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미용성형수술 환자와 일반인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Title
미용성형수술 환자와 일반인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Authors
임소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신체모습이 각 개인에게 주는 의미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자존심, 인간관계, 행동양식 등에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시대와 문화의 변화로 부모에게서 받은 몸을 인위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금기시했던 사고와 미에 대한 관념이 변화되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미용성형 수술에 대해서 점차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를 가져와 미용성형을 원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성형수술을 원하는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만족하지 못하여 신체의 변형을 원하며, 이러한 신체상에 대한 불만은 자기자신에 대한 불만으로 유도되어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성형수술환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일반대상자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파악하고, 이 두 개념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체와 자신에 대해 불만을 갖는 대상자들을 이해하고 돕는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로 미용성형수술환자는 서울에 소재한 E대학 병원의 성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외래환자 64명이며, 일반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80명으로 전체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도구는 일반적 배경 10문항, 신체상측정 20문항, 자아존중감 10문항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체상(global body image) 측정도구는 Osgood(1952)가 개발한 의미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과 Fitts(964)가 개발한 Tennessee Self Concept Scale 중에서 신체상과 관련되는 항목을 수정, 보완하여 총20문항으로 구성한 도구(안재현 1996)이며,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Self Esteem 측정도구를 전병재(1974)가 한국어로 번역한 10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1월 10일부터 2000년 4월 1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SA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이끌어 냈다. 1. 연구대상자의 각 항목별 신체상 점수는 최저 1.91에서 최고 4.48까지로 평균 3.32였다. 미용성형수술 환자와 일반대상자의 신체상을 비교분석한 결과 미용성형수술 환자들의 신체상은 평균 3.32 일반인의 신체상은 평균 3.41로 나타났다. 문항별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볼 때 나는 내 몸의 어느 부분은 좀 달라졌으면 한다 (t=2.44, p=0.015), 나는 나의 외모에 신경을 쓴다 (t=2.11, p=0.036), 나는 몸이 늘 거뜬하지 않다 (t=2.02, p=0.042), 나는 기력이 없다 (t=1.92, p=0.050), 나는 쉽게 피곤함을 느낀다 (t=2.66,p=0.008)는 문항에서 수술환자가 일반대상자보다 신체상이 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미용성형수술 환자들과 일반대상자들의 각 항목별 자아존중감 점수는 최저 2.05에서 최고 4.23까지로 평균 3.69였다. 미용성형수술 환자들과 일반대상자들간이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평균 3.68, 일반대상자의 경우 평균 3.70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을 분석한 결과, 미용성형수술 환자들의 학력 이 높을수록(t=-2.56, p=.01), 월수입이 높을수록(t=4.85, p=.01) 신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대상자들은 연령이 낮을수록(t=4.29, p=.01), 미혼인 경우 신체상이 높게 나타났다(t=2.59, p=.01).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분석한 결과, 미용성형 수술 환자의 경우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t=-2.10, p=.04), 수입이 높을수록 (t=3.22, p=.04)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을 분석한 결과에서 종교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t=2.84, p=.04). 5. 신체상과 자아존중감간에는 미용성형수술 환자들과 일반대상자의 경우 모두 신체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최근 늘어가고 있는 미용성형수술환자의 증가에 따라 미용 성형수술 대상자들의 간호시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담과 교육을 통하여 긍정적인 신체상과 높은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수술과 관련된 특성에 대해서 좀 더 광범위하게 파악하여 충분한 연구대상자를 확보하여 장기간의 추적검사와 수술전후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The Physical appearance is important factor in person, especially woman. Woman who considering changing appearance feel dissatisfaction at their Body Image. It has influence on Self-Esteem study proble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the patient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The purpose was to understand, and to help. The patient who felt dissatisfaction at their body and self. Subjects were 64 patient who visited the Plastic Surgery and 80 general person. Body Image was measured by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developed by Osgood, the Tennessee Self Concept Scale by Fitts. Self-Esteem was measured by Rosenberg s the Self-Esteem scale with amendant and implemented it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n SA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 percentage, F-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Body image mean score was 3.32, and ranged from 1.91 to 4.48 in possible range of 1 to 5. The group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mean score was 3.32, and the group of general person mean score was 3.41. The significant difference Items between 2 group were `I would like to change some parts of my body. (p=0.015), `I try to be careful about my appearance. (p=0.036), `I am full of aches and pain s. (p= 0.008), 1 am not energetic man. (p=0.050), `I feel tired easily. (p=0.008). 2. The Self-esteem mean score was 3.69, and ranged from 2.05 to 4.23 in possible range of 1 to 5. The group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mean score was 3.68, and the group of general person mean score was 3.70. 3. Certai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body image, the group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was 2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dy image and Learning (p=.O1), Income(p=.O1), and the group of general person was 2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age(p=.01), unmarried(p=.O1). 4. Certai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self-esteem, the group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was 2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married(p=.04), Income(p=.04), and the group of general pers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religious affiliation (p=.04). 5. Body Image and self-Esteem were related in 2 group ; the higher the body image, the higher the self-esteem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correlation between Body Image and Self-Esteem for 2 group. To conclude, in nursing care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Patient, nurse has need to prepare concrete stratigies for positive body image and high self-esteem through understanding of body image and self-este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