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은-
dc.contributor.author유수옥-
dc.creator유수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4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typical and the normal play form of the age of children 3, 4 and 5. This study was to make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individual's ability of children's social, social cosnitive and cognitive abilities. It is also needed to help in teaching the play for children to have better growth. It is needed to find out the handicapped children at the earlier stage, through the overt play activities. Lastly, it is needed to quite a faster chance to those handicapped children a special education We observed the study by means of 14 play forms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parten's social play and smilanskys's cognitive play As for test IQ test, social maturity test and emotional cognitive test were practised. 1. IQ and play form As one's group of IQ standard and age incre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e came to the point that onlooker behavior and solitary functional play gradually decreased. Solitary functional play and parallel functional play did not appear from the high level group of children at the age of 3 and 4 but on the other hand, these plays did not even at all appeared at the age of children 5. 2) The more increase of parallel constructive play took place. It became decrease at the age of five from the high level group of IQ, probably this was because parallel constructive play was substituted to associative constructive play. Parallel constructive play was the most frequent play form for all age of 3, 4 and 5. 3 ) Parallel dramatic play was shown to be increasing but is gradually decreased at the middle level group of children at the age of 4. This was probably due to the substitution of associative dramatic play, which took place faster than parallel constructive play did. 4) The more increase of associative dramatic play were shown. 2. Social Maturity and play form As the higher social maturity and age group rose. 1) The frequency of on looker behavior became decreased. 2) The frequency of associative dramatic play, associative constructive play gradually increased. But associative constructive play unlike associative dramatic play, its frequency of high level group from the age of children of 4 decreased. There were play forms which were far from the influence of social Maturity and age. 1) Solitary constructive play seemed that middle groups of social maturity from children at the age of 3, 4 and 5 were enjoying this play. 2) Solitary dramatic play was shown to have appeared at the high level group of children of 3, but it did not appear at the age of 4 and 5. 3) Parallel constructive play was shown to have rose at the high level group of children at the age of 3, but parallel constructive play regardless of social maturity was shown to have appeared from children at the age of 4 and 5. 3. Emotional cognition and play form As emotional cognition and age rose. 1) Frequency of unoccupied behavior decreased. 2) Solitary functional play and parallel functional play gradually decreased but Solitary functional play and parallel functional play did not appear from the middle level groups of children of 4 and 5. 3) Parallel constructive play was shown to be gradually increasing but from the middle group of age 5 it was shown to be decreasing. 4) Associative dramatic play was shown to be gradually increasing.;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3, 4, 5세의 놀이 형태와 사회적, 사회인지적 사회적인 면을 _비교 분석하여, 각 연령의 전형적이고, 정상적인 놀이 형태를 찾으려고 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유아의 사회, 사회 인지, 인지의 개인차를 파악하여, 그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놀이 지도를 하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외현적인 놀이 활동을 통하여 장애가 있는 유아를 조기에 발견하여, 그들에게 빠른 특수 교육의 기회를 주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찰법과 3개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관찰은 자유놀이 시간에 행해졌으며, 14개의 사회적-인지적 놀이 형태의 빈도수를 관찰목록표에 기록하였다. 검사로는 지능 검사, 사회 성숙도 검사, 정서 인지 검사를 실시하여, 놀이 형태와 비교 분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3, 4, 5세의 유아에게 있어서 가장 많이 하는 놀이 형태는 평행 구성 놀이이다. 그러나 3세의 '중'(中)의 수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5세의 '상'(上)의 수준부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협동 놀이는 3, 4세는 물론 5세에서도 우세한 놀이 형태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수준의 유아에게 가장 발전된 놀이 형태는 연합 놀이로 생각된다. 3. IQ와 놀이 형태와의 관계에 있어서, IQ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a. 지켜보기 행동, 평행 기능 놀이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혼자 기능 놀이와 평행 기능 놀이는 3세, 4세의 '상'(上) 수준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5세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매우 낮은 인지 수준의 놀이 형태로 생각된다. b. 평행 구성 놀이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5세의 '상'(上)의 수준부터는 감소하였는데, 연합 구성 놀이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c. 평행 극적 놀이는 증가하다가 4세의 '중'(中)의 수준부터는 감소하였다. 연합 극적 놀이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d. 연합 극적 놀이는 계속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위의 사실로 보아, 혼자 기능 놀이와 평행 기능 놀이는 인지적으로 낮은 놀이 형태이며, 연합 극적 놀이가 가장 높은 인지 수준의 놀이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합 구성 놀이가 5세의 '상'(上)의 수준, 연합 극적 놀이가 4세의 '중'(中)의 수준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아 극적 놀이가 구성 놀이보다 더 빨리 집단 놀이로 발전한다고 생각된다. 4. 사회 성숙도와 놀이 형태와의 관계에 있어서, 연령과 사회 성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a. 지켜보기 행동이 감소하였다. b. 연합 구성 놀이, 연합 극적 놀이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연합 구성 놀이는 연합 극적 놀이와는 달리 4세의 '상'(上)의 수준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사회 성숙도와 연령이 높아짐과 별로 관계가 없는 놀이 형태가 있었다. c. 혼자 구성 놀이는 사회 성숙도가 '상'(上)과 '하'(下)의 수준에서는 조금 나타나고, '중'(中)의 수준에서 많이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혼자 구성 놀이는 사회 성숙도가 '중'(中)의 수준의 유아가 많이 즐기는 놀이 형태로 생각된다. d. 혼자 극적 놀이는 3세에서는 사회 성숙도가'상'(上)의 수준에서 나타나나, 4세, 5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e. 평행 구성 놀이는 3세의 '상'(上)의 수준부터 나타났다. 그러나 4세, 5세에서는 사회 성숙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사실로 보아 지켜보기 행동, 혼자 극적 놀이는 사회 성숙도가 낮은 놀이 형태이며, 3세에서의 혼자 극적 놀이는 4, 5세와는 달리 사회 성숙도가 높은 놀이 형태이며, 평행 구성 놀이는 사회 성숙도와 별로 관계가 없는 놀이 형태로 나타났다. 5. 정서 인지와 놀이 형태와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 인지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a. 지켜보기 행동, 혼자 기능 놀이, 평행 기능 놀이가 점차 감소하였다. 혼자 기능 놀이나 평행 기능 놀이는 4세의 '상'(上)의 수준부터 나타나지 않으며, 5세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b. 평행 구성 놀이는 증가하다가 5세의 '상'(上)의 수준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사실로 보아 지켜보기 행동, 혼자 기능 놀이, 평행 기능 놀이는 낮은 사회 인지 놀이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행 구성 놀이는 비교적 높은 사회 인지의 놀이 형태이나, 아주 높은 놀이 형태는 아닌 것 같다. 연합 극적 놀이가 사회 인지가 가장 높은 놀이 형태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놀이의 중요성 = 4 B. 놀이형태의 분류 = 7 C. 놀이 형태와 유아의 발달 = 12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의 대상 = 18 B. 연구의 절차 = 18 C. 도구 = 19 D. 자료 처리 방법 = 21 Ⅳ. 결과 및 해석 = 22 Ⅴ. 결론 = 40 참고문헌 = 43 부록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73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사회적 놀이-
dc.subject인지적 놀이-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幼兒의 社會的-認知的 놀이의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cognitive play-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