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조순옥-
dc.creator조순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5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41-
dc.description.abstractThe prosocial behavior is positive social act essential to social life. Especially,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prosocial behavior are the models of mother, kindergarten, and teach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s mother helping behavior according to sex and age, to research the possibility of help- ing behavior followed by mother,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behaviors of helping mother at home and at the kindergarten, and finally to see the child's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with his/her mother helping behavior categorized as a prosocial behavior. Th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child's helping behavior will increase as child gets older. 2. The types of child's helping behavior will be different by age. 3. The child's helping behavior will be different by sex. 4. The amount of child's helping behavior will increase by the preceded mother's behavior model. 5. Th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s of helping mother at home and at kindergarten will be positively correlat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60 children, 10 of both sexes aged 3, 4, and 5 with their 60 mothers at attached kindergarten to universities in Seoul. The study took place in a simulation of a home. Each child's helping behavior and mother's behavior were observed for 15 minutes, which were recorded in the list of observation. Each child's behavior at kindergarten was observed 15 times for 20seconds during the arranging period under natural situation. The data collected by observation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1-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cy The results of the verified hypothes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child's helping behavior increased as they get older (p< .05). 2. The types of child's mother helping behavior was different by age (p<.01). The frequency of voluntary helping behavior was higher in age 3 than in age 4 and 5 . 3. The child's helping behavior was not different by sex . (p> .95). The frequency of helping behavior made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which was found statiscally insignificant. 4. The amount of child's helping behavior increased by the preceded mother's behavior model.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ehaviors of helping mother at home and at kindergarten was found statis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coefficiencies of mother helping behavior, helping behavior at request, and voluntary helping behavior were high (r= . 31 , r= . 37 , r= . 67).;친사회적 행동이란 인간이 사회 생활을 해 나가는데 필요한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이다. 특히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정에서의 어머니 모델과 유아 교육 기관 및 교사 모델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의 연령별 성별 차와, 어머니의 선행된 행동에 따른 유아의 도우기 행동 가능성과,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과 유아원·유치원에서의 도우기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기의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을 친사회적 행동의 범주속에 넣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알므로서 교사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따른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연령에 따라 증가할 것이다. 2.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연령에 따라 유형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어머니의 선행된 행동에 따라 유아의 도우기 행동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5.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과 유아원 및 유치원 도우기 행동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4년제 대학 부족 유아원·유치원에 다니는 만3세, 4세, 5세의 남, 녀 유아 각 10명씩 60명과 대상 유아의 어머니 60명이었다. 연구 방법은 집과 같이 꾸며진 실험 환경에서 유아의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과 어머니 행동을 15분간 관찰하여 관찰 목록표에 기록하였으며 유아원·유치원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정리 시간을 통해 한 유아당 1회 20초씩 15회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는 일원 변량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r로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P<.05) 2.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연령에 따라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P<.01) 자발 도우기 행동은 5세 유아가 3세, 4세, 보다 유의하게 많이 하였다. 요청 도우기 행동은 3세 유아가 4세, 5세보다 유의하게 많이 하였다. 3.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P>.95) 4. 어머니의 선행된 행동에 따른 유아의 도우기 행동은 높게 나타났다. 5. 유아의 어머니 일 도우기 행동과 유아원·유치원에서의 도우기 행동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도우기 행동 (r=.31)과 요청 도우기 행동 (r=.37) 은 상관이 높았고 자발 도우기 행동 (r=.6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가설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및 발달 = 4 B. 친사회적 행동 발달의 제 이론 = 8 C. 친사회적 행동과 성인의 역할 = 14 D. 선행 연구 = 24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의 대상 = 31 B. 연구의 도구 = 31 C. 연구의 절차 = 32 C. 자료 처리 = 33 Ⅳ. 결과 및 해석 = 35 Ⅴ. 요약 및 결론 = 40 참고문헌 = 44 부록 = 48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13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친사회행동-
dc.subject행동발달-
dc.subject유아발달-
dc.title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어머니 일도우기 행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 Giving priority to mother heiping at home-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