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4년제 대학 재학생의 e-러닝 체제에 대한 인식 조사

Title
4년제 대학 재학생의 e-러닝 체제에 대한 인식 조사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into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e-Learning Systems
Authors
이미경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Recently introduced to enhanc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to increase college's competitive edge, e-learning systems are facing the demands to meet the needs of education consumers, set up policies based on them, and reflect them i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settle down in college. Thu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s of e-learning systems in college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onstituents and to search for improvement measures with their operation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employed for investigation, and the inventories from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extracted before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for the study goals. A survey was conducted over 201 students attending four-year colleges running an e-learning system in Seoul. Total 165 questionnaires(82%) were returned, and 163 of them were used as valid data. The answers were treated with the SPSS for WINDOW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uses of the e-learning systems in college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y combined the auxiliary media with on- and off-line and gave lectures for e-learning in the most cases. The students understood that e-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common class lessons in its utilization of diverse teaching media and e-learning should supplement the general education in terms of its relationships with the general education. Second, as for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stituents of e-learning systems, the first constituent of learning contents and resources(contents) was examined. The subjects usually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properness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resources.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teaching-designing area, 70% said the learning goals were not presented clearly. They said the results were average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 optimal e-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selected to fulfill learning goals. Forty four percents of them felt the it's average the way the amount of learning resources and contents and the learning hours fit the levels of the learners. A great number of them provided neg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if feedback was given effectively to learning processes and results and helped promote interactions. The biggest number of them said the difficulty and amount of assignments was average.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 learning contents were reflected in evaluation property, 42.5% said it's average. As for evaluations, they we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practice. The second constituent, the delivery systems and learning supporting systems, was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they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screen transportation and menu consistency in the learning supporting system(platform) area. The biggest number of them said ‘It's average' about the usefulness of the Help and Information features, establishment of interactions with fellow learners, and regulation of learning amounts. The subjects also answered the homepage logging performance was average in the systems infrastructure area. Forty percents of them said “No"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 systems were stable during learning, which implies that they were negative about the systems infrastructure. They also said the rates of problems with the systems being resolved were ‘average,' and 38.8% said the installations and uses of the programs necessary for learning were “not" convenient. The third constituent,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systems, was also taken into account. The subjects were rather negative about the easiness of registering in courses and selections of diverse liberal arts or major courses. Their evaluations were average regarding enough provision of prior planning about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introductory activities for supplementary or advanced learning, and the teaching assistant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management of their students.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availability of counseling with the operator, which means it will be easy to talk to one.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y had multilateral operational strategies to create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activities to promote learning, 44.0% of them said it's ‘average.' Their opinions of provision of basic education about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systems were also average. And to the item asking if they encouraged active and equal participation from the students, 42.4% said it's ‘average,'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ppearing. Third, the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learning systems. As a result, only about 20% of them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e-learning, which reflects the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e-learning systems. They cited ‘supplementation of evaluation features with feedback through quizzes and evaluations' as the areas to improve to increase the content quality. And the biggest number of them answered ‘The school affairs should be run to fit on-line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e-learning systems and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systems, which calls for improvements with the operation of school affairs in the e-learning systems.;최근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된 e-러닝 체제가 대학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수렴하고 그에 입각한 정책을 수립하고 교육요구가 반영된 제도적 개선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대학 e-러닝 체제의 활용 실태와 e-러닝 체제의 구성요소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e-러닝 체제 운영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들에서 활용한 문항들을 분석하여 발췌한 후 수정ㆍ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시내의 e-러닝 체제를 도입한 4년제 대학 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165부(82%)중 163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e-러닝 체제의 활용 실태에 대한 결과를 보면, e-러닝의 활용 형태는 오프라인 수업의 보조적인 매체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80%의 학습자들이 e-러닝을 어떠한 형태로든지 경험하여 현재 대학에서 e-러닝 학습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e-러닝 학습의 수업 방법은 2가지 이상의 다양한 방법으로 e-러닝이 진행되고 있었다. e-러닝이 일반 교실수업보다 효과적인 점은 가장 많은 응답자가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e-러닝에 의한 교육과 일반적인 교육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서는 ‘e-러닝이 보완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 e-러닝 체제의 구성요소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구성요소인 학습내용과 학습자원(콘텐츠) 영역에 대한 조사결과를 보면 학습내용과 학습단계가 학습동기를 유발하도록 잘 구조화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제시되어 있는 학습내용이 의도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가 약 50%로 나타났다. 