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8 Download: 0

폐암 수술후 퇴원환자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Title
폐암 수술후 퇴원환자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Authors
이승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서비스의 질은 현대의 소비자 중심 사회에서 소비자 대중의 신뢰를 보다 확실히 얻게 하는 매체이며, 환자나 보호자에게 직접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접촉을 하고 있는 간호사는 전반적인 환자 간호의 질에 전문적인 책임과 동시에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폐암 수술후 퇴원시 교육에 대한 내용을 참조하여 폐암 수술후 퇴원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 실태를 조사한 후 효과적인 폐암 수술후 퇴원환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우리 나라에 있는 3차 종합병원 중 서울 시내 12개, 지방 4개 병원의 흉부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1999년 10월 15일부터 23일까지 총 9일간이 소요되었다. 연구 도구는 문헌고찰 및 서울시 S종합병원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설문지를 작성한 후 지도교수 1인 및 흉부외과 전문의 2인과 임상에 근무하는 11인에게 설문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이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폐암 수술후 퇴원시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도구의 Chronbach s α coefficient 는 0.94 이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12문항과 폐암 수술후 퇴원하는 환자에게 교육한 내용 40문항을 비롯하여 교육방법, 시기 및 교육에 소요된 시간을 조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구하였고, ANOVA 후 사후 검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사는 모두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27.77세로 미혼이 68.1%이었고, 종교는 무교가 43.5%로 가장 높았고, 기독교 37.7%, 카톨릭 12.3%, 불교 6.5% 순이었다. 학력은 간호전문대졸이 65.2%, 간호대학 이상이 34.8%이었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 89.9%로 가장 많았고 책임간호사 7.2%, 병동관리자 2.9% 순이었고, 근무경력은 평균 64.68개월(5년 4개월)이었고, 흉부외과 근무경력은 평균 34.81개월(2년 9개월)로 최소 1개월에서 최고 120개월(10년)이었다. 병원유형은 대학부속병원이 84.1%로 월등히 많았으며 일반종합병원은 15.9% 이었고, 병동 병상수는 평균 43.38 bed 이었고 최소 20에서 최고 73 bed였다. 병동의 간호사수는 평균 13.32명이었고 간호사수 대 병상수의 비율은 평균 3.43 이며 최소 2.38에서 최고 4.71 이었다. 간호전달체계는 팀간호전달체계가 74.6%로 월등히 높았으며, 기능적간호전달체계는 17.4%, 기타 8.0% 이었다. 2. 교육수행정도 각 영역별 교육내용은 퇴원후 첫 외래방문에 관한 설명, 투약, 개인위생, 상처관리, 향후 치료과정, 통증조절, 활동정도, 음식·영양, 호흡기 관리, 보고해야 할 사항, 병원 연락처로 살펴보았고, 총 교육내용의 수행정도는 가능한 범위가 40-200점인데 평균 154.88±22.49 이었다. 3. 교육방법, 시기 및 교육에 소요된 시간 교육방법으로는 병동 자체에서 제작한 팜플렛을 이용한 경우가 43.8%로 가장 많았으며 메모지 사용 27.0%, 구두 설명 12.4%, 기타 14.6%, 시범 2.2% 순으로 교육하고 있었다. 교육 시기는 퇴원하는 날 아침이 65.0%로 가장 많았으며, 수술후 20.4%, 퇴원계산을 마친후 8.8%, 입원하는 당시부터 5.1%, 수술전 0.7%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소요된 시간은 최소 1분에서 최대 60분이었으며 평균 13.91분±9.96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수행정도의 차이 병원근무경력(r=0.14, p=0.046), 흉부외과경력(r=0.26, p=0.001)에 따른 교육수행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연령, 결혼상태, 종교, 최종학력 및 현직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사수 대 병상수 비율(r=-0.51, p=0.000), 간호전달체계(F=3.82, p=0.024)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병원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폐암 수술후 간호사가 퇴원환자에게 실시한 퇴원교육 수행정도는 임상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수행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력이 많은 간호사들은 가능하면 임상에서 오랫동안 환자 간호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흉부외과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수행정도가 높으므로 간호사의 근무지 이동시에 흉부외과 병동 간호의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간호전달체계에서도 팀간호전달체계가 기능적간호전달체계보다 교육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나 병동 관리자들은 효율적인 팀간호전달체계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율이 낮을수록 교육수행정도가 높게 나와 이는 최근 실시된 간호인력확보수준에 따라 간호료 차등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퇴원교육수행정도와 교육매체 활용 및 교육시기에 따라서 퇴원후 환자의 자가간호 능력과 합병증 발생 및 재입원율에 대한 효과 연구가 필요하며, 추후 폐암 수술후 퇴원환자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the frequency of education for patients discharged after lung cancer surgical operations. The subjects were 138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thoracic departments of 12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4 in regional areas. Data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or 9 days from October 15 through 23, 1999. The instrument consisting of 11 discharge education categories with 40 specific questions was devised by the investigator.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tatistics program of SPSS/WIN. The analy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Duncan test, etc. Chronbach s alpha coefficient on the instrument was 0.94, showing high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s were all female, their average age in year was 27.77, and 68.1% were unmarried. 65.2% graduated from nursing junior colleges, whereas 34.8% had higher education.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in total and the general thoracic department were 64.68 months and 34.81 months, respectively. Of the subject hospitals, 84.1% were university hospitals. The average number of beds in the general thoracic department was 43.38. The average number of nurses was 13.32. The average ratio of beds to nurses was 3.43, ranging from 2.38 to 4.71. Finally, 74.6% of the hospitals implemented the team nursing system rather than the functional nursing system. 2. Frequency of discharge education The discharge education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11 categories: explanation of the first OPD follow-up, medication, individual sanitation, wound management, on-going medical treatments, pain control, outdoor activities, food and nutrition, respiratory organ management, reporting items, and hospital contact telephone numbers. The range of total scores on the frequency of discharge education in such categories was 40 to 200 and their average was 154.88 ± 22.49. 3. Education method, time, and length of education 43.8% of the subjects relied on their own pamphlets for the discharge education. The education was mostly undertaken in the morning of the discharge date(65.0%) and after the lung cancer surgery(20.4%). This study also showed that nurses spent on an average 13.91 ± 9.96 minutes on the education. 4.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discharge educati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engths of nursing experience in total (r=0.14, p=0.046) and in the general thoracic department (r=0.26, p=0.001)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age, marriage status,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current job position were not significant. It also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beds (r=-0.23, p=0.004), the number of nurses (r=0.23, p=0.004), the ratio of beds to nurses (r=-0.51, p=0.000), and nursing delivery system (F=3.82, p=0.02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type of hospitals was insignificant. Based upon the analyses above, the investigator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First, with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experience in the general thoracic department and the frequency of education given above, the expertise of nurses should be considered as a key factor in job rotation of nurses. Second, in terms of the nursing delivery system, the team nursing system seemed to b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e functional nursing system. Therefore, nurse managers need to continue to work toward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team nursing system. Third, the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beds to nurses and the frequency of discharge education can be suggested as an evidential base for the differential medical charge on nursing care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beds to nurses of hospital, which was introduced in November, 1999. Finally, it is proposed that further studies be made on how self-care ability of discharged patients, the recurrence of disease, and rehos pitalization rate are respectively related to the discharge education.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s for patients discharged after lung cancer surgery should also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