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경혜-
dc.contributor.author최인경-
dc.creator최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517-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최대 목적은 학교교육력 제고이며 이러한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전제로서 교사의 질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교사의 질은 교사 전문성 신장에서 비롯된다 할 수 있으며 교사 전문성은 교사평가제의 도입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 교육계를 비롯한 전 국민의 중론이다. 그러나 교사평가제 시행이 바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판단과 이에 따른 정부 주도의 교사평가제 도입은, 사회일반인의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교원 자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관련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교사평가제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의 교사평가제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우려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평가제는 정부 주도와 정책 위주로 시행되기 보다는 제도의 주체이자 대상자인 교사들의 적극적인 찬성과 합의를 통해 현장 출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교사평가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친 교사평가제의 도입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운영계획에 포함된 교사평가제 시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과 설문지법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기간은 2005년 12월부터 2006년 4월까지이다. 심층면담과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학교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운영계획에 포함된 교사평가제 시안에 대해 교사들은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내용과는 상당 부분 다르게 인식한다. 첫째, 교사평가제의 도입 목적에 대해 시안에서는 분명 그 필수 과제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원평가로 밝히고 있음에도 교사들은 그 목적이 부적격 교사 퇴출과 공교육 부실의 책임을 교사에게 전가하기 위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교사평가제가 타당치 못하다고 생각하며 특히, 교사평가제가 교사가 아닌 교육부에게 가장 유용한 제도인 것으로 파악한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평가제가 교사의 수업 능력 보다는 교사의 인기나 대인관계를 더욱 중점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특히 교육의 질 혹은 교사 전문성과 무관하게 여겨지는 인성과 위기관리 능력에도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본다. 또한 평가 방식이 서열화와 관련 있는 상대평가와 결과중심 평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평가의 기준 역시 일관되고 획일화된 기준이 적용될 것으로 인식한다. 셋째, 교사평가제 시행 시기에 대해 많은 수의 교사들은 시기상조 혹은 그대로 도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시안에서 평가는 연중 실시되며 학년말에 1회 종합하고, 동료교사의 수업 참관은 기존 수업공개의 날을 적극 활용하되 자세한 사항은 교원평가관리위원회에서 결정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교사평가의 시행 시기와 횟수에 대해 교사들은 모호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구체적인 예시안 부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시안에서는 교사평가의 결과를 본인에게만 공개토록 하며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만 한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악용될 가능성과 비공개가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 우려한다. 다섯째, 교사평가제 시안의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며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자 참여를 참여 배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또한 교사 개인 평가를 지양하고 그룹 평가 내지는 학교 평가로 전환 돼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했다.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확립 방안에서는 첫째, 교사들은 교사평가제가 교사와 학생, 그리고 모두에게 필요한 제도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는 학교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운영계획에 포함된 교사평가제가 교육부에 가장 유용한 제도임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현실이 교사들의 이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사들은 교사평가제의 목적이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있어야 한다고 여기며, 특히 그 이면에 책임전가와 전시행정, 업적과시와 같은 불순한 목적이 내포될 가능성을 매우 경계한다. 둘째, 교사평가의 대상은 교사의 수업능력이 되어야 한다고 보며 수업 능력을 평가할 때는 수업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 또한 교사평가의 평가자로는 동료 교사와 자기 자신을 가장 합리적인 평가자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교사의 평가자로는 교사가 가장 적합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셋째, 교사평가제의 방법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간접평가와 직접평가를 절충하되 목적과 상황에 따라 그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특히 서열화와 관련될 수 있는 상대평가는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평가 기준은 교과별, 교사별, 학년별 전문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확립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피드백이 중요하므로 평가 결과 보다는 평가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넷째, 교사평가제의 정착 시기는 단시간은 어려우며 일정 기간, 최소 5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교사평가의 시행 시기와 횟수는 학교 사정에 맞게 조정하여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본다. 단, 학교별로 통일성 없이 시행하는 것은 좋지 못하며,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미리 여러 가지 종류의 예시안을 제시하고 이 중 사정에 맞는 시안을 채택, 혹은 재구성하여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교사평가제 도입에서는 교사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특히 도입 시 과도한 통제와 교직의 자율성 저해의 가능성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교권의 추락 가능성에 대해서도 많은 교사가 우려하고 있으며 이는 학생과 학부모가 교사의 평가자로 참여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외에도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원 진학 혹은 연수기회의 보장 같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는데 이는 교사들이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평가제 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평가 대상과 기준이므로 타당한 대상과 기준을 확립할 필요 또한 있다는 생각이다. 여섯째, 교사평가의 결과 활용은 교사평가의 도입 목적과 맞물려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단, 도입 목적에 있어 내포되어 있었을 가능성, 예를 들어 공교육 부실의 책임 전가 혹은 교사 집단 통제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매우 경계하고 있다. 교사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교사평가제의 이상과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시안은 상당부분 일치한다. 특히 교사평가제의 목적, 대상, 결과활용 등은 각각 전문성 향상, 교사의 수업능력,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단으로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사들은 교사평가제의 시안에서 밝힌 대로 인식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교사평가제의 시안이 타당치 못하다고 인식한다. 특히,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시안에서 교사평가제 도입 목적을 교사 전문성 신장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입 목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어 있는 것은 교사에 대한 신뢰가 저하된 사회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이, 사회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인식을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도 두 가지 가능성이 더 있는데 첫째는 교사들의 의견처럼 교육부의 의도가 다른 곳에 있다는 것과, 둘째는 교사들이 교육부를 믿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원활한 교사평가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교사에 대해 부정적인 사회 분위기 일신과 보다 구체적인 교사평가제의 시안, 그리고 교육부에 대한 교사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필요하다. 