풍부한 자료 및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가 42.9%로 대답하여 부정적 응답률이 높았고, 제공된 학습 자료의 내용이 유용하고 가치로운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다’에 40.0%의 학습자가 응답하여 학습내용 및 학습자원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설계 영역에서 70%의 학습자가 학습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고 대답하였다.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e-러닝 교수 학습 모형의 선정 여부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52%로 가장 많았으며, 학습자원과 학습내용의 양과 학습시간이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보통이다’라는 의견이 52%로 가장 많이 나타나 교수방법은 비교적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정 및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효과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와 상호작용의 촉진에 대해서는 부정적 응답률이 높았다. 과제의 난이도와 양이 적절한지에 대해서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54.4%로 가장 많았으며 평가 시 학습내용에 대한 반영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42.5%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여 평가 부분에서는 비교적 양호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전달체제 및 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지원시스템(플랫폼) 영역에서 원하는 화면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가 42.9%로 나타났고 메뉴가 일관성 있게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38%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여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움말, 안내 기능의 유용성에 대해서 42%가 ‘보통이다’라고 대답하였다. 학습 진도 및 성적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33%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의 기능 구축 여부에 대해서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학습량 조절여부에 대해서 38.4%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시스템인프라 영역에서 학교 홈페이지의 접속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지에 대해서는 34.4%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학습 중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질문에 32.5%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해 시스템 인프라에 대해서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가 조속히 해결되었는지에 대해서 45.6%가 ‘보통이다’라고 대답하였고 학습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설치와 사용은 편리하였는지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가 38.8%로 나타났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행정 및 운영 체제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에 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강 과목 등록이 용이했는지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34.8%로 가장 많아 다소 부정적인 입장이었으며 다양한 교양, 전공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38.1%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고, 28.8%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양 전공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학사행정에 대한 충분한 사전계획 제공 여부와 보충 및 심화학습을 위한 안내활동이 충실하게 제공되고 있는지의 여부 및 과목 담당 조교의 교수-학습활동과 수강생 관리 충실 여부에 대해서는 약 40%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다. 운영자와의 상담용이 여부에 대한 질문에 45%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32.5%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운영자와의 상담은 비교적 수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촉진 활동 중 공동체 의식 형성을 위한 다각적인 운영전략 보유여부에 대해서 44.0%가 ‘보통이다’라고 대답했으며 테크놀로지, 인프라 및 지원시스템에 대한 기초교육제공 여부에 대하여 42.4%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유도 및 동등한 참여 유도 여부를 묻는 항목에 대해서 42.1%가 ‘보통이다’라고 대답하였다. 셋째, e-러닝 체제의 개선방안과 향후 참여 의사에 대한 재학생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향후 e-러닝 학습에 참여할 의사에 대해서 참여할 것이라고 대답한 인원은 20% 정도 밖에 되지 않아 e-러닝 체제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거나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체계적인 정비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e-러닝 학습에 참여한다면 그 이유는 가장 많은 응답자(41.9%)가 언제 어디서나 수업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고, e-러닝 학습 불참 이유는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25.3%로 가장 많아 일방적인 수업방식에 대한 거부감이나 상호작용의 부족에서 나타나는 불만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퀴즈, 평가를 통한 피드백 등 평가기능의 보완’에 47.1%의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e-러닝 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점에 대해서 ‘온라인 교육에 맞는 학사 운영’이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고, ‘교수와 학생, 학생과 콘텐츠 혹은 다른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구체적 전략수립’과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부응하는 교육과정 마련’이 비슷한 응답률을 보여 e-러닝 체제의 학사 운영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혼합형(Blended)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융통성 있는 학사 운영 제도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둘째, 콘텐츠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질 확보 체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 내부에서 e-러닝에 관련된 평가제도의 도입이나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담당부서나 관련 기관 설립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전달체제 및 학습지원시스템(플랫폼) 영역의 질적인 수준 향상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시스템 담당 운영자를 두는 등 인적 자원의 투자가 필요하다. e-러닝 체제가 실시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물리적 시스템이 잘 정비되어 있어야 다른 e-러닝 체제의 구성요소 역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행정 및 운영 체제의 개선을 위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전공과 교양 과목을 아우르는 다양한 교육과정의 설치가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 교육에 맞는 학사 운영이 필요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콘텐츠,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촉진 전략이 수립된 교수자ㆍ학습자 지원체제의 체계적 정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e-러닝 체제 운영에서 개별적인 구성요소만을 발전시키기보다 3가지 구성요소들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이들을 통합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