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정지영-
dc.creator정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이라는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 달성에 있어 어휘가 지니는 중요성 및 가치를 인식하고, 어휘력의 향상이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과 성숙한 국어 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실태와 필요성을 알아보고, 어휘 교육이 실증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현실적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7차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어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는 높아졌으나 여전히 구체적인 지도 대상 어휘나 어휘 지도 방법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 자료를 통해 ‘어휘 지도 방법 및 자료의 부족, 교육과정상의 문제, 어휘 지도에 대한 교사의 무관심 및 어휘 지도를 위한 시간의 부족’ 등을 이유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어휘의 중요성에 상응하는 어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어휘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된 ‘어휘 지도 방법 및 자료의 부족’은 체계적인 어휘 지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의 부재를 입증하는 것이므로 어휘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지도 대상 어휘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에 수록함으로써 교사와 학습자가 교수-학습해야할 어휘에 대한 범주를 기본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과 단계에 적합한 지도 대상 어휘가 선정된 다음에는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탐구가 이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과정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어휘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 자료의 검토를 통해 얻은 어휘 교육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교에서 어떤 어휘를 지도해야 하는가 즉, 지도해야 할 대상 어휘에 대한 선정이 일정한 기준 하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그 선정 결과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반드시 반영하여 지도 대상 어휘에 대한 범주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고민에 앞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기본적으로 해결되어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의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지도 대상 어휘에 대한 확정 작업 이후에는 이러한 어휘를 보다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지도 방안에 대한 고민이 이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휘(력)의 중요성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바탕으로 어휘의 교수-학습에 일정한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 결과와 효과적인 어휘 지도를 위한 고민과 연구의 결과들이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또한 현장 교사들은 그러한 논의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하여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어휘 교육의 개선을 위해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인지 수준에 적합한 지도 대상 어휘를 선정하는 것과 이러한 선정 결과를 거친 어휘 목록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대상 어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어휘가 개별 단어들의 무질서한 집합체가 아니라, 의미적인 연관성을 기초로 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기본 전제로 하였다. 그러므로 개별 단어들을 산발적으로 학습하는 것보다 구조화된 어휘 목록을 통해 단어들 간의 의미 관계를 파악하면서 어휘를 교수-학습한다면 학습 결과가 학습자의 인지 구조 속에 보다 체계적으로 저장되고 장기기억화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어휘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도 대상 어휘를 선정할 때에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국어> 및 <생활 국어> 교과서의 새 말과 주요어휘를 일차 준거로 삼고, 이들을 기준 어휘로 하여 이들과 다양한 의미 관계 즉, 유의관계, 반의관계, 상하관계 혹은 기준 어휘를 중심으로 논리적 개념 구조를 이루는 어휘소들을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유의어 사전, 반의어 사전,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의 표준국어대사전 찾기, 21세기 세종계획 연구보고서 등의 여러 매체를 활용하였는데 이는 지도 대상 어휘 선정 과정의 이차 준거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확대된 어휘 목록은 삼차 준거를 통해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인지 수준에 적합한 어휘로 선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김광해(2003)와 이충우(1992)의 자료를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삭제 및 재구성 과정을 거쳐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대상 어휘 목록표를 최종적으로 확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세 단계를 거쳐 선정된 구조화된 지도 대상 어휘 목록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민해 보았는데 먼저, 구조화된 지도 대상 어휘 목록은 해당 단원의 도입부에 각각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는 해당 단원에서 접하게 될 새 어휘 혹은 주요 어휘에 대해서 이 어휘들과 다양한 의미 관계를 이루고 있는 단어를 통해 학생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시켜 새 어휘 혹은 주요 어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해 어휘 학습과 동시에 본 단원 학습의 이해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새 어휘 및 주요 어휘에 대한 이해가 마무리되면 이들에 대한 유의어, 반의어들이 가진 미세한 의미 차이 및 쓰임새를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익히도록 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단원 도입부에서 선행 학습한 어휘 목록들은 다시 단원 마무리 활동 단계에서 퍼즐 맞추기, 괄호 채워넣기, 줄긋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확인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학습한 어휘에 대한 내용이 학습자의 인지 구조 속에 확고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조화된 지도 대상 어휘 목록을 활용하는 수업지도안은 구체적인 수업 상황과 장면에 따라 융통성있게 재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도 대상 어휘 목록표를 매 단원의 도입단계에서 각각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주요 어휘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고, 본 단원 학습의 이해를 돕도록 할 것과 단원 마무리 단계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주요 어휘들과 다양한 의미 관계를 이루는 어휘소들의 의미 차이와 쓰임새를 파악하고 단원 도입부에서 학습했던 내용들을 보다 확고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항상 지켜져야 할 대전제라 할 수 있다. 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효율적인 어휘 교육을 위해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어휘 지도 방안의 마련’을 선결 과제로 삼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대상 어휘를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구조화된 어휘 목록으로 선정하는 작업을 시도해 보았으며 이렇게 선정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안도 구상해 보았다. 