또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안의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며 교사들을 대상으로 각종 시안의 장·단점과 특색을 주제로 하는 연수를 시행하여 교사평가제에 대한 사전 지식의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Korea's current utmost educational objective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so it is supposed that the quality of teachers should be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Most of Koreans and the educational circle think that the key to improve teacher quality i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But this Teacher Evaluation System led by the government had brought some worries to the teachers that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could be related to the lack of confidence in public education and negative view on teachers' qualification. So it is needed to minimize the teacher's apprehension of thi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of this policy should be teachers not the government or the policy itself and it should start from the teachers based on the consent and active approval because the purpose of this policy i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eacher's understanding and opin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reflect them on the more developed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has examined the teacher's opinion o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which has announced on November 2005 and collected their demand for the more desirable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methods of the research are in-dept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and it's been carried on from December 2005 to April 2006.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eachers have different ideas of the announced Teacher Evaluation System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se are the differences. First, They have different idea of the purpose of this new Evaluation System. Even 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ted that they aimed to promote teacher's professionalism, most of teachers think that it is for discharging unqualified teachers and attributing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to the teachers. Accordingly, teachers don't think this system is reasonable and especially they think it is not for them but for the government. Next, teachers do think this system might assess more of teacher's popularity, human relationship or even further his/her personality and crisis management not the quality of his/her class itself. Also they worried that the method of assess would be norm-referenced and result-oriented which tent to rank teacher in order and the criteria of evaluation would be same by not considering many differences; subjects, teachers' characteristics, regional uniqueness, student's disposition, working environment and so on. Third, teachers disagreed with the time for going into effect this policy. They said it would be premature or it needed amendment. They think this system's test time and frequency are ambiguous because the test will be done occasionally through the whole year and the results would be integrated at the end of the year. The reason of this ambiguity is considered as the lack of detailed examples. Then, teachers fear that there are possibilities of misusing the evaluation result and worry that the result could be revealed to the public even 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declared that the result would be noticed only to the teacher himself/herself. Last, most of teachers consent to the revision of the announced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parts should be revised are the exclusion of parents and students evaluation and more group evaluation or school evaluation rather than self evaluation. This research also listened to some ways to make a more desirable Teacher Evaluation System. First,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should be beneficial to all of us;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the govern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announced evaluation system does not correspond to the teacher's ideal like mentioned above because teachers think it is more favorable to the government. Next, the object of evaluation should be the quality of the class and there should be some evaluation criteria which cares for teachers' specialty and diversity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udents. And self-evaluation and co-teacher evaluation would be more appropriate than students and parents evaluation. Then, it is more resonable to compromise between norm-referenced and criteria-referenced test, direct and indirect test and the percentage of these test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situation. And it is better not to use norm-referenced test much because it could lead to the hierarchy of teachers. It should be process-oriented test because feedback is important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th, teachers believe we need longer time, more than 5 years, to implem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to all over this country and the time and frequency of evaluation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chool's specific character. But it would be more confusing if there is no unified evaluation from school to school so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epare some possible examples that schools can choose from and reorganize. Fifth,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should reflect on as many ideas and opinions of teachers as possible and there should be many chances to attend training programs or graduate school to strengthen teacher's quality. Last,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use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ers beware of possible implications of this system that are to blame teachers for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and as a method to control teachers. The ideal Teacher Evaluation System of many teachers' have much in common with that of Ministry of Education. Especially, the purpose, objects and use of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are almost the same. But teachers do not accept this system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and think that this system is unreasonable. The reason of this could be related to the atmosphere that society distrusts teachers and teachers distrust society in retur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re should be more specified and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the discredit of teachers from society should be renewed. Furtherm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support and believe teachers fully and hold some seminar that explains its system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get support from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사평가제의 쟁점 = 5 B. 교사평가의 유형 = 17 C. 교사평가의 난점 = 24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30 B. 자료 수집 방법 = 31 C. 자료 분석 방법 = 38 Ⅳ. 연구결과 = 39 A. 심층면담의 결과 = 39 B. 설문조사의 결과 = 76 Ⅴ. 결론 = 97 A. 요약 및 결론 = 97 B. 논의 및 제언 = 100 C. 한계점 = 103 참고문헌 = 104 부록 = 108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평가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 Secondary Teachers in Gyeonggi Provincial GuriNamyangju Office of Education-
dc.creator.othernameChoe, In-Kyung-
dc.format.pageⅶ, 11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