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남한의 물수지와 한발의 특성

Title
남한의 물수지와 한발의 특성
Other Titles
WATER BALANCE AND CHARACTERISTICS OF DROUGHT OVER THE SOUTH KOREA
Authors
유경희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Keywords
남한물수지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희구
Abstract
1954년부터 1983년까지 남한 14개 측후소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를 Thornthwaite 법으로, 그리고 한발을 Palmer 법으로 각각 분석하고 그들의 시공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연강수량에 대하여 남한의 유출량은 41 %였고, 증발산량은 59 %였다. 물수지 분석에 의하면, 수분부족이 심했던 해는, 1960년, 1965년, 1967년, 1968년, 1973년 그리고 1977년이었으며, 중부 일부지역을 포함하여, 대부분 영남과 호남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월별로 그 발생횟수가 전국적으로 가장 많았던 달은 10월이었으나, 부족량이 가장 많았던 달은 8월로서 주로 영남과 호남지역으로 나타났다. Palmer 한발심도 (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에 의하면, 비교적 심한 한발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던 해는, 토양 수분부족이 발생했던 해와 대체로 일치하여, 1967년, 1968년과 1977년, 1978년에 나타나서, 거의 10년에 1회로 한발이 발생하였다. 한발의 발생빈도가 전국적으로 가장 높았던 달은 8월이었고, 한발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던 달은 7월이었다. 특히, 한발이 가장 심했고, 그 지속기간이 가장 길었던 지역은 호남지역으로 나타났다. Palmer 한발심도로서 건조기와 습윤기로 나누면, 남한은 습윤기가 건조기보다 더 길었다. 그리고, 이 한발심도를 구하는데 이용되는 습윤이상지수가 강수량과 가능증발산량의 차와 밀접한 선형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balance components and droughts were analyzed for the South Korea by using the Thornthwaite water balance and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developed for the each of 14 stations from January 1954 through December 1983. The runoff and evapotranspiration ratios on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over the country were 0.41 and 0.59 respectively. The severe soil moisture deficit occurred in 1960, 1965, 1967, 1968, 1973 and 1977 in most southern regions of the country. The maximum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in moisture deficit appeared in August, while the maximum amount of the deficit occurred in October. The years of the relatively wide spread severe drought were 1967, 1968, 1977, 1978 and 1982 with cycle of about ten years according to the PSDI, which were almost consistent with years of severe soil moisture deficit.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drought exhibited in August, but the most severe drought in July. Extreme drought and the longest duration of the drought took place in Honam area. Consequently, the southern portions, particularly Honam region, of the South Korea were found to be more drought-prone than other parts of the country. The wet period suecified by PSDI was longer than dry period all over the countr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high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Palmer's moisture anomaly indices and values of precipitation minus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