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6 Download: 0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정도

Title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 및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정도
Authors
배영란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생명공학과 첨단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연장되었으나 생명경시 풍조와 인간에 대한 존엄성 상실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호스피스는 이러한 급격한 과학과 사회변화로 인한 가치관과 윤리관의 변화에 따른 반응으로(Saunders, 1990; 최의순 외, 1998)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팀 접근을 통해 총체적으로 돌보는 사랑의 행위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복합적인 문제와 갈등을 이해하고 관리함과 아울러 평안한 죽음 준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해야 하며(김분한 외, 1995), 환자의 간호만족을 최대한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간호 역할에 대한 지각이 환자의 간호요구나 기대에 대한 지각과 일치하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호스피스간호 역할에 대한 지각 및 수행 정도와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 및 만족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간호업무 수행시 일어나는 갈등을 줄이고 보다 만족스런 양질의 간호를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500병상 이상의 3차 의료기관인 5개 대학부속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6명과, 이들 의료기관에 입원중인 호스피스 환자 42명이었다. 자료는 1999년 8월 1일에서 9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호스피스 환자인 경우 직접면담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간호사 및 환자들과의 면담한 자료에 근거하여 개발한 호스피스 간호 역할(신체적, 정서적, 영적, 사회적)에 대한 49문항의 구조적 질문지로 Cronbach s α=0.9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으로 전산 통계처리 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 Alpha Coefficient, 요인분석, t-test, ANOVA 및 Duncan test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에 참여한 임상간호사는 186명으로 25-29세가 절반 이상이었으며 (59.7%) 미혼이 많았고(73.1%)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66.1%로 대부분 종교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81.3%). 전문대 졸업자가 66.1%, 3년-6년미만의 근속기간이 41.6%, 일반간호사가 93%로 다수였으며, 호스피스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64%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호스피스 환자는 42명으로 과반수가 여자(59.5%)였고, 종교 있는 환자가 83.3%이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종교를 대체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82.9%). 중졸이하가 42.9%, 배우자 있는 환자가 78.6%, 월수입 100만원 미만이 61.5%, 투병기간 1년-2년이 47.6%, 50대의 연령이 33.3%, 산재형의 호스피스형태가 47.6%이었다. 대부분 암환자(88.1%)로, 폐암(19.5%)이 가장 많았다. 2. 임상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지각은 4점 만점에 평균 3.36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으나 간호 역할 수행은 보통이었고(M= 2.84),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지각정도가 만족정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F=13.90, p=0.000) 높았다. 지각과 수행의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신체적 영역(M=3.34, M=3.03)이었다(F=10.93, p=0.000). 3. 호스피스 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기대정도는 평균 3.09로 높은 편이었으며, 만족은 평균 2.91로 보통이었고 이들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97, p=0.049). 호스피스 환자의 간호 역할에 대한 기대와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정서적 영역(M=3.30, M=3.07)이었다(F=2.72, p=0.007). 4.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지각과 수행(r=0.37, p=0.000), 그리고 환자의 기대와 만족(r=0.68, p=0.000)간에는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상간호사의 지각과 호스피스 환자의 기대(r=0.14, p=0.095), 임상간호사의 수행과 호스피스 환자의 만족(r=0.04, p=0.553)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5. 임상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지각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행정도에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종교의 중요도로서(F=3.18, p=0.043) 종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임상간호사가 가장 높은 수행정도(M=2.90, SD=0.31)를 보였다. 호스피스 환자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기대 및 만족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배우자 유무였다. 즉 배우자 없는 환자가 있는 환자보다 사회적 영역의 간호 역할에 대해 더 높은 기대(F=4.75, p=0.035)와 만족(F=4.05, p=0.033)정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 지각에 비하여 수행정도는 낮았으며 호스피스 환자의 간호 역할 기대에 비하여 만족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임상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 역할에 대한 인식은 정립되었으나 이를 실제로 제공하는 수행정도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풀이된다.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정도만큼의 호스피스 간호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스스로의 가치 기준에 일치하는 만족한 만큼의 간호 수행을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호스피스 간호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총체적인 호스피스 간호를 수행하여 환자의 간호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 This study was conceived to decrease various conflicting situations nurses encounter during hospice care and provide them more specialized and effective nursing systems of good quali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6 nurses working at five randomly sampled hospitals affiliated to a university and 12 hospice patients hospitalized in these medical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research and direct interviewing hospice patients from Aug. 1 to Sept. 30, 1999. Measure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based on 4-point Likert Scale into having 49 questions about four areas of hospice care (physical, emotional, spiritual and social area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AS program on computer to obtain frequency, mean and mean deviation and methods such a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Ducan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hospice care marked 3.36 points in average, high in degree, and their performance marked 2.84 points in average, a little bit above the middle level, thus the degree of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F=13.90, p=0.000). 2. Hospice patients expectation toward hospice care marked 2.09 points in average, high in degree, and their satisfaction marked 2.91 points in average, above the middle level, thus the degree of expec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atisfaction(F=1.97, p=0.049). 3.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hospice care and their performance(r=0.37, p=0.000), patient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r=0.68, p=0.000). 4. Clinical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their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hospice care. 5. All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dn t br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hospice care, while one general characteristic affecting the degree of their performance was patients attitude toward religion(F=3.18, p=0.043). What significantly affected hospice patients expect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hospice care was whether they had a spouse or not. That is, patients without a spouse showed higher degrees of expectation(F=4.75, p=0.035) and satisfaction(F=4.05, p=0.033) toward social nursing area than patients with a spous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 performance was rather low compared with the degree of their perception of hospice care and the degree of patients satisfaction was also low compared with their expectiona of hospice care. Therefore, knowledge and know-now relevatn to nursing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perform the whole services to heighten patients satisfaction with hospice c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