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불어 e muet의 분석

Title
불어 e muet의 분석
Other Titles
Analyse du e muet en francaid
Authors
김혜자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불어교육분야
Keywords
불어e muetmuet어학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용숙
Abstract
Le e muet en franc¸ais, qui est repre´sente´ par 'e' orthographiquement, se prononce comme [∂], [oe], [Ø] et peut disparai^tre suivant la condition phone´tique. Bien des phone´ticieus et des phonologues se sont inte´resse´s a` ce e muet instable, proble`me traditionnel de la phonologis. Dans cette e´tude, nous avons de saisir la caracte´ristique du e muet et en me^me temps d'examiner la me´thode d'analyse la plus raisonnable sur l'effacement de ce e muet. Dans ce but, nous avons choisi les me´thodes d'analyse ge´ne´rative, autosegmentale et me´trique. Apre`s avoir examine´ les me´thodes d'analyse d'apre`s Dell, Anderson et Noske, nous avons constate´ les faits suivants; Les re`gles phonologiques, la me´thode d'application et l'ordre d'application qui sont propose´s par Dell sont formule´s plus syste´matiquement que l'analyse de la phonologie traditionnelle. Mais quelques proble`mes se pre´sentent dans cette anatyse de Dell. Dell a employe´ la frontie`re du mot, de la me´trique et de la morphophonologie pour expliquer ses re`gles phonologiques. Il en a re´sulte´ que les aspects phone´tiques , phonologiques et morphonologiques se sont confondus sans distinction. L'utilisation du signe d'attache (⌒) pour expliquer l'alternancede [□]~[ε] est oppose´e au principe de Dell- "Toute re`gle phonologique qui peut prendre effet a` l'inte´rieur d'un morphe´me peut aussi force´ment prendre effet aux jointures entre morphe`mes", Et Dell a re´solu l'effacement du e muet en ce qui concerne de la fac¸on suivante :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inalement, Dell a admis d'effacer le e muet qui se trouve devant -i(ons), -i(ez) dans le conditionnel. (Ex. Demanderions [d∂ma□d□rj□□] ^(*) [d□ma□d□rj□□]) Anderson at Noske ont conside´re´ la syllabe comme unite´ de description phonologique. Anderson a e´tabli les re`gles phonologiques sur l'effacement du e muet par la structure syllabique. Noske a analyse´ la strvcture syllabique conforme´ment a` la syllabification et la condition de marque. Surtout la re´gle de syllabe spe´ciale par accent entrai^ne l'effacement du e muet.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Selon les trois me´thodes d'analyse ci-dessus , nous avons constate´ que l'explication par la structure syllabique sur l'effacement du e muet e´tait plus ge´ne´rale et globale que par la condition phone´tique. Donc nous avons conside´re´ que la me´thode d'analyse de Noske est plus raisonnable que les autres. Le e muet en franc¸ais est un phone`me diffe´rencie´ de /oe/bien que le e muet puisse se prononcer comme [oe]. Pour la distinction de e muet et de /oe/ , le e muet ne peut pas recevoir un accent tandis que le /oe/ peut avoir un accent. Le e muet peut alterner comme [ε] et ze´ro tandis que le /oe/ne le peut pas. Le e muet se maintient toujours devant les mots commenc¸ant par h-aspire´. De ce point de vue, le e muet est distinctif. Bien que le h-aspire´ ne corresponde pas phone´tiquement a` la consonne, nous conside´rons le h-aspire´ comme l'allomorphe pre´consonantique qui se comporte comme consonne en conside´ration de l'e´lision et de la liaison.;철자상 ' e '로 나타나는 불어의 e muet는 다른 모음들과 달리 음성환경에 따라 [□]외에 [œ], [ø]로도 발음되며 어떤 경우에는 탈락되기도 하는 불안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e muet의 특성은 불어 음운론의 전통적인 문제로서 많은 음성학자와 음운론자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e muet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 e muet의 탈락현상을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어떤 것인가를 알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이론으로서 변별자질(trait distinctif )을 음운기술의 기본단위로 생각하는 생성음운론의 분석방법과 음절을 음운기술의 기본단위로 하여 음운규칙을 음절구조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자립분절음운론 (Phonologie autosegmentale)의 분석방법과 음절조건(Condition de Syllabification)과 유표조건(Condition de marque)으로 음절구성을 설명하는 운율이론의 분석방법을 살펴 보았다. 생성이론으로서는 Dell의 분석방법을, 후자의 경우에는 Anderson과 Noske의 분석방법을 고찰한 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Dell이 제시한 //탈락규칙과 그 규칙들의 적용방법, 적용순서에 대한 설명은 전통적인 음운론에서 e muet의 탈락현상을 설명하였던 것보다 체계적으로 공식화하여 기술되었다. 그 규칙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정해진 순서에 의해 적용되어야만 옳은 음성표시를 얻을 수 있었다. Dell의 분석방법에서 제기된 몇가지 문제점으로서 Dell은 /□/탈락규칙을 설명하는데에 단어경계, 운율경계, 형태소경계 등을 함께 사용하여 그 결과 음운론적, 음성학적, 형태론적 측면의 구분이 불분명하였고 [□]~[ε]교체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연결기호(⌒)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Dell이 제안한 음운규칙의 적용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며 clitique인 'ne'의 /□/탈락을 예외규칙으로 설명하여 자연스런 분석이 되지 못하였으며 조건법 -i(ons), -i(ez) 앞에서 /□/탈락을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Anderson은 분절음단위로 음운규칙을 기술하던 방법과는 달리 음절을 음운기술의 단위로 보아 음절구조를 사용하여 /□/탈락규칙을 설명하였다. 이 분석방법은 음절구조가 음운규칙을 설명하는데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 준 것이다. Noske는 /□/탈락규칙을 비환경규칙으로 설정하였고 이 규칙이 효과를 갖기 위해 음절화조건(condition de syllabification)과 유표조건(condition de marque)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따르는 음절구조를 택하였다. 또한 강세에 의한 특수 음절화규칙은 결과적으로 /□/탈락을 가져왔으며 재음절화가 요구되었다. 이상의 세가지 분석방법을 통해서 /□/탈락은 음성환경에 의해서 보다 음절구조에 의해서 더욱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점에서 Noske의 분석방법이 Dell과 Anderson의 분석방법보다 합리적이며 설명적 타당성을 지녔다고 본다. 한편 /□/의 [œ]는 /œ/의 [œ]와는 달리 강세하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탈락될 수 있고 단어 초두에서는 결코 나타나지 않는 결여된 분포를 갖는다. 그리고 h-aspire´ 단어 앞에서는 /□/탈락규칙이 일어나지 않고 항상 e muet가 나타나므로써 음소적 변별성을 갖는다. h-aspire´는 음성학적으로는 자음에 상응하지는 못하지만 어두에 위치하여 형태론적으로 자음의 역할을 하는 전자음의 이형태(allomorphe pre´consonantique)로 간주하였고 탈락되기도 하고 [œ], [ø]로 혼동되어 사용되는 불안정한 e muet가 이 h-aspire´ 단어 앞에서는 안정적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탈락과 h-aspire´에 대해 음운론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은 앞으로 형태론 또는 형태음운론의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