물론 이러한 연구 과정들은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많은 방안들 가운데 가능한 하나의 대안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마련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 과정은 보다 체계적인 준거와 자료를 통해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어휘를 분류하고 연구하는 학문적 성과들이 먼저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무엇보다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 지도 대상 어휘가 선정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친 지도 대상 어휘가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어휘 교육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라는 점은 분명하다.;The ultimate purpose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s to enhance the students’ability of the use of national language. To achieve this goal,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ocabulary and improvement of vocabulary use should be made first. In this point of view, this manuscript aims at finding out the realities and the needs of vocabulary education, and resolving problems for a practical vocabulary education. My research found out that the current 7th National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has few indications on the specific vocabularies to teach or teaching method, even though it shows mor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vocabulary education than the previous curriculums. From my research, the most significant reason of the poor vocabulary education was the lack of vocabulary teaching method and materials, and this means that there is no basic document for vocabulary education. In the result, I could find out that vocabularies to teach should be mentioned in the curriculum for a practical education in schools. This will help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 category of vocabularies that they should teach and learn. This study on the curriculum and the reality of vocabulary education in schools gives us three points to consider regarding vocabulary education. First point is which vocabularies should be selected for education in schools. It means vocabularies should be selected by specific criteria, and the official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se selection. Second isregarding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rd, certain amount of time should be allocated to vocabulary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d research, I studied vocabulary selec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students’ development stag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vocabulary selection process, I researched under a prerequisite that vocabularies have a system with a specific relevance in meaning, not a collection in disorder. The first step of the selection is based o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 And then, I researched various vocabularies from textbookthat are in the relation of synonym or antonym etc. The third step is screening vocabularies which are suitable for educatees (In this study, I targeted students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For the teaching method of these structured vocabularies sele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 proposed to insert the list of these vocabularies in the introduction part of each chapter of textbook. This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new and essential vocabularies by activating students’background knowledge. Students will also be able to learn the subtle difference of synonym and antonym through example sentences. In the closing part of each chapter,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puzzle game were provided as a comple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need of vocabulary education i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For successful and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I proposed " the selection of vocabularies to teach"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in this study. I believe the selection process and teaching methods proposed in this manuscrip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vocabulary education. From now on, there should be more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vocabulary classification. Above all, official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vocabularies which are selected through appropriate process, and consequently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them in schoo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 = 3 C. 연구 방법 = 7 Ⅱ. 어휘 지도를 위한 고려 사항 = 9 A. 어휘의 특성 = 9 B. 어휘력의 중요성 = 10 C. 어휘 지도의 목표 = 12 D.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어휘 지도 = 15 1.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어휘 지도 항목 분석 = 16 2.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어휘 지도의 문제점 = 25 Ⅲ. 어휘 지도 방안 = 31 A. 어휘 지도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 = 31 1. 파생어, 합성어, 한자어의 단어 형성 원리를 이용한 어휘 지도 방안 = 34 2. 문맥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 38 B.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지도 방안 = 41 1. 의미 관계의 개념 및 유형 = 42 가. 유의관계(동의관계) = 44 나. 반의관계(대립관계) = 47 다. 상하관계 = 49 2.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지도의 의의 = 53 C. 의미 관계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 어휘 지도 방안 = 56 1. 지도 대상 어휘 선정(중학교 1학년) = 57 가. 1단계 = 57 나. 2단계 = 62 다. 3단계 = 72 2. 지도 대상 어휘의 구조화 = 78 Ⅳ.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지도의 실제 = 82 A. 구조화된 어휘 목록을 활용하는 수업 지도안 = 82 B. 구조화된 어휘 목록을 활용한 어휘 지도의 효과 및 의의 = 91 Ⅴ. 결론 = 94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58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력 확대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ocabulary Improvement i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 Targeting fir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Jeong, Ji Young-
dc.format.pageⅸ, 10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