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춘희-
dc.creator김춘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6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03-
dc.description.abstractAs the participation of female in teachers society rapidly grow, the proportion of women teachers compared to the whole number of teachers are 72.7% in the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female director teachers compared to the whole number of director teachers are 54.3% in the elementary school. This revel bright future prospect to female teachers promotion to upper level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hange of teachers promotion system and its effect to the female teachers, their plan to promotion to the upper level position. This study performs both literature study and survey and the literature study includes the qualification and temperament of school administrator, the policy about female teachers promotion, the barriers to female teachers participation in upper level position, the change of teachers promotion system, and the passion of female teachers for upper level position. The survey study includes female elementary schoolteachers passion for promotion to principal (or vice principal) or expert advisor, the change system and the change of female teachers thought for promotion to upper level position. This study was researched by questionnaire method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made from the previous study. Sampling method was simple sampling from female teachers of 29 elementary school in Kyonggi area and the qualification for the sampling was at last 5 years experience in teaching and over 30 years old. Total 325 questionnaire was retrieved. To verific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x²(Chi Square) test, t 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unitary dispersion analysis are appl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female teachers who want promotion or switch job are the director teachers of 11∼20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and also in the graduate school or the graduated the graduate school, and they respond the possibility of promotion or switch job are rather high. The re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promotion or switch job are almost from their colleagues. But the proportion of gathering information from their superior or expert was rather low because of the lack of linkage between them. Almost 70% of female teachers agree the conscious promotion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promotion and among hem the proportion of the graduated the graduate school are rather high. This reflect female teachers begin to prepare for the promotion when their job experience reached 10 or more. Second in analogizing the barriers for promotion many female teachers think double burden of home care and child care are the main barrier. Although the condition of promotion for female teachers getting better when compare it previous 5 years, lots of them express the unequality in achieve the grading point. But many female teachers think in a part such as gain the chance of research, the promotion to director teachers are almost same with male teachers. And the reason for unequality many female teachers point the double burden and preference to male teachers. Third the effect of change system affect positively to female teachers who plan to promotion and about the plan to lower the grading point the teachers of 11∼10 years think positively but the teachers of over 20 years think negatively, and about personnel regulation which accept 1 year experience during female teachers pregnancy, birth, suspension from teaching for child care, teachers of 11∼20 years respond positively to the policy. As the regulation of research change, the chance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 become wide. This change effect positively to female teachers and the suggestion about research point as a credit, director teachers of over 21 years accept positively. The plan to lower the point of islands and remote place school, teachers in city express positively, but islands and remote place school teachers respond negatively. The possibility of achieve the extra point for the promotion many female teachers prefer transfer to the research school and gaining research point. In grading point, many female teachers think the total grading point is unfair to female teacher, especially teachers of over 20 years express negatively, since it is really hard for them to get good point in present teacher society s preference of male teachers. So almost all female teachers insist the change of grading point from total grading point to complete grading point. The regulation of select the superior teaching teacher and give them the same point as research point, almost all female teachers positively accept this policy and lots of them plan to participate. The change of system certainly affect the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conscious and for that many female teachers prepare for the promotion more earlier and more deliberately.