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강원도 공공도서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사서직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강원도 공공도서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사서직 인식에 관한 연구
Authors
최희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도 공공도서관 교육프로그램 실태를 알아보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원도 공공도서관 사서직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도서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문화관련 교육프로그램, 독서 교육프로그램, 도서관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관련된 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현재 시행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 운영시 어려운 점은 재정 부족이라고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개설 과정에 대한 질문에 사서직들 간 협의를 통해 창의적으로 개발한다는 의견이 대체로 높았으며, 교육프로그램에 열심히 임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자신들이 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수강생들이 만족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둘째, 문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지역민에게 봉사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교육프로그램 강좌개설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에 대한 질문에 경영자의 생각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수강생들에게도 적합한 강좌였다는 의견이 높았다.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경비는 도서관 자체 예산으로 시행하는 기관이 많았으며, 문화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도서관 이용에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문화 교육프로그램의 대상은 주로 성인이 대상이었으며 프로그램 시행 후 평가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상 문제점으로는 재정확보에 큰 반응을 보였다. 셋째, 독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서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매우 높았으며,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서직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수 강생은 대체로 만족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운영상 어려움으로는 예산부족과 강사위촉에 큰 반응을 보였다. 또한 자신들이 시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독서 교육프로그램 시행이 도서관 이용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도서관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도서관 교육프로그램 운영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재정확보, 교육내용의 다양화, 교육전문가의 확충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재원확보 방안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앞으로 확대시행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높았으나, 문화 교육프로그램은 현재 행하는 정도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높았다. 앞으로 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이 비중있게 다루어야 할 항목으로는 독서력 향상, 취미나 여가활동에 가장 큰 반응을 보였으며 두 항목간 의미 차이는 없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도서관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재정 확보를 위해 관련법 및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한다.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제22조 ①항에서 전입금의 부담 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매년 어느 정도의 지원금을 보조받아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 자료구입에 한정하여 지원금 용도를 지정하고 있어 융통성 있는 지출형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감이 설립ㆍ운영하는 공공도서관에 지원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운영비 일부라는 것에 대한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지방자치단체장의 도서관에 대한 이해의 폭에 따라 지원액수의 많고 적은 사례가 발생함으로 운영비의 부담기준이 대통령령에라도 명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교육부 소속의 공공도서관은 지방 재정지출 가운데 일정한 지분을 확보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하여 운영비의 예산 배정 비율이 법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제안된 법적, 제도적 방안의 실천여부는 정책결정자, 입법권자,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공도서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의해 좌우되므로 도서관 단체의 조직을 강화하여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책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담당사서의 지도능력을 양성해야 한다. 공공도서관 교육프로그램 담당사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연수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도서관 교육프로그램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담당자의 기획 운영에 대한 기법과 지도를 위한 전문적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공공도서관에 전담 교육프로그램 담당사서를 두어 담당사서의 지도능력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전문교육의 실시와 경제적ㆍ정신적 지원, 인사이동의 자제 등 한 분야의 전문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특성 및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요즈음 중·고등학교의 경우 자율학습이 없어지고 방과후 시간이 많아진 점을 고려하여 학교에서 시도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창안하여 시도한다. 넷째,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교육프로그램 기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근본취지는 자연스럽게 도서관 이용을 생활화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서관 교육프로그램 개설이 도서열람보다 교육활동에 치우쳐 도서관 본래적 기능이 축소되고 있다는 비판이 설득력을 갖기도 한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 개설시 수강에 필요한 정보를 도서관을 이용하여 수집하도록 편성한다면 도서관의 본래 목적에도 크게 기여 할 것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은 도서관 고유의 기능인 정보자료 제공과 무관하지 않으며,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도서관의 기능을 높여야한다는 사서직의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nt situ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better way to activate them.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bout the recognition on general library program. The other is about the recognitions of improvement in culture, reading, and library education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first issues are related to general library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of current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es is generally low. The most difficult aspect in managing these programs is the shortage of finance. Courses of education programs are opened and developed mainly by the creative discussion of the related librarians and most librarians take part in managing the courses actively. And most librarians think library users a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s. The second issues are related to about the recognitions of culture education programs. A great number of librarians think culture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serve users in the community. The main factor of opening the program courses is the opinion of the top executives. And in general, the courses seem to be useful and acceptable to the people present at the course. Management cost of these courses is spent mostly from the self-budget of the library. Management of the culture education program is influential to increase in use of libraries. Library users who are attending the program are usually adults. Course evaluation after the course is randomly done when necessary. One of the main problem of managing the course is also the shortage of finance. The third issues are related to the reading education program. A great number of librarians have opinions that reading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to public libraries. They also agree that users are satisfied with courses. Difficulties of managing courses are also shortage of finance and lecturers. And most librarians evaluate their programs which they manage positively. Management of the culture education program is influential to increase in use of libraries, too. The fourth issues are related to the improvement way of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es. The prioritie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these programs are expansion of budget, various contents, and amplifications of education specialists in order. It is library itself and a local self-governing body that is responsible for expanding budget to manage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es. They think read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anded, but culture education programs are enough to the level of the present. They think more important items in managing the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should be for improvements of reading skills and for the activities for hobby or leisure. Based on these result,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es. First, we should make up for related laws or rules in order to expand budget for management of libraries. Second, we should improve the capacity of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program as a specialist. Third, we need a way to gather the opinions of the community to activate the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y. Fourth, we have to chang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functions of education programs of librari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