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은경-
dc.contributor.author이혜련-
dc.creator이혜련-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66-
dc.description.abstractLately, there is a loud cry for change in school, and there are different things that should be changed. Pursuing a new educational vision and creating new school culture are specifically two of primary tasks that should be handled. The educating sector is at serious risk, and some call this phenomenon as a breakdown of public education. Parents don't put confidence in school education, and students don't find school life satisfactory, either. Teachers who are demoralized fail to properly respond to problematic students, and this vicious circle keeps going on. To tide over such a crisis and keep up with the times, educational leaders absolutely need to be decent, creative, driven and have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 that they could be capable of reforming school culture and climate. Existing transcendental leadership that is based on interests can just produce temporary and short-term results, and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be sai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urrent age in that it could get over the problems of transcendental leadership by predicting possible external changes, by presenting a vision in accordance with current trend, and by urging organizational members to be motivated, improve self-realization and strengthe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out caring about their own interests. School reform will be more successful if this kind of leadership is applied. Since the introduction of school-based management, not only the leadership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but that of teachers in classroom have been viewed as educational leadership that should be exerted in schoo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refers to link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needs for educational system efficiently in a way to comply with the fashion of the day, and that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generating new school culture. Especially, teachers who are the managers of classes, the most fundamental units of school, will take initiative in school reform when they exert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y c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boost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s well as of classroom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regular teachers affected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selected: 1. Investigate in which way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ir homeroom teachers in each relevant category in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2. Look into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s in every relevant category and in light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3. Identify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omeroom teachers to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After literature concerned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he subfactors of teac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selected, including presenting a vision, professional ability, caring and empowerment, and morale, cohesion, adjustability and achievement were selected as the subfactors of classroom organization effectiveness. Detailed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subfactors, and a teacher each was selected from 24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11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lasses which the selected 24 teachers were in charge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o see how they looked 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ir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ir classroom organization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to the effectiveness of their classroom organization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abou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by teacher gender and school grade, the teachers who were male and worked at high school were considered to have a strong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concerning their view of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by teacher teaching career, school grade and type of school foundation, the classes under the charge of the teachers with 5- to 10-year career and high school classes were thought to be better in terms of morale, cohesion, adjustability,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And the private school students excelled the public school ones in classroom cohesion and adjustability. Third,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and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The students got better in classroom morale, cohesion, adjustability,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when their teachers were more excellent in presenting a vision, professional ability, caring and empowerment, which were all the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articular, empowermen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classroom organization, which was followed by presenting a vision and caring.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to all the subfactors of classroom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cluding morale, cohesion, adjustability and achievement, which determine classroom organization effectiveness. It means that regular teachers could make their classes more efficient by using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run class in a more efficient manner, it's imperative for teachers to exert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presenting an ideal vision to students, by improving their expertise, by having high interest in individual students with caring attitude and by empowering them. Sustained efforts by teachers to enhanc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serve to elevate the effectiveness of class and to create a more efficient school community, and then current crisis will be eliminated and new educational culture will be generated.;최근 학교는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으며 변화의 여러 가지 이슈 중에서 새로운 교육적 비전과 학교문화의 형성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의 교육현장은 위기를 맞고 있으며 어떤 이는 이런 현상을 공교육 붕괴론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학부모들은 학교교육을 불신하고,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불만족스러워하며, 교사들은 사기가 떨어져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위기를 극복하고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학교조직의 문화와 풍토를 개혁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지와 능력을 바탕으로, 도덕적이고 창의적이며 변화 지향적인 참신한 교육지도자의 모습이 절실히 필요하다. 변환적 지도력은 이해(利害)관계를 기초로 한 한시적이고 단기적인 효과에 만족해야했던 기존의 교환적 지도력의 한계를 넘어선다. 변환적 지도력은 외부의 변화를 예측하고 시대의 흐름에 맞는 조직의 비전을 제시한다. 또한 변환적 지도력은 구성원들이 자발적인 내적 동기를 가지고 자아실현의 수준을 높이며 자신의 이해관계를 넘어 조직에 헌신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실현한다는 점에서 현시대에 적합한 지도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적 지도력이 교육환경에서 교육적 지도력으로 적용될 때 학교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단위학교경영체제의 도입으로 학교의 교육적 지도력은 교육행정가의 지도력뿐만 아니라 교실 안에서의 교사의 지도력을 요구한다.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란, 시대적 흐름에 적합한 교육 체제의 내적․외적요구를 효과적으로 연계시키는 지도력으로써 새로운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특히 학교의 가장 기초단위인 학급의 경영자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발휘는 학급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고 나아가 학교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학교개혁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학급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수준을 하위요인별, 담임교사의 배경요인별로 알아보았다. 둘째, 학급조직 효과성의 정도와 차이를 하위요인별, 담임교사의 배경요인별로 알아보았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 효과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탐구를 통하여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으로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 개인적 배려, 권한부여를 선정하였고 학급조직 효과성을 측정하기위한 하위요인으로는 사기, 응집성, 적응성, 성과를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각 하위요인들을 가지고 세부적인 설문지를 제작하여, 서울시 24개 중․고등학교에서 각 1명씩의 교사를 선정한 후 선정된 24명의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의 학생 총 8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들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의 효과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의 효과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담임교사가 남자일 때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고등학교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급조직 효과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교직경력이 5~10년일 때 학급조직 효과성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고등학교가 학급조직의 사기와 응집성, 적응성, 성과, 그리고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설립 유형으로는 사립학교가 학급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 효과성과의 상관관계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인별로는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인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 개인적 배려, 권한부여 등 각 요인별 수준이 높을수록 사기, 응집성, 적응성, 성과 그리고 학급조직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 중에서 권한부여가 학급조직 효과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비전제시, 개인적 배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학급조직 효과성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발휘가 학급조직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학급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비전을 제시하며 교사 고유의 전문적 능력을 바탕으로 학생개개인에 대한 높은 관심과 배려, 그리고 적절한 권한 위임을 통한 변환적 지도력의 발휘가 꼭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교사들의 변환적 지도력 개발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지도력의 발휘가 단위학교내의 각 학급의 효과성을 높이고 나아가 효과적인 학교공동체를 실현시킴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조직문화를 형성해 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지도력 이론의 변화 = 6 1. 특성이론(trait theory) = 6 2.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 8 3.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 10 B. 교환적 지도력과 변환적 지도력 = 13 1. 교환적 지도력(transactional leadership) = 13 2. 변환적 지도력(transformational leadership) = 15 C.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 18 1.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 19 2.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 = 21 D. 학급조직 효과성 = 26 1. 조직 효과성의 개념 = 26 2. 조직 효과성의 평가모형 = 28 3. 학급조직 효과성의 개념과 하위요인 = 29 E. 선행연구 분석 = 36 III. 연구방법 = 39 A. 연구대상 = 39 B. 측정도구 = 40 C. 자료분석 = 41 IV. 연구결과 = 42 A.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 42 1.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변환적 지도력 = 42 2.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변환적 지도력 = 44 3. 학교급에 따른 변환적 지도력 = 45 4. 학교설립 유형에 따른 변환적 지도력 = 46 B. 학급조직 효과성 = 47 1.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 = 47 2. 담임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 = 48 3. 학교급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 = 50 4. 학교설립 유형에 따른 학급조직 효과성 = 51 C.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 효과성 = 52 V. 결론 및 제언 = 54 A. 요약 및 결론 = 54 B. 논의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3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27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급조직 효과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to Classroom Organization Effectiveness-
dc.creator.othernameLee, Hye-Ryun-
dc.format.pageix ,7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