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사회의 급격한 변천으로 교원의 승진제도가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바뀐 승진제도의 변화가 상위직 진출을 준비하는 여교사의 의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학교행정가의 자질과 자격, 여교사의 승진관련 정책, 상위직 진출에 대한 장애요인, 교원의 승진제도 변화, 여교사 승진 의욕 방안 등을 알아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승진·전직에 대한 욕구와 여교사의 교장(감)·교육전문직 진출 장애요인 인식, 제도변화가 상위직 진출에 대한 여교사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질문지는 선행문헌연구를 토대로 제작하였다. 모집단은 경기도를 인사구역에 의거 4개 구역으로 나눈 후 교직경력 5년 이상, 연령 30세 이상의 여교사를 층화군집무선표집의 방법으로 29개교, 325명의 여교사를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경력별 학력별 응답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x²(Chi square)검증, 두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진·전직을 희망하는 여교사는 교직경력 11-20년 된 대학원에 재학하고 있거나 대학원을 졸업한 여자부장교사이며 이들은 승진·전직에의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승진·전직에 관한 정보는 경력별 학력별 모두 동료교사로부터 얻는 것이 대다수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여교사는 학교상사나 교육전문직으로부터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사와의 연계망이 형성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승진준비를 위한 의식증진교육은 70%이상의 여교사들이 찬성하였으며, 대학원을 졸업한 여교사가 약간 더 높은 찬성률을 보여 주었다. 둘째,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의 비교분석에서 가사·육아 등의 이중역할부담을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승진 관련 여건의 불리함에 대한 인식은 과거 5년 전과 비교하여 최근에는 여교사의 승진에 대한 여건이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과거 5년전 여교사의 여건과 최근의 여건을 비교 분석해 보면 상위 근무평정취득은 모든 여교사가 여전히 불리한 입장이라고 보았으나, 연수기회 취득, 부장교사로 승진, 도서벽지점수취득, 현장연구접수취득은 대부분의 여교사가 불리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여교사가 불리한 원인에 대한 인식은 과거 5년 전이나 현재 모두가 여교사 개인의 능력이나 자질부족보다는 주로 가사·육아로 인한 여교사의 이중역할 부담과 남성우대 풍토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도변화가 상위직 진출에 대한 여교사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 볼 때 경력평정이 25년으로 단축된 것과 교원정년단축 및 교장임기제 등이 여교사들의 승진대기자군을 형성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경력평정이 향후 5년 이내에 20년으로 더 하향 조정되는 것에 대하여 교직경력 11-20년의 여교사는 찬성하였으나, 교직경력 21년 이상의 여교사들은 반대 하였다. 임신·출산·육아 휴직 기간 중 1년 범위 내에서 경력으로 인정되어 호봉승급에 반영하고 휴직 전 경력을 복직과 함께 합산하도록 하는 인사규정에 대하여 교직경력 11-20년 여교사의 다수가 찬성하였다. 연수성적평정 중 일반연수의 규정이 1회 27점에서 3회 18점으로 바뀜에 따라 연수기간이 확대되고 이로 인하여 제한되어 있는 연수기회의 확대는 여교사들에게 연수 성적을 높이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연수·연구를 학점화하여 승진에 반영하자는 의견에 대하여 교직경력 21년 이상의 여자부장교사들이 찬성하였다. 도서·벽지 근무의 하향조정은 도시근무 여교사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승진하고 싶은 의욕이 증가한 반면 도서·벽지에 근무하고 있는 여교사들은 불리하다고 하였으며 승진하고 싶은 의욕이 다소 감소하였다. 승진에 필요한 가산점을 취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연수·연구 점수 올리기, 연구·시범 학교로의 전보 등으로 보충하겠다고 하는 순서로 나타났다. 근무성적평정에서는 통합근무성적평정이 여교사에게 불리하다고 하였으며 특히 경력이 21년 넘은 여교사는 남교사 우대풍토와 연공서열풍토로 상위근무성적평정을 받기가 어려우므로 승진하고 싶은 의욕이 약간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므로 통합근무성적평정보다는 남녀교사 완전분리근무성적평정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여교사가 대부분이다. 수업우수교사로 선정되면 연구실적점수와 동등하게 수업실적점수로 부여하여 승진시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에 대하여 대부분의 여교사가 찬성하고 있었다. 또한 승진을 준비하는 여교사는 수업실기대회에 계획을 세워 참가할 의사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제도변화가 초등학교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에 대한 의식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은 1991년 개정된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 임용령에 의하여 교장 종신제에서 교장 임기제로 바뀌면서부터이다. 또한 1997년 교육공무원의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이 개정됨으로써 교육공무원의 교육경력평정 기간이 25년으로 단축되고, 근무성적평정 및 연수성적평정과 가산점평정 등의 제도가 바뀌면서부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바뀐 제도 중 일부는 긍정적인 면을 보여 여교사가 상위직에 진출하고자 하는 생각을 갖도록 하였으나 남녀교사 완전통합근무평정과 같은 제도는 여교사가 승진하는데 장애요인이 되어 더 보완하고 논의해야할 문제점으로 남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II. 이론적 배경 = 4 A. 학교행정가의 자질과 자격 = 4 B. 여교사의 승진 관련 정책 = 7 C. 여교사의 학교행정가·교육전문직 진출에 대한 장애요인 = 11 D. 교원의 승진 제도 변화 추이 = 16 E. 여교사 승진 의욕 조성 방안 = 26 III. 연구의 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도구 = 30 C. 연구 절차 = 32 D. 자료의 처리 = 32 E. 연구 가설 = 32 IV. 결과 및 해석 = 34 A. 승진·전직에 대한욕구 = 34 B. 여교사의 교장(감)·교육전문직 진출에 장애요인 인식 = 41 C. 제도변화가 여교사의 상위직 진출에 대한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 48 V. 결론 및 제언 = 64 A. 결론 = 64 B. 논의 = 67 C. 제언 = 70 D. 연구의 제한점 = 71 참고문헌 = 72 부록(설문지) = 75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46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도변화가 상위직 진출에 대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