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정화-
dc.creator남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7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32-
dc.description.abstract다가오는 21세기의 사회는 지식의 활용과 새로운 지식의 생산이 사회적 발전의 기틀을 형성하는 지식 기반 사회로서, 지식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지위 확보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더욱 중시되는 사회이다. 교육 과정이란 학습자에게 학습 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교육의 기본 설계도이자 교육 활동에 있어서 출발점으로,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개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회과 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6차에 걸쳐 개정되어 왔는데, 2000학년도부터 시행될 제 7차 교육 과정의 특징은 수준별 교육 과정의 운영이다. 수준별 교육 과정이란, 학생의 능력, 적성, 필요, 흥미에 대한 개인차를 고려하여 운영하는 교육 과정으로서, 제 7차 교육 과정의 핵심적 특징을 이루며, 단계형, 심화·보충형, 과목 선택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사회과에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이 적용된다. 특히,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은 현행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시행중인 단계형 수준별 교육 과정과는 달리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처음으로 실시될 예정이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의 수준별 교육 과정의 운영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수준별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진행은 문헌 연구와 실험 연구의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수준별 교육 과정의 개념과 유형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의 운영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문헌 연구를 토대로, 사회과에서의 심화·보충형 교육 과정의 적용 방안을 선택형 심화 학습으로 설정하여 중학교 3학년 사회 교과 중 국사 영역에서 민족의 독립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선택형 심화 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측정하였다. 선택형 심화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연구 변인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는데, 종속 변인은 심화 보충형 학습의 실시에 의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 유발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하위 변인으로 주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을 형성하였다. 한편, 독립 변인은 심화 보충형 학습이고, 학습자들의 특성 변인은 성별, 사회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성적이다. 연구 대상은 본 연구자가 소속된 경기도 포천군에 위치한 동남중학교의 3학년 6개 학급 34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실험 기간은 1999년 10월 11일부터 11월 6일까지 각 학급 당 7차 시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8차 시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측정 도구는 자기 보고식 설문지로서, 설문지의 내용은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문항, 학습 이후 관련성, 주의, 만족감, 자신감 등의 태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 처리 도구는 SPSS 7.5 for Windows이며, 빈도 분석과 교차 분석을 주요 기법으로 활용하였는데, 먼저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성별, 학업 성적, 사회 수업에 대한 흥미 정도에 따라 수업 방법에 대하여 평가하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교차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측정한 결과, 선택형 심화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를 학습 동기 유발에 있어서 하위 요소 별로 비교해보면, "주의" 면에서 수업 방식에 대한 집중도(44.20%), "자신감" 면에서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35.74%)에서 다소 부정적인 의견이 제시되었으나, 나머지 항목에서는 "주의" 면에서 수업 내용에 대한 흥미도(75.86%), "관련성" 면에서 선행 지식과의 관련도(78.69%), 타 교과와의 연계도(76.50%), "자신감" 면에서 수업 방식에의 적응도(77.74%), "만족감" 에서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88.09%), 수업 내용에 대한 만족도(76.18%)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모두 긍정적인 의견이 제시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특성-성별, 평소 사회 수업에 대한 흥미도, 학업 성적에 의하여 교차 분석을 한 결과, 선택형 심화 학습은 학습 동기 유발이 "성별"면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잘 이루어졌고, "평소 사회 수업에 대한 흥미도" 면에서 흥미가 있는 집단보다 흥미가 없는 집단에게 더 잘 이루어졌으며, "학업 성적"면에서 성적이 "중"과 " 상"인 집단보다 "하"인 집단에게 더 잘 이루어졌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수준별 교육 과정은 구 교육 과정보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며, 구 교육 과정에서 적용도가 높은 학생들보다 적응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더 많이 유발시킨다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 각 학교의 현장에서 수준별 교육 과정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먼저 수준별 교육 과정의 개념 해석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 과정이라는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고, 수준별 교육 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시간적·공간적인 융통성이 필요하며, 수준별 교육 과정의 평가에 있어서 결과의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의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덧붙여 수준별 교육 과정의 지원에 있어서, 교사들에 대한 전문 기관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수가 실시되어야 하고, 이들을 위한 자료와 교재가 선행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 The new coming 21st century is an era of the society based on knowledge. The curriculum is the basis on which the students experience can be decided and made, and the starting point in the education. It must be changed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society.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changed for 6 times. The point in the 7th curriculum is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akes ability, aptitude, need, and liking of the students into consideration. It consists of step style, depth/supplement style, and subject choice style. We have to study depth/supplement style,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to do depth/supplement style curriculum, while step style has been studied in the 6th curriculum. : To make its foundation in the 7th curriculum,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is as follow.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than the 6th curriculum in the students leaning motive. To verify the hypothesis, literature study, experiment study was done. First of all, the format and the way of operating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ere studied. Secondly,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the Optional Depth Study was chosen, and experimented in the 3rd grade curriculum in the junior high school. The experimental chapter is VI.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the National History. The research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non-independent variable is the making motiva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depth/supplement style. The feature variables are the sex,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Social Studies Studying, and the result of the regular test. The tool for this study is the questionnaire that asks the students to answer their own opin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7.5 For Windows through the number analysis, exchang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ptional Depth Study is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Secondly, the Optional Depth Study is more effective to women than men, the group who don t like the Social Studies than the group who like the Social Studies in the class and low-scored group than middle-scored, high-scored group in their results of the test. In conclusion,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than 6th Curriculum, and it is better for the students who showed low level of adaptati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depending on the different situation of the each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correctly. Also, time and space management is advised flexibly. Last, training teachers and producing the proper teaching materials are required. For this purpose, continuous endeavor should be made of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3 1. 연구 방법 = 3 2.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수준별 교육 과정의 개요 = 5 1. 구성주의와 수준별 교육 과정 = 6 2. 수준별 교육 과정의 개념 = 7 3. 수준별 교육 과정의 유형 = 9 B. 수준별 교육 과정 심화·보충형의 운영 방안 = 16 1. 학습 과제와 학습 목표에 따른 운영 방안 = 18 2. 학습자 집단 편성 방안 = 19 3. 시간 배당에 의한 운영 방안 = 22 4. 평가 방식에 의한 운영 방안 = 31 III. 교수-학습의 실제 = 34 A. 연구 설계 = 34 1. 연구 가설 = 34 2. 연구 변인 = 34 3. 연구 대상 = 35 4. 연구 절차 = 36 5. 분석 방법 = 36 B. 수업의 실제 = 38 1. 단원명 = 38 2. 단원 설정의 근거 = 38 3. 단원 지도 목표 = 39 4. 단원 지도 계획 = 40 5. 본시 지도안 = 41 IV. 연구 결과 및 분석 = 44 A. 측정 도구 = 44 B. 선택형 심화 학습에 대한 학습 동기 유발도 분석 = 45 C. 학습자들의 특성에 의한 학습 동기 유발도 분석 = 52 1. 성별에 의한 학습 동기 유발도 분석 = 52 2. 평소 사회 수업 흥미도에 의한 학습 동기 유발도 분석 = 57 3. 학업 성적에 의한 학습 동기 유발도 분석 = 62 V. 결론 및 제언 = 67 참고문헌 = 69 부록 = 74 영문초록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08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역사 부분의 심화, 보충 과정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