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Title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Authors
박연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역사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이다. 교사의 설명은 역사적 사실의 기억과 암기에는 효과적이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등의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역사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교육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역사교육이 대부분 단순 사실의 암기에 머무르고 있어 학생들에게 역사란 지루하고 딱딱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이런 이유에서 역사적 사실의 암기는 무조건 지양되어야 할 학습방법이라는 사고방식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0년 들어 시작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 사고력이란 역사지식을 이용하여 역사문제에 관해 가설을 산출하거나 해결방안을 모색하면서 역사이해에 도달하려는 의도적이고 복합적인 정신활동을 수행하는 인지적 조작능력이며 이렇게 역사적으로 사고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성향이 필요하다. 그리고 역사지식에 있어서 역사적 사실의 습득은 근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신장에 있어 역사적 사실의 기억이 과연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또한 역사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성향 중 특별히 창의적 사고 성향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역사 인식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역사적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그 개념을 우선적으로 밝히고,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요소들을 미국 역사 국가 성취 기준(National Standard for History)을 기반으로 하여 연대기적 사고, 역사적 이해력, 역사적 분석 및 해석 능력, 역사적 연구능력, 역사적 쟁점 분석 및 의사 결정력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들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들과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역사 교육의 앞으로의 방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와 각각 상관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은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와 각각 상관이 있는가? 위의 연구 해결을 위하여 역사적 사고력을 위에서 제시한 5개의 하위요소로 나누고 역사적 사고력의 각각의 하위 요소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 그리고 창의적 성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관계의 분석을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모든 자료 처리는 SPSS/PC+ Standard버전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7개 학교 9개 학급 6학년 학생 298명이며, 검사도구로는 미국 역사 국가 성취 기준(National Standard for History)을 기반으로 개발한 역사적 사고력 질문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의 자료와 인터넷 교육 사이트의 자료실을 참고로 하여 개발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 질문지, 임 현수(1998)가 개발한 창의적 성향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두 번에 걸친 예비조사와 수정 작업을 통하여 각각에 대한 신뢰도는 .8162, .7016, .8160 으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를 투입한 후 ,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역사적 사고력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별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대기적 사고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344의 상관은 보이나 높은 상관은 아니었다. 역사적 이해력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544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분석 및 해석력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533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연구능력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601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쟁점 분석 및 의사결정력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은 .474로 상관은 보이나 높은 상관은 아니었다. 둘째, 역사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과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별로 창의적 성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대기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은 .127의 매우 낮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이해력과 창의적 성향은 .296의 낮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분석 및 해석력과 창의적 성향은 .245의 낮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연구능력과 창의적 성향은 .248의 낮은 상관을 보였다. 역사적 쟁점 분석 및 의사결정력과 창의적 성향은 .276의 낮은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역사적 사고력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과 창의적 성향 모두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억력과의 상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며 창의적 성향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거나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역사교육을 행함에 있어 역사적 사실의 전달 및 암기 혹은 기억을 무조건 지양할 것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역사교육에 있어 스스로 이해하고 판단하고 분석하는 역사적 사고력 교육을 중시하되 이의 근간이 되는 역사적 사실의 습득도 소홀히 다루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역사적 사실의 전달 그 자체의 지양보다는 맹목적으로 암기를 강요받는 방법상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미미하나마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도 어느 정도의 상관을 보이므로 역사교육을 행함에 있어 초등학생들의 관심사나 흥미, 혹은 동기등의 요소에 대한 고민을 통하여 학습과제의 성격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을 자극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rinciple purporse of historical education is to improve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The explanation from the teachers may be effective for memorizing historical facts but it is necessary that the process to understand the facts using historical mind by students themselves to achieve meaningful historical study such as understanding,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facts. However, the historical education in school is focused on teaching and memorizing simple historical facts and thus almost students regard that history is very boring and not interesting subject. Because of the reason there exist several opinions that the teaching method of memorizing historical facts must be sublated without any condition.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starting from 2000, the improvement of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also emphasized.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the cognitive operation faculty that performs complex mental operation to achieve historical understand by making historical hypothesis and finding historical solution based on historical facts. To think historically, knowledge and disposition are required. And it is hardly deniable that acquirement of historical facts are a crucial element in historical knowledge. So it is required to observe what the memorizing historical fact means to improve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if there is any special relations between memorizing historical fact and creative thinking disposition which infect historical thinking skill with many other disposition. Therefore, in this thesis, it is explained that what is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which is the basis of the historical cognition of students. And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divided into five sub components, chronological thinking, historical comprehension, histo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research capabilities based on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Histor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ub components of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and that between the five sub components and creative disposition, the future direction of historical education also be proposed. The detailed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of 6th school yea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are th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historical thinking skill of 6th school yea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creative disposition? To evaluate this research,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divided into five sub components as mentioned above and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each sub component and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and that between each sub component and creative disposition are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Pearson correlations coefficient for each relationship are obtained and used. All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the SPSS/PC+Standard software package. The 298 students from 7 elementary schools of 9 clas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s. The questionnaire for historical thinking skill developed based on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History, the questionnaire for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developed based on resources fro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nd internet educational sites, and the questionnaire for creative disposition developed by Lim (1998) are us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twice preliminary analysis and adjusting process, the reliability for each questionnaire is analyzed as .8162, .7016, and .8160. From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hips from the results obtained by the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re are som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Here I show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sub components of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the memorizing ability as follow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hronological thinking and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344 but it shows not so much high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comprehension and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544 and it shows relatively high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533 and it shows relatively high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research capabilities and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601 and it shows relatively high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issue-analysis and decision making and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474 but it shows not so much high correlationship. Second, there are som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and creative disposition. Here I show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sub components of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y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as follow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hronological thinking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is .127 and it shows very low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comprehension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is .296 and it shows low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is .245 and it shows low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research capabilities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is .248 and it shows low correlationship. The cor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issue-analysis and decision making and the creative disposition is .276 and it shows low correlationship. Consequently,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influenced by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and creative disposition simultaneously. But the correlationship with the memorizing ability for historical facts is more high while that with the creative disposition is very low. This fact shows that the teaching method of memorizing historical facts in school cannot be sublated without any condition. However, the teaching method must be improved to avoid forcing students to memorize historical facts ignorantly. Furthermore, since the historical thinking skill is also influenced by the creative disposition even though the amount is not so much big, the historical education on cognitive side that considers the interest, taste, and motivation of each student must be suggested in order to stimulate creative disposition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