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中·高等學校 現代詩 敎育의 問題点 分析硏究

Title
中·高等學校 現代詩 敎育의 問題点 分析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blems of modern peom-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uthors
尹璿玉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현대시교육어학교육한국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붕배
Abstract
詩를 가장 文學的인 쟝르라고도 하고 言語芸術의 王座에 놓인다고도 한다. 散文과 批評의 時代로 불리는 20世紀에 들어와서 小說, 批評의 得勢에 比하여 詩의 重要性이 相對的으로 縮小되었다고도 한다. 그렇지만, Heidegger나 Ponty等에 依하여 詩의 言語만이 참된 言語인 것으로 論證되면서부터 非詩的인 이 時代에 있어서도 詩의 重要性은 如前히 그 빛을 잃지 않고 있다. 그런데 해마다 中等敎育을 받은 人口는 增加一路에 있지만 詩와 敎育받은 學生 사이에는 甚大한 斷絶이 있다. 이 斷絶을 克服하는 方法은 여러 가지로 模索될 수 있을 것이다. 筆者는 그 중의 하나로 國語科 敎育에 있어서의 文學敎育의 一環인 詩敎育의 方案을 模索해 보았다. 곧, 敎育課程上에 나타난 詩敎育, 敎科用 圖書面에서 본 詩敎育의 實態 및 學生面에서 본 詩敎育 現場의 實態를 中心으로하여, 바람직한 詩敎育의 方向을 模索해 보았다. 제3·4차 敎育課程上에 나타난 詩敎育에서는 文學에 관한 內容이 제3차 國語科 敎育課程에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文學을 獨立領城으로 제4차 敎育課程에 設定하였다. 이는 文學敎育을 보다 알차게 하려는 意志라고 볼 수 있다. 또 제4차의 詩에 관한 學習內容은 제3차의 學習內容보다 抽象的이며, 具體的인 面이 缺如되어 있다. 따라서 詩敎育에 있어서는 제3차에서 다룬 文學의 要素들을 제4차의 것과 綜合하여 實施해야 더 바람직한 詩敎育이 될 것이다. 敎育課程에 依해 編纂된 敎科書의 詩敎材가 作品과 作家만 記錄하지 말고, 詩의 背景이나 作家의 이야기를 싣는 등 좀 더 具休的이었더라면 學生들의 自學自習에 퍽 도움이 될 것이다. 詩의 類型別 分析을 보면 詩로서의 여러 形式을 包括하지 못하고 自由詩, 抒情詩에 치우쳤으며, 敍事詩, 散文詩의 鑑賞 資科가 없다. 詩가 차지하고 있는 比重은 增加一路에 있으나, 전단원 徹底學習이라는 敎科運營 方案으로는 克服되기 어렵다. 이를 克服하기 위하여 敎科運營 方案의 改善 또는, 主資料 補助資料의 指定이 要請된다. 學生面에서 본 詩敎育의 實態는 現 中·高等 學生의 詩에 關한 態度로, 詩를 읽고 있는 實態와 詩學習에 대한 實態를 分析한 結果 다음과 같은 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學生들이 詩에 興味를 갖고 있는 數가 적다. 둘째, 詩 읽는 目的 自體가 그릇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詩가 우리 삶을 노래한 것임을 實感하지 못하고 있다. 네째, 詩를 鑑賞할 때 內容만 보고 즐기고 形式에 對해서는 關心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바람직한 詩指導를 바라고 있다. 그러므로, 敎師들은 詩에 對해 興味를 가지고 詩 鑑賞法을 지도해 주어야 한다. 바람직한 詩敎育의 方向을 定立하는 面에서는 文學을 要素的으로 定義하면 言語를 媒材로 하는 芸術이다. 文學에 쓰이는 言語는 指示的 機能과 喚情的 機能을 지닌다. 言語敎育 一環으로서의 詩敎育도 言語의 指示的 機能과 喚情的 機能 用法의 側面에서 展開시켜야 한다. 國語科 敎育에서의 詩敎育 指導는 理解와 鑑賞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斷片的인 知識의 注入은 止揚하여야 한다. 또, 詩가 自我의 個性과 多樣한 느낌을 尊重해야 한다는 事實을 무시하고 劃一的인 느낌과 主題만을 강요하는 詩指導는 止揚해야 한다. 敎育的 비젼으로서의 詩는 그 비젼을 言語 特히 意味만 아니라 詩의 多樣한 構成要素를 綜合的으로 考慮하는 態度로 實現해야 한다.;Some people say that the peom is the most literary genre and that it locates the highest position in the linguistic arts. In the 20th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poem has relatively been decreased while that of novel and critics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its importance is still recognized in these times like the prose since Heidegger and Panty proved that only the language of the poem is the true one. The population with secondary education has increased annually, but there exists serious separation between the poem and educated students. The methods to overcome this separation can be examined in many respects. This author regard one of them as to establish the poem-education as a sort of cultural eduction, and examine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poem-education in curriculum, its present situation in texts and the current status of poem-education field in students. While there was the contents of literature in the thi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iterature was determined as a separate major in the fourth instruc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the poem-education for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This represents a will to fulfill the literary education more fruitfully. The contents of poem-learning, in the 4th curriculum are more abstractive than those in the 3rd, and short of detailed respects. Hence, it will be desirable poem-education if we perform it with the literary elements represented in the third and fourth elements together. It will be more helpful to the self-learning of the students if the poem-text includes the various stories like the backgrounds of the poem and poet's sayings, not to record the poem and poet only in the instructional curriculum. In the typical analysis of the poem, it does not include several types and free poem and emotional poem are more accented. And there're no materials to appreciate the epic and prose poem. The methods of curriculum operation as complete instruction of all units can not overcome the problems while the density of curriculum and the decision of auxiliary materials for major materials are required. In the present situation of poem-education in respect of students, the status of poem-reading and poem-learning is analyzed by the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the poem in middle and high shcools, and represented as follows : 1. Few students pay attentions to the poem. 2. The purpose of poem-reading is not proper in itself. 3. The fact that the poem represents our lives is not actually realized. 4. On appreciating the poem, people enjoy its contents and don't have interests in its style. 5. Students want the desirable poem-instruction. Accordingly, teachers should instruct the methods of poem-appreciation with great attentions to the po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sirable trends of poem-education should be thought based on the fact that the poem is the arts of language,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e poem gives more attentions to the scope of emotional function of language than those of appointed function. In the instrucit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poem-education guidance should be emphasiz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and exhibited the accentuation of unilateral concepts and themes neglecting the respects of wide variety of characters in self-ego and feelings with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the prevention of simple intellectual eduction. The poem as the educational vision should be realized not only by the language, especially meaning, but also by the whole consideration of various tructural elements in po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