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태종과 세종의 경연운영과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

Title
태종과 세종의 경연운영과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영래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經筵이란 군주를 위한 교육제도로, 왕이 文臣들과 더불어 經書와 史書를 강론하는 과정에서 유교정치의 원칙을 깨닫고 아울러 先王들의 실례를 살펴보게 됨으로써, 治國의 방안을 유교적 이상정치에 두고 좋은 정치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연의 제도적인 연원은 中國 前漢에서 비롯되었으며, 우리 나라에 도입된 것은 고려시대의 睿宗 때였다. 그런데, 경연은 그 자체가 철저히 유교적인 제도였으므로 경연의 발달을 위해서는 유학적 풍토가 마련되어야 했다. 따라서 한국의 경연이 그 본래의 모습을 찾게 되는 것은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하는 조선시대에 가서야 가능할 수 있었다. 그렇다고 경연이 조선의 개국과 동시에 정착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太祖는 경연제도를 정비하였을 뿐 제도화된 경연을 열지 않았으며, 定宗 때에 가서야 비로소 처음 조선의 경연이 시작되었다. 정종은 史官을 경연에 참여 시켰던 것을 비롯하여 매우 충실한 수준의 긍정적인 경연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太宗 때에 가면 다시 경연은 침체되었고, 世宗에 가서야 왕의 적극적인 경연운영에 힘입어 활성화되고 괄목할 성장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 초기 경연운영에 있어서 상반된 모습을 나타내는 태종과 세종이라는 두 군주에 주목하였고, 이러한 운영상의 차이가 政局運營에서 기인될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정국운영과 경연운영을 연결시켜 생각하게 된 것은 경연제도가 갖고 있는 다분히 정치적인 의도 때문이었다. 군주를 정치의 중심으로 하는 사회에서 군주의 言行은 정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으므로, 신하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고 왕권의 恣意的인 행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경연을 제도적 장치로 마련하였던 것이며, 경연을 통해 유교적 이상정치에 적합한 군주가 어떠한 것인지를 끊임없이 강조하고 교육하면서 사전에 왕의 생각과 행동을 규제하려 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儒臣들의 경연 운영도 왕권을 제약할 수 있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일관되었으며, 강론하는 자리에서 왕의 정책을 經史를 근거로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王權을 강화하고 臣權을 제약하고자 했던 왕들은 차츰 경연에 부담을 느끼게 되었고, 반대로 유교적 이상정치에 충실하고자 했던 왕들은 경연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했을 것이다. 이런 생각 하에 본 연구에서는 경연운영과 정국운영의 상관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조선 초기 경연이 갖는 역사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을 취하였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경연의 유래와 도입·변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련된 原史料와 기타 참고 문헌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둘째, 태종과 세종의 경연 운영과 정국운영을 『朝鮮王朝實錄』 을 주사료로 연구·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료들의 분석결과 파악된 내용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정국운영에 있어서 경연의 위상을 나름대로 해석·평가해 보았다. 연구결과, 태종과 세종의 경연운영상의 차이는 정국운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정국운영의 방향이 왕권강화에 있었던 태종은 儒臣들이 왕권제약과 견제를 도모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경연을 점차 기피하고 소극적으로 운영해 나갔고, 이와는 반대로 유교적 이상정치에 충실하고자 했던 세종은 왕권 제약적인 면모보다는 경연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적극적으로 경연을 운영하였던 것이다. 이상의 연구성과를 통하여, 조선 초기 경연의 역사적인 의미를 찾는다면, 태종과 세종의 경연운영은 정국운영의 차이로 인하여 차별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두 군주 모두 조선 초기 경연의 정착화에 일정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이다. 태종은 略式의 경연이긴 하지만 경연의 명맥을 유지시켰고, 諫官의 참여로 경연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이후 세종 대에 경연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세종의 경연운영은 조선 초기 경연의 활성화를 가져왔으며, 무엇보다 왕으로 하여금 좋은 정치를 펴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경연의 본래의 기능이자 목적이 충실히 이행된 모범적인 운영이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당초 본 연구는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정치 실무사항 들을 비교·검토하여 구체적인 경연운영과 정국운영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선 초기의 경연관계 기록에서 다루는 내용이 아직까지는 정치실무보다는 정치적 원칙론에 치중을 두고 있는 관계로, 처음의 연구의도를 구체적으로 진행시키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이것은 조선 초기 경연의 한 특징이라고 보여지며, 아마도 보다 상세한 연구는 경연이 그 자리를 확고히 잡게 되는 성종 이후에 가서야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Royal Lecture so-called "Kyung-yeon" is educational system and place for king, where he was expounded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by civil officials. It was the goal of the Kyung-yeon that the king was ruling over a country with the plan of confucian ideal politics. The institutional beginning of the Kyung-yeon was originated from the Former Han dynasty, china and it was imported to our country, Korea in the period of King Yejong, the Koryo dynasty. Because the Kyung-yeon itself was totally confucian system, confucian atmosphere was needed for developing it. Therefore, the Kyung-yeon in Korea was able to finally establish at the Chosun dynasty when political ideology was confucianism. However, the timing was not perfectly identical between founding the Chosun dynasty and settling down the Kyung-yeon system. The first king Taejo, the Chosun did not hold institutionalized the Kyung-yeon. But he only did set the system of Royal lecture in a good condition. The second king Jungjong started it for the first time at the Chosun dynasty. King Jungjong operated the Kyung-yeon very substantially by participating the chroniclers in the Lecture, etc. In the period of the next king Taejong, the Kyung-yeon was