of Hangul Alphabet, Vocal Sound, and Grammar, of the non-governmental scholars have been analyzed. The peculiarities of the early stage of Hangul Orthography are as follows : 1. The major contents of 1921 Chosunmun Orthography is in the annulment of the under, in the acceptance of ㅅ at the double ㅅ symbol and in the adoption of the historical orthography in pronunciation. 2. The major contents of 1930 Unmun Orthography is in the adoption of middleㅅ, in the addition of 11 new pachi'm(11 prop consonants) to the original pachi'm, in the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in the adoption of double consonants. 3. The 1933 Unified Hangul of Chosun-U-Hak-Hoi adopted the hangul orthography which had sticked faster to the etimological regulations of the morphologic theory than ever before. In the revision of the hangul orthography, many scholars were faced with conflicting theories in deciding on double consonants, inflection, consonant clusters and ㅎ pachi'm. The summary of their conflicts is as follows : 1. On double consonants, Sin Myung-Kyun (Chosun-U-Hak-Hoi) held that they had to be adopted while Park Seung-bin(Chosun-U-Yun-Ku-Hoi) held that double ㅅ had to be revived. Consequently, Unmun Orthography and Unified Hangul adopted double consonants. 2. On inflection, Choi Hyun-bae (Chosun-U-Hak-Hoi) held that end-inflection had to be adopted while Park Seung-bin (Chosun-U-Yun-Ku-Hoi) held that step-inflection had to be adopted. Consequently, Unified Hangul adopted end-inflection. 3. On consonant clusters, Yi Hui-Sung (Chosun-U-Hak-Hoi) held that they had to be used while Chung Kyu-Chang (Chosun-U-Yon-Ku-Hoi) held that they were not necessary. Consuquently, Unified Hangul adopted consonant clusters. 4. On ㅎ prop consonant, the theory of Yi Hui-Sung of Chosun-U-Hak-Hoi did not agree with that of Chung Kyu-chang of Chosun-U-Yon-Ku-Hoi. But Unified Hangul adopted the use of ㅎ prop consonant of Yi Hui-sung though Unmun Orthography did not acknowledge it. The study on the early stage of Hangul Orthography appeared on the newspapers of that period was lead by both Chosun-U-Hak-Hoi and Chosun-U-Yon-Ku-Hoi. It seems that Chosun-U-Yon-Ku-Hoi sticked to Chosunmun Orthography (1921) but that Chosun-U-Hak-Hoi has had much impact on Unmun Orthography (1930) and on Unified Hangul (1933). As is shown above, the pros and cons of the general sholars on Hangul orthography were held by the scholars of Chosun-U-Hak-Hoi and Chosun-U-Yon-Ku-Hoi. Their conflicting theories are in 1) Under, 2) Double Consonants, 3) Inflection, 4) Consonant Clusters, 5) ㅎ prop Consonant. On these five categories, they seemed to have hot disputes, but finally the theories of Chosun-U-Hak-Hoi have been adopted more widely and it has been linked with Unified Hangu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 3 C. 연구 방법 = 4 Ⅱ. 한글 철자법 개정과 민간 학자의 논의 = 6 A. 조선 총독부 '언문 철자법' 개정 경위 = 6 B. 개정 철자법에 대한 민간 학자들의 찬반 논의 = 10 Ⅲ. 개정된 '한글 철자법'의 내용 분석 = 13 A. 자모 = 13 B. 성음 = 15 C. 문법 = 24 Ⅳ. 결론 = 41 참고문헌 = 44 부록 = 4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51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글철자법-
dc.subject조선총독부-
dc.subject언문철자법-
dc.subject어학교육-
dc.title한글철자법 제정의 시대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Historical study on the Establishement of Hangul Orthography : Focusing on Unmun Orthography enacted by the Japan's governor general of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