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윤-
dc.contributor.author임은주-
dc.creator임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3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19-
dc.description.abstract교육결과에 대한 평가란 교육과정(Curriculum)에 명시된 교육목표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적인 교육활동을 통해 어느정도까지 달성되었는지를 재어보고 판단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입선발고사가 중학교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의 달성도를 잘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이고 타당한 검사인지를 밝히기 위해서 연구와 관련된 중학교 교육과정, 내용타당도, 교육목표분류학을 문헌을 통해 연구하여 정리하고 1986년도 전국 13개 시·도 고입선발고사 문항을 수집, 본 연구자가 작성한 이원분류표를 통해 분석하여 내용타당도를 알아 보았다. 분석결과 고입선발고사 문항이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감상능력이 기본능력과 표현능력에 비해 미약하게 출제되며, 표현능력에 있어서는 기악과 창작이 가창에 비해 미약하게 출제됨을 알 수 있었다. 행동영역에서는 지적 영역의 문항이 가장 많았으며 정의적 영역의 문항은 전혀 없었다. 지적영역에 있어서는 단편적 사실의 기억을 요구하는 문항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목표 분류학의 목표위계에 있어 상위단계로 올라갈수록 문항 수가 감소되고 있었다. 운동기능적 영역은 모든 문항이 지시된 반응에 편중되어 다른 유목에 관한 문항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1986학년도 고입선발고사 음악문항의 내용타당도는 교육목표 분류학과 우리나라 음악교육과정으로 비추어 볼 때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내용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행동영역에 따른 문항출제 비율이 재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An evaluation on the result of education may be the process that measures and judges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The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 related to the thesis is investigated and adjusted through the bibliographies in order to clear whether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igh school is the representative valid test to measure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music education objectives in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The music items of entrance examination of high school are collected in the thesis. The content validity of music item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igh school is analyzed with two-way table of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proportion of items on the ability of fundamental is higher than it of items on the ability of apprecia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 The proportion of items on the ability of expression is higher than it of items on the ability of apprecia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proportion of items on the instrumental music is lower than it of items on the vocal music in the ability of expression. The proportion of items on the creation is lower than it of items on the vocal music in the ability of expression. In activity the number of items on the cognitive domain was most. The affective domain was nothing. In cognitive domain there were many items that demanded the remembrance of the simple fact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items that demanded analysis and synthesis were nothing. In psychometer domain there are many items that demanded the reguided response. But the number of items that demanded perception, set, and adaptation were noth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범위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중학교 음악교육과정 = 5 B. 내용타당도 = 12 C. 교육목표의 분류 = 15 D. 관련된 연구 = 29 Ⅲ. 이원분류표의 작성과 문항분석 = 31 A. 이원분류표의 작성 = 31 B. 문항분석 = 34 Ⅳ. 요약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0 부록 = 53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86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입선발고사-
dc.subject음악문항-
dc.subject음악교육-
dc.subject고입-
dc.subject.ddc700-
dc.title1986학년도 고입선발고사중 음악문항의 내용 타당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 Validity of Music Item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igh School-
dc.format.page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