stagnated again, but it was activated and remarkable developed by the 4th king Sejong. He managed it very actively. This study is noticed on two kings, Taejong and Sejong, who were totally different in the controlling the Kyung-yeon and has started from the hypothesis that distinction of two king s management style was resulted from their different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method. The reason to think connecting with political situation & the Kyung-yeon management was for that the Kyung-yeon contented political purpose very much. In the society which king ruled over whole country, his words and deeds influenced decisive affect in politics directly. Therefore, retainers prepared the Kyung-yeon as the systematic equipment, for they wanted to ensure their political position and to prevent arbitrary activities of royal authority at the same time. In the Kyung-yeon system, they educated and emphasized constantly that who is ideal king fitting for confucian ideal politics properly and wanted to control ideas and activities of king in advance. As a matter of fact, themes of the Kyung-yeon were consistently selected from topics restricting royal authorities and retainers criticized king s policy referring to the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at the lecture place. Therefore, kings who intende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ies and to restrict the retainers right did not often hold in the Kyung-yeon. On the contrary, kings who intended to fulfill confucian ideal politics were very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it. On basis of these ideas, this study want to grasp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Kyung-yeon in early the Chosun dynasty through examining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Kyung-yeon &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Documentation is used for this study and procedure is as follows: To begin with, original historical materials and bibliography were reviewed briefly for observing the historical origin and import & transition procedures of the Kyung-yeon. Secondly,「Veritable Records of the Chosun Dynasty」was researched and analyzed as a main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grasping the Kyung-yeon & the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by two kings, Taejong and Sejong. At last, the position of Kyung-yeon was estimated and valued in my own way by means of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historical materials mentioned above. As a result of study is my hypothesis has been proved to be correct which the Kyung-yeon management and the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had opposite relationships each other. King Taejong managed the Kyung-yeon passively and avoided it gradually because it was using to restricting royal authorities by confucians. On the contrary, King Sejong evaluated its positive site and operated it more actively because he tried to fulfill confucian ideal politics. From the above product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yung-yeon in early the Chosun dynasty,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distinction was fairly clear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Kyung-yeon & the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of the two kings, Taejong and Sejon, both of the kings took decisive roles properly in settlement of the Kyung-yeon in early the Chosun dynasty. King Taejong kept the thread of life of the Kyung-yeon though the form was informal, and he permitted participation of the Censors at that place. This point offered the clue of the political importance of the Kyung-yeon. So, can say that he prepared of the base of activating this system in the period of king Sejong later. The Kyung-yeon management of King Sejong activated itself in the early Chosun dynasty, most of all, the fact is very important that he accomplished excellent model management which was well organized as the original function and goal of that. At the beginning, this study is focus on the comprehension of mutual relation in practical royal lecture & political situation management reviewing and comparing actual political affairs shown in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un Dynasty』. However, records about the Kyung-ye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s limited, that articles are also simple, and contents of the records are mostly concerning to the political principles, it was pretty hard to study the practical cases. This is perhaps a characteristics of Kyung-ye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Detailed research might be possible in the mid or late Chosen dynasty after King Sungjong period, when the Kyung-yeon was settle down